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령집단에 따른 노인의 허약(Frailty) 예측요인 분석

        조성은 ( Cho Sung Eun ),최은영 ( Choi Eun Young ),오영삼 ( Oh Young Sam ),김영선 ( Kim Young Sun ),김성복 ( Kim Seong B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에 따른 허약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총 4,123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허약을 예측하는데 있어 연령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상자를 75세 이상 85세 미만의 중 고령노인집단(n=3,373명)과 85세 이상의 초 고령노인집단(n=750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중 고령노인집단에서 전 허약노인과 허약노인은 각각 1453명(약 43%), 1,268명(약 37%)으로 나타났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에서 전 허약과 허약노인은 304명(약 40%), 396명(약 52%)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건강단계에서 허약전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중 고령노인집단에서는 여성, 낮은 교육수준,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허약 전 단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초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우울, 낮은 사회활동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허약 전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의 진입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중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연령, 미취업,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은 높은 연령, 많은 만성질환,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연령의 세분화와 다각적인 요인의 접근으로 허약의 예측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예측요인은 추후 허약에 대한 다각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frailty in different age group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SLCE). In the research model, 4,123 older adults aged 75 and older were included from the SLCE. All participants were subdivided into two age groups based on their age; the young old group (75-85) and the old-old group (85+). The young old group consisted of 1,453 (43%) pre-frail older adults and 1,268 (37%) frail older adults; the old-old group consisted of 304 (40%) pre-frail older adults and 396 (52%) frail older adult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the young-old, being female, lower levels of education,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transition to pre-frailty from non-frail status. In the old-old, being female, higher depression, lower level of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in the young-old were being female, higher age, being unemployed,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old-ol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were only higher age, having more chronic disease, higher depression, and lower cognitive functioning.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king of strategies for preventing frail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명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지식수준

        조성겸(Cho Sung Kyum),조은희(Cho Eun Hee) 한국생명윤리학회 2009 생명윤리 Vol.10 No.1

        결핍모델에 따르면 시민이 갖고 있는 과학지식의 수준이 과학에 대한 태도와 지지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이와 반대로 과학지식 수준이 시민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인의 과학지식과 태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2006년, 2008년에 KAIST ELSI 프로젝트(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윤리ㆍ법률ㆍ사회 함의 연구) 팀이 실시한 여론조사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명과학에 대한 매스미디어 보도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수준은 높아지지 않았다. 둘째 생명과학에 대한 지식수준이 생명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 시민들은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문가 의견의 영향을 받아 태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판단은 위험부분을 지나치게 경시하고 실현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보게 할 수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합리적인 사회적 수용을 위해서는 일반시민들의 지식수준을 근본적이고 균형적으로 높여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affects public opinion on scientific issues.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AIST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project team reveals several trends in public opinion.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has not been enhanced in spite of the recent increase in media coverage of scientific issues. The surveys also show that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does not affect the public's attitude. They tend to form an attitude with little knowledge and accordingly be influenced by experts' opinion. It has been also found that the public seems to underestimate the risks and has and overly positive attitude toward biotechnology. Therefore more effort is needed in order to provide the public with accurate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노쇠와 과부담의료비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조절효과

        조성은 ( Cho Sung Eun ),김수경 ( Kim Su Kyoung ),이수림 ( Lee Soo Lim ),신혜리 ( Shin Hye Ri ),박설우 ( Park Seol Woo ),( Lee Hee Yun ),김영선 ( Kim Young Su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노쇠(frailty)와 과부담의료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의 수준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6년도에 실시한 치매이해능력 설문조사(2016 Dementia Literacy Survey)를 사용하였으며 총 457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쇠와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과부담의료비 간의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쇠할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낮을수록 과부담의료비의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은 노쇠와 과부담의료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조절효과가 특히 전노쇠집단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는 영양 및 운동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쇠 중재 프로그램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 증진교육이 함께 포함되고 강화 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취약계층일수록 과부담의료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통해 적극적인 보장성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노인을 대상으로 확률표집을 실시한 대표성 있는 데이터로 노쇠와 과부담의료비와의 관계 및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조절효과를 입증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457 respondents of 2016 Dementia Health Literacy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frailty and health literacy have positive effects on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That is, the more frail one is, or the lower health literacy one has, the bigg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become. Secondly, health literacy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The results which prove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increase when one belongs to the vulnerable group suggest that, firstly, the coverage of the health policy should expand. Secondly, a program promoting health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for the frail elderly which currently focuses only on nutrition and exercises. This i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prov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the whole frai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with the data represents the elderly nationwide.

      • KCI등재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관한 종단적 연구

        조성은(Sung-Eun Cho),이영민(Young-Min Lee)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교육훈련 투자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기업의 특성이 훈련투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사업체 패널조사의 조사 대상인 1,039개 사업체이고, 조사에는 2013년, 2015년, 2017년 3개 차수 자료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인은 기업의 총 교육훈련비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 변화 파악을 위해 다층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무조건 모형에서는 기업의 총 교육훈련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후 기업의 교육훈련비 변화의 기업 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조건성장모형으로 분석을 시행하여 기업의 교육훈련비 초기값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을 파악하였다. 기업의 훈련투자 초기값에는 기업의 규모, 중장년 근로자 비율 등 구성원의 특성이 영향을 미쳤다. 교육훈련비 투자 변화에는 중장년 근로자 관련 요인과 훈련투자의 정부 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vestment of Korean corporations an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 the investment. The number of samples of this study was 1,039 collected from Workplace Panel Survey(WPS). We used three times data conducted in 2013, 2015 and 2017 to identify the change. Dependent variable was the total amount of education and training cost invested by corporations. We used Multi level growth model analysis to examine the change by time. In results, the investment was decreased through the periods in unconditional model. Additionally, the investment patterns and intial investment were different from corporation. In the result of conditional growth model, we have identified companies’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for education and training and changes of training expenses.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such as the size of the company and the proportion of middle-aged workers, affected initial investment by companies. Factors related to middle-aged workers and government support have been shown to affect changes in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