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NN 과 LSTM 기반의 대기질 예측 모델 성능 비교 연구

        조성재 ( Sung-jae Jo ),김준석 ( Junsuk Kim ),김성희 ( Sung-hee Kim ),윤주상 ( Joosang Yo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모델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 개발에 장점을 가진 D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예측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STM을 활용한 모델과 Fully-Connected 기반의 DNN 모델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 두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다. 성능 평가 결과를 보면 LSTM 모델이 DNN 모델보다 모든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 그리고 이산화황(SO<sub>2</sub>), 이산화질소(NO<sub>2</sub>), 초미세먼지 (PM<sub>2.5</sub>)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추천 시스템에 의한 필터 버블 개선 방향 제시 : 유투브를 통해서

        조성재(Sung-Jae Jo),이근희(Geun-Hee Lee),전경향(Gyeong-Hyang Jun),허수진(Su-Jin Hur),김하늘(Ha-Neul Kim),김성희(Sung-Hee K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추천 시스템은 개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용자의 선호도에 부합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품이나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도 있지만, 이미 필터링 된 정보만을 접하게 되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정보 편식을 하게 되는 필터버블(filter bubble) 현상을 경험할 수도 있다. 필터버블은 제공되는 정보가 사용자의 견해를 편협하게 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추천 시스템에 의한 필터 버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추천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추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의 다양성이 제한되어 필터 버블이 발생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용자 또한 추천 시스템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에 대해 공감을 나타냈다. 본 논문은 필터 버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과 추천 시스템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동적 확장성을 제공하는 주문형 비즈니스 시스템

        김정숙(Jungsook Kim),조성재(Sung-Jae Jo),송준화(Junehwa So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인터넷 비즈니스(e-Business)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하고 복잡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주로 정적 컨텐트를 사용했던 종전의 서비스와는 달리, 동적 컨텐트를 사용하여 급변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다. 하지만 동적 컨텐트는 정적 컨텐트에 비해 많은 시스템 자원을 필요로 하여 전체 시스템의 부하를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서비스의 수요는 그 예측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급증하는 수요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적 확장성(dynamic scalability)을 제공하는 WADN 시스템을 제안한다. WADN은 서버의 부하를 검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체 서버의 수를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새로운 서버에 전송되면 바로 실행 될 수 있도록 하였다. WADN을 이용하면 인터넷에 있는 유휴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시스템 관리자가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공격행동 중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외국문헌을 중심으로

        김민 ( Kim Min ),조성재 ( Jo Sung-ja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외국문헌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공격행동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 연구성과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국내 발달장애인 상담 및 특수교육 분야에서 공격행동 중재의 중요성과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격행동은 발달장애인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주된 특징 중 하나로, 이들의 사회적 통합을 방해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발달장애인 공격성 행동과 관련된 연구 수는 제한적이며 중재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헌연구 또한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3편의 외국 연구를 중심으로 공격 및 자해행동과 관련하여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중재 프로그램의 유형을 전략기반 강화, 선행사건 조작, 지속적인 통제를 이용한 행동 감소 전략, 약물치료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수집된 연구분석을 위해 Sackett 등(1996)이 제안한 증거기반 분류체계를 사용하였으며, 치료-중재방법, 연구대상, 연구목적, 결과 등으로 구분하였다. 본 문헌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중재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공격행동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 분석을 위해 사용된 기능분석과 행동평가는 전문가가 혼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부적절한 행동중재를 위한 약물 및 행동치료를 혼합한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 수가 여전히 제한적이다. 공격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종합적인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다양한 나이대에 적용 가능한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기반으로 국내 특수교육과 장애인 상담 분야에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related literature evaluat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aggressive behavior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gression is perceived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problems preventi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ocial integration. Thu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re desirable to alleviate negative behaviors and to better adjust to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literature focusing on ameliorating aggressive behaviors among this population is few. This paper reviewed 33 foreign literature that has focused on intervention programs regarding aggressive or self-destructive behaviors among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articles, evidence based system from Sackett et al.(1996) was applied: Intervention, study participants, purpose of the study, an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Developed interventions are effective to decrease aggressive behaviors among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Functional analysis and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would be recommended in developing interventions; (3) Little is known about effectiveness of combined programs based on pharmacological and behavioral therapy. In order to reduce the aggression level, comprehensive programs applied to different age groups would be develop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professionals in S. Korea.

      • KCI등재

        정신장애인 질병관리와 회복관점에서 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전략

        김민(Kim, Min),전동일(Chun, Dongil),조성재(Jo, Sung Jae) 한국직업재활학회 2019 職業再活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국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과 질병관리 관점에서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적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정신장애는 당사자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장기간의 치료와 중재를 필요로 한다. 정신장애로부터 회복과정에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지만, 장애인재활상담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관련 욕구를 파악하고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관리에 초점을 두고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장애인재활상담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직업복귀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전문가이다. 이론적 배경에서 정신장애 회복 및 질병관리 관점에서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신장애인 개별화된 재활계획 수립 시 적용 가능한 3단계 전략(회복을 위한 가치 이해와 평가, 스트레스의 영향과 약물에 대한 이해, 웰니스회복 실행계획)과 함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정책적 제언과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oles of and strategies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RC) in the illness management process with experiences in the U.S.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SMI) is a long process that influences individuals’ lives. Among different professionals, RC are in a unique position to assist individuals with SMI in assessing their personal health and integrating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into the individualized recovery plan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oles of RC were discussed and three possible strategies with one example that would be applied in developing employment plan were provided: 1) Understanding recovery, 2) Stress, drug use, and vulnerability, and 3) Wellness recovery plan. Based on these possible strategies and examples,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 were discussed.

      • 형태소분석과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SNS 기반 재난알림시스템의 정확도 향상

        이동호 ( Dong-ho Lee ),강석민 ( Suk-min Kang ),김수현 ( Soo-hyun Kim ),조성재 ( Sung-jae Jo ),박찬혁 ( Chan-hyuk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스마트 디바이스가 대중화 되면서 각종 사건 사고에 대한 데이터가 SNS 상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된다. SNS의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 개개인이 사고감지센서의 역할을 하면 빠른 사고감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키워드의 출현 빈도로 사고를 판단하는 방식과, 문법파괴 요소가 많은 트위터의 특성으로 인해 정확성에서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형태소로 분석한 트윗을 백터화하여 다층퍼셉트론신경망으로 학습시키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명사로 이루어진 40개의 단어를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82.58%의 정확도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