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삼 추출물 함유 한방화장품이 건강한 성인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Skindex-16을 중심으로

        조가영 ( Ga Young Cho ),박효민 ( Hyo Min Park ),권이경 ( Lee Kyung Kwon ),조성아 ( Sung A Cho ),강병영 ( Byung Young Kang ),김윤범 ( Yoon Bum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인삼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케어 제품의 시료 제시 방법과 여성들의 삶의 질 개선 효과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삶의 질이란 질병이나 건강 상태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에 저자들은 45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Group A)에는 브랜드 고유의 패키지를 유지한 인삼 크림 시료를 제공하였고, 다른 그룹(Group B)은 브랜드와 제품명을 알 수 없는 하얀색 통에 담은 동일한 시료를 제공하여 8주간 사용하게 하였다. 피부 관련 삶의 질 평가는 Skindex-16 설문지를 사용하여 시험 초기와 4주 후, 8주 후에 걸쳐 시행되었다. 시험 참여를 중지한 2명의 피험자를 제외한 43명의 Skindex-16 초기값의 평균은 22.70 ± 4.82점이었다. 8주 후, 그룹 A의 Skindex-16 지표는 초기값 23.30 ± 5.14에서 20.20 ± 4.83으로, 그룹 B는 22.17 ± 4.58에서 20.52 ± 3.6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개선되었다. 세부 항목에서는 그룹 A의 ‘증상’ 항목이 4주 후, ‘감정’ 항목이 8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기능’ 항목은 어느 그룹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총합과 세부 항목 모두 측정 시기 및 그룹에 따른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인삼 크림이 포함된 스킨케어가 건강한 성인 여성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스킨케어 행위 자체가 패키지에 대한 영향보다 삶의 질의 개선에 주는 영향이 큼을 추측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삶의 질’이란 기존의 피부과학 지표의 개선과 주관적 만족도의 개념을 넘어 신규한 화장품 효능 영역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skincare using cosmetic containing ginseng extract, on improving quality of life (QOL) of healthy women, with blind testing. QOL is a concept that represents how one’s disease or health condition can physic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influence his or her daily life.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a ginseng cosmetic preparation on quality of life (QOL) using the Skindex-16 score, stratified by blind versus non-blinded option. 45 healthy women aged between 30 and 49 years with no skin diseas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n = 22) received anti-aging cream with ginseng extract in the original packaging, which included the brand name and logo. Group B (n = 23) received the same cream in a plain white jar without any package decoration or logo. Both groups used the cream for 8 weeks. For the skin-related QOL assessment, Skindex-16 was used at baseline, forth, and eighth week. All volunteers except two dropouts in Group A completed the dermatology-specific QOL measure, Skindex-16, at baseline,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of treatment with the provided samples.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43 participants at baseline was 22.70 ± 4.8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seline score and the score after 8 weeks in both groups: The scores changed from 23.30 ± 5.14 to 20.20 ± 4.83 in Group A, from 22.17 ± 4.58 to 20.52 ± 3.60 in Group B. The “Symptom” subscale of Skindex-16 improved after 4 weeks and the “Emotion” subscale improved after 8 weeks in Group A. The “Function” subscale did not show improvement in either groups. Both groups showed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follow up time and groups in Skindex-16 and subscale. This research opens up the possibility of skincare using ginseng cream having a positive effect on QOL in healthy women. Moreover, one can predict that skincare ritual itself may have greater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QOL, compared to the product packaging.

      • 효율적인 퍼지 가중 평균 알고리즘

        조성아(Sung A Cho),박대희(Daihee Park),이동훈(Dong Hoo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다중센서 정보처리 시스템(multisensor intelligent system)에서 정보 융합(information fusion)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퍼지 숫자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불명확한 정보들을 융합하기 위해 몇가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은 퍼지 가중 평균(fuzzy weighted average)을 계산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비교와 산술연산의 수를 O(nlogn)로 줄여서 이전의 결과(O(n²))를 향상시킨다.

      • KCI등재
      • KCI등재

        한방화장품이 건강한 성인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조가영,박효민,권이경,조성아,강병영,김윤범,Cho, Ga-Young,Park, Hyo-Min,Kwon, Lee-Kyung,Cho, Sung-A,Kang, Byung-Young,Kim, Yoon-Bum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5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8 No.4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Korean Herbal Cosmetic on quality of life (QoL) of Korean Herbal Cosmetics Using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 stratified by blind versus non-blinded option.Methods : Forty five healthy females aged 30's to 40'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A (n=22) was provided an anti-aging cream with ginseng extract in the original packaging including the brand name and logo. Group B (n=23) were provided same cream in a plain white normal jar without any package decoration or logo.Results : All females except two volunteers in group A completed a DLQI questionnaire, baseline, after 4 weeks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baseline of DLQI scores of all groups was 3.23±2.7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LQI scores between before, 4 weeks and 8 weeks after in both groups ; The scores changed from 4.25±3.45 to 0.95±1.15 at 4 weeks, 1.00±1.72 at 8 weeks in group A, The scores of group B changed from 2.35±1.47 to 0.83±1.23 at 4 weeks, 0.65±0.98 at 8 weeks. But both had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follow up times and groups. Subscale DLQI scores improved after 4weeks were 'Symptoms and feelings', only in group BConclusions :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oL quality scores evaluated by DLQI. However, interaction was not observed for whether the participants knew the brand and content of the cream.

      • KCI등재후보

        원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MD366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 ( Sun Young Park ),조성아 ( Seong A Cho ),한누리 ( Noo Ri Han ),성기승 ( Ki Seung Seong ),임상동 ( Sang Dong Lim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2 No.2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장기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및 혈장 지질 농도가 E. faecalis MD366균주의 투여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E. faecalis MD366균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를 정상식이군 (ND), 고지방식이군(HFD), 고지방식이와 함께 E. faecalis MD366 균주를 경구투여한 군(HFD+MD366)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6주 후 무게는 ND, HFD+MD366, HFD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 무게 대비 체중 증가율은 HFD+MD366군이 HFD 군에 비해 18.10%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 고환의 장기조직 무게는 세 군 모두 비슷하였으며, 부고환 지방의 평균무게 의 경우 ND군이 가장 작았으며, HFD+MD366군은 HFD군보다 작게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E. faecalis MD366의 투여가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TG의 농도는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감소하기는 했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 있어서도 HFD+MD366군이 HFD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의 분포를 본 결과 ND와 HFD+MD366군은 2,000 μm2 크기의 지방세포 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HFD군에서는 5,000 μm2 이상 크기의 지방세포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지방 세포의 평균 크기는 ND, HFD+MD366, HFD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체중과 장기, 지방 무게와 혈청 지질농도 수치에는 E. faecalis MD366 균주가 큰 효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부고환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Enterococcus faecalis MD366, isolated from raw milk, in diet-induced obese mice. To examine the effect, male C57BL/6J mice were fed for six weeks on three different diets, i.e., a normal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saline solution (ND), a high-fat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saline solution (HFD), and a high-fat diet and orally administrated E. faecalis MD366 (109 CFU/day) in saline solution (HFD+MD366). After six weeks, the rate of increase in body weight was 18.1% lower in the HFD+MD366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HFD group. In addition,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in the HFD+MD366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The average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HFD+MD366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HF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Measuring the adipocytes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adipocytes with a size of 2,000 μm2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s of other size classes in ND and HFD+MD366 groups, while the percentage of adipocytes larger than 5,000 μm2 was highest in the HFD group. The mean adipocyte size in the HFD+MD366 group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 한정된 종료시간을 고려한 최적 만기의 결정

        한태창(Tae Chang Han),조성아(Sung-a Cho),이동훈(Dong Hoo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A

        본 논문은 작업들의 종료시간이 허용된 오차 이상으로 만기를 벗어났을 때만 페널티를 부과하는 스케줄링 문제를 다룬다. 결과로 최적해가 갖는 새로운 성질들을 기술하고, 최적 공통만기를 결정한다.

      • KCI등재후보

        원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MD366의 생리적 특성 및비만 억제 효과

        박선영 ( Sun Young Park ),조성아 ( Seong A Cho ),한누리 ( Noo Ri Han ),임상동 ( Sang Dong Lim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2 No.2

        본 연구는 원유로부터 비만 억제 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 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Anti-lipase activity와 Anti-adipogenic activity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MD366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MD366 균주는 lipase 억제활성 65.03±0.94%, 지방분화억제활성27.4±1.4%로나타났으며, 동정결과Enterococcus faecalis로 판명되었고, Enterococcus faecalis MD366으로 명명하였다. E. faecalis MD366의 최적 생장 온도는 37℃이 었으며, 담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다. 효소활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acid phosphatase 에 대해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neomycin, kanamycin, vancomycin에 내성이 있는 반면, novobio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80.4%, 60.2%와 65.4%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s of E. faecalis MD366 isolated from raw milk. E. faecalis MD366 inhibited lipase activity (65.0±0.9%)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27.4±1.4%)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108 CFU/g E. faecalis MD366).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E. faecalis MD366 was 37℃. Among 16 tested antibiotics, E. faecalis MD366 demonstrated the highest sensitivity to novobiocin and the highest resistance to neomycin, kanamycin, and vancomycin. The strain also showed high acid phosphatase activity. Moreover, E. faecalis was relatively tolerant to bile juice and acid, and displayed high resistance to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80.4%, 60.2%, and 65.4%,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 faecalis MD366 can be potentially used as a probiotic with anti-obesity effects.

      • KCI등재후보

        생체 모사수 화장품이 세포 활성과 피부에 미치는 효과

        박선영 ( Sun Young Park ),이성훈 ( Sung Hoon Lee ),김은주 ( Eun Joo Kim ),최소웅 ( So Woong Choi ),김지영 ( Ji Young Kim ),조성아 ( Seong A Cho ),조준철 ( Jun Cheol Cho ),이해광 ( Hae Kwang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2

        생체수는 링거액, 인공관절액, 세포 배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는 생체수가 체온을 조절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생체 내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용매로 사용되며, 삼투압이나 능동적 섭취를 통한 혈액 또는 림프액을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되는 미네랄, 에너지원, 호르몬, 시그널과 약물의 전달 물질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세포외 지질과 자연보습성분(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을 함유하는 각질층은 외부의 수분을 끌어들여 내부 수화에 이용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피부 장벽 기능과의 연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당류를 포함한 생체모사수(Cell Bio Fluid Sync<sup>TM</sup>)를 인체 피부에 처리하여 세포활성을 관찰하고,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인체 피부 개선 효과를 연구 하였다. 피부 세포 활성을 보기 위해 각질세포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였고, 에너지 고갈 상태로 만들기 위해 3시간 동안 PBS에 전 처리한 후 이후 세포 배양액인 DMEM 및 등장액인 PBS,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sup>TM</sup>)에 각각 3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MTT assay와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체의 피부 개선 효능을 위한 임상 연구에 21명의 여성이 참여하였다.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1주일간 안면에 도포하였고, 수분량, 피부결, 밝기 그리고 피부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피험자가 세안 후 항온항습 조건(22 ± 2 ℃, 50 ± 5%)에서 20분 간 대기하고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ver.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sup>TM</sup>)가 세포 활성을 높이고 인체의 피부에서 수분, 거칠기, 밝기, 균일도, 투명도 등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ody fluid has been studied for diverse fields like Ringer’s solutions, artificial joint fluids, cell growth culture media because it plays a crucial role in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and acts as a solvent for diverse metabolite processes in the body and delivery media of mineral, energy source, hormone, signal and drug from and to cell via blood or lymphatic vessel by osmotic pressure or active uptake. Stratum corneum containing extracellular lipids and 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absorbs atmospheric water residing outside of cells and utilize it to hydrate inside of their own. This process is related to skin barrier func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cell viability test with Cell Bio Fluid Sync<sup>TM</sup> , which mimicks body fluids including amino acids, peptides, and monosaccharides to strengthen skin barrier, and the clinical skin improvement test with cosmetics containing Cell Bio Fluid Sync<sup>TM</sup>. In the cell viability test, HaCaT cell was treated with PBS for 3 hours, followed by the treatment of a cell culture medium (DMEM) and isotonic solution (PBS) and Cell Bio Fluid Sync<sup>TM</sup> for 3 hours each. Then, MTT assay and image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clinical skin improvement test, twenty-one healthy women participated. Participants applied cosmetics containing Cell Bio Fluid Sync<sup>TM</sup> on their face for a week and evaluated the skin hydration, skin roughness, brightness and evenness. Al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fter they washed off their face and took a rest under the constant temperature (22 ± 2 ℃) and constant humidity conditions (50 ± 5%) for 20 minutes.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1) softwar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Cell Bio Fluid Sync<sup>TM</sup> improved both the cell viability and in vivo skin conditions such as skin hydration, roughness, brightness and even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