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무기록정보분석실무 교재 구성에 관한 연구

        조상옥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9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extbooks used during practice classes at the university for medical record information analysis. We further suggest direc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books to enhance students' competency. After selecting seven frequently used university textbooks as the research subjects, we analyzed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237 medical records included in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August 2022.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essential contents and the latest knowledge were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textbook, and diverse diseases were included in each medical record. The most frequent diseases were malignant neoplasm, injury (due to poisoning and extrinsic diseases), and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disorders). It is expected that the excellence of textbooks can be enhanced by including more diverse diseases and exercises, which will help the students to hone their skills and understand the latest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trends.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의무기록정보분석실무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교재를 분석하여 향후 학생들의 역량 강화를위한 교재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최근 대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교재 7권을 선정한 후 교재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과 그에 수록된 의무기록 237권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는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재의 서론에는 필수내용과 최신 지견들이 수록되어 있었고, 각 의무기록에 포함된질환은 다양하였으며, 다빈도 질환은 악성 신생물 질환, 손상·중독 및 외인 질환, 임신·출산 및 산후기질환 등 이었다. 향후 교재에는 좀 더 다양하고 많은 연습문제가 수록되어, 학생들이 실력을 연마하고 최신 보건의료정보 추이를 파악할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보다 유익한 교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심혈관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들의 기여도 평가

        조상옥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is study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the risk factors that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s. The subjects were 20,012 adults aged 30~74 years who were enrolled from the 2005~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ad filled the risk factors data, and had no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AS 9.3, and a weighted composite sample design analysis was performed. The contribution was obtained by applying a squared semi-partial correlation. As a result, they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ge (63.9%), smoking (17.3%), systolic blood pressure (7.9%), diabetes (6.9%), antihypertensive medication use (3.0%), and BMI (0.9%) in men. In women, the contributions were in the order of age (54.1%), systolic blood pressure (23.5%), diabetes (13.6%), antihypertensive medication use (5.1%), smoking (3.1%), and BMI (0.6%%). According to age bracket analysis, smoking (51.8~33.7%) was the biggest risk factor, followed in order by age (26.6%) in their 30s and systolic blood pressure (17.3~21.0%) in those older than 40 years in men. In wome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56.2~40.5%) was the main contributor to the risk factors, followed by age (24.0%) in their 30s and diabetes (13.6~32.6%) in those older than 40 years. The contribution of the income level was similar. Therefore,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various programs that reflect the contributions of the risk factors should be developed. Moreover,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s basic data. 본 연구는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위험인자들의 기여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30세~74세 대상자 중 심혈관질환 기왕력이 없고, 6개 위험인자 관련 응답이 모두 존재하는 20,0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3으로 수행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을 수행하였고 기여도는 준부분상관제곱분석(squared semi-partial correlation)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연령(63.9%), 흡연(17.3%), 수축기 혈압(7.9%), 당뇨병(6.9%),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3.0%), 체질량지수(0.9%) 순이었으며, 반면 여성은 연령(54.1%), 수축기 혈압(23.5%), 당뇨병(13.6%),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5.1%), 흡연(3.1%), 체질량지수(0.6%) 순이었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인자 중에서 연령이 남녀 모두에게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 분석결과는 남성은 흡연(51.8~33.7%)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위험인자였으며, 그 다음으로 30대는 연령(26.6%), 40대 이상은 수축기 혈압(17.3%~21.0%) 이었다. 여성은 수축기 혈압(56.2~40.5%)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30대는 연령(24.0%), 40대 이상은 당뇨병(13.6%~32.6%)이었다. 소득수준별로는 기여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향후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위험인자를 중점 관리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심혈관질환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위험인자의 기여도가 반영된 심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준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Framingham Heart Study의 Heart Age Predictor를 활용한 한국인 심장나이 추이분석

        조상옥(Sang Ok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연구는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심장나이의 추이를 관찰하여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세~74세 대상자 중 심혈관질환 기왕력이 없고, 모형의 결정요인에 해당하는 자료의 결손이 없는 20,0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해 Framingham Heart Study 비실험실 자료를 이용하는 심장나이 산정 모형을 적용하여 심장나이를 계산하였으며 성별로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와의 차이, 연령대별 차이, 10년 이상 초과율, 지역별 차이에 대해 연도별 추이를 관찰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9.3으로 수행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의 평균 차이는 남성은 2005년에 7.8세, 2013년 7.7세, 여성은 2005년 1.2세 2013년 1.2세로 남성이 여성보다 컸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나이차이가 많아졌으며, 연도별로 뚜렷한 추이 변화는 없었다. 심장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10년 이상 초과한 비율은 남성은 2005년에 35.0%, 2013년에 34.8%, 여성은 2005년에 17.7%, 2013년에 18.7%로 남성이 여성보다 거의 두 배 정도 높았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차이가 많이 났다.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남녀 차이가 많았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한국인의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장나이는 미래의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종합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한국인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경고효과와 계도목적으로 현장에서 공중보건 관리에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한국형 심장나이 예측 모형의 개발을 위한 심층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rends of heart age of Koreans by using the predictor of heart age of the Framingham Heart Study. The subjects were 20,012 adults aged 30~74 years who were enroll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5~2013. They filled in the determinants data and they had no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The heart age was calculated using a non-laboratory based model of prediction. The difference of heart age and chronological age, and the rate of excessive heart age over 10 years were calculated. The annual tre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age bracket and geographic region, the heart age were all evaluated. Data analysis performed using the SAS program (version 9.3). Complex designed analysis was done. The heart ag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bracket and geographic region. The heart age is a useful comprehensive indicator for predicting the CVD events in the near future. So, it could be used for the purposes of exercising caution and guidance on CVD for administering medical ca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use heart age as an indicator for customized medical management to focus efforts on relatively vulnerable subjects and their factors for CVD. Further study on Koreans" customized heart age is needed.

      • KCI등재

        우주발사체 개발사업에서 신뢰성공학의 시스템엔지니어링 인터페이스

        신명호,조상,조미,Shin, Myoung Ho,Cho, Sang Yeon,Joh, Miok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06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2 No.1

        Development of launch vehicle needs a large-scale and complicated System Engineering discipline interfacing to small-quantity production with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In general, the System Engineering discipline of launch vehicle has its relationship with Production, Operations, Product Assurance and Management disciplines and its internal partitions into the functions of System Engineering Integration & Control, Requirements Engineering, Analysis, Design and Configuration and Verification. As a function of Product Assurance, reliability of launch vehicle plays an significant role in risk management, system safety, flight safety and launch certification through design assurance. Moreover, major functions of systems engineering are integrated by means of reliability in the phases of design and verification. Therefore, derailed identification of system engineering interfaces of reliability, and execution of tasks for reliability assurance is required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launch vehicle. This paper identifies specific pattern and mechanism of the interfaces between reliability and system engineering.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생활습관과 흡연경험의 연관성: 흡연경험자와 비경험자의 비교 중심으로

        이경희,강세리,조상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24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5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활습관과 흡연경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제17차(2021년)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으로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796 개 학교 54,84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변수는 일반적특성, 흡연유무와 생활습관인 식습관, 신체활동습관, 수면습관, 스트레스인지정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흡연유무에 따른 일반적특성과 생활습관의 차이는 빈도분석과 Pearson Chis-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생활습관이 흡연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8을 이용하였고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흡연경험이 없는 그룹보다 남학생이 더 많았다(67.4% : 50.1%)(p<0.001).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아침식사를 0일 하는 경우(27.7%), 과일섭취를 0번하는 경우(17.8%), 패스트푸드를 매일 3번이상 먹는 경우(0.9%)가더 많았다(p<.001).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습관은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60분 이상 숨이 찬 정도의 신체활동을 주 7회 하는 경우(8.4%), 고강도 신체활동을 주 5일 이상 하는 경우가(18.7%)가 더 많았다(p<.001). 수면을 통해 피로회복 정도는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전혀 충분하지 않다(21.6%)와 평상시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아주 심한 경우(17.2%)가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더 많았다(p<.001). 생활습관과 흡연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를 0일 하는 경우가 매일 하는 경우 보다 흡연가능성이 증가하였으며(OR=1.759, p<.001), 과일섭취를 0번 섭취하는 경우가 매일 3번 이상 섭취하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증가하였다(OR=1.921, p<.001). 패스트푸드 섭취를 0번 하는 경우는 매일 3번 이상하는 경우보다 흡연경험가능성이 감소하였다(OR=0.206, p<.001). 수면으로 피로회복정도가 충분한 경우는 충분하지 않는 경우보다흡연경험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OR=0.458, p<.001),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는 경우는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OR=1.260, p<.05). 결론: 청소년의 생활습관은 흡연경험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흡연행위 뿐만아니라 생활습관을 고려하여 다각적인 측면으로 교육 및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건강하고 올바른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eventing adolescents smoking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ifestyles and smoking experiences and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17th (2021)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data, encompassing 54,848 students from 796 schools. Variabl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status, lifestyle habits, physical activity, sleep patterns, and stress percep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while further analysis employed frequency analysis and the Pearson Chi-square test to compare lifestyle differences based on smoking presen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experience, with IBM SPSS Statistics 28 used for all analyses at a significance level of p<.05. Results: Analysis reveal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the group with smoking experience exhibited a higher proportion of male students (67.4%) compared to the non-smoking group (50.1%) (p<.001). Analysis revealed that the smoking group was more likely to skip breakfast (27.7%), not consume fruit (17.8%), and consume fast food more than three times daily (0.9%). Furthermore, a higher percentage of smokers engaged in 60 minutes or more of breathless physical activity (8.4%) seven times a week, reported insufficient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21.6%), and experienced very severe normal stress (17.2%) (p<.00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moking indicated increased likelihood of smoking with zero breakfast consumption (OR=1.759, p<.001) and increased fruit consumption (OR=1.921, p<.001), while zero fast food consumption decreased smoking likelihood (OR=0.206, p<.001). Adequate sleep-related fatigue recovery reduced smoking likelihood (OR=0.458, p<.001), whereas increased stress elevated it (OR=1.260, p<.05). Conclusion: Adolescents’ lifestyle habit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moking experienc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lifestyle factors in smoking prevention strategies. This study provides crucial insights for promoting healthy lifestyle changes to prevent smoking among youth.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보건소 직원과 지역주민의 코로나 블루 및 레드 유병 수준과 관련 요인

        서민지(Min-Ji Seo),조상옥(Sang-Ok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본 연구는 2년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보건소 직원과 지역주민의 코로나 블루 및 레드의 유병 수준, 관련 요인을 평가하여 코로나 유행 장기화에 효율적인 대처와 단계적 일상회복을 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부산광역시 B구 보건소 직원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표준화 설문지로 직접 면접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지의 표준 기준에 따라 코로나 블루, 코로나 레드로 분류하고 대상집단 및 대상자 특성별 유병률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MedCalc 프로그램(ver 20.011.)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59명 이었다. 연구결과는 코로나 유행 이전과 비교하여 일상생활 전반의 변화 인식은 평균 46.6점, 항목별로 ‘줄었다’ 응답률은 만남(91.5%), 운동(67.2%), 음주(32.8%) 순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대상 집단별 유병률은 직접대응 보건요원에서 코로나 블루 45.1%, 코로나 레드(2개 이상) 80.4%, 코로나 레드(3개 이상) 74.5%로 가장 높았다. 대상자 특성별 코로나 블루와 레드(3개 이상) 유병률은 일상생활 변화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경우(RR=3.12 & 2.28), 경제적 피해를 더 많이 염려하는 경우(RR=1.55 & 2.14) 유의하게 높았다. 코로나 블루 및 레드의 유병률은 코로나 대응 최일선을 담당하는 직접대응 보건요원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들에 대한 정신적 건강 지지 강화 및 맞춤형 관리 전략 개발과 적용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response to the prolonged coronavirus epidemic by evaluating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Corona blue and red among public health center servants and local resi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study method was a direct interview conducted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for public health center servants and local residents. Using the standard criteria of the questionnaire, it was classified as Corona blue and red, and the prevalence according to the target group and subject characteristics was compar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edCalc program(ver 20.011.). Two hundred and fifty-nine subjects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change in daily life compared to before the corona epidemic was 46.6 points, and the response rate of reduced by item decreased in the order of meeting (91.5%), exercise (67.2%), and drinking (32.8%). The prevalence rate, according to the target group, was highest in direct response to public health servants, with 45.1% of Corona blue, 80.4% of Corona red (2 or more), and 74.5% of Corona red (3 or more). The prevalence of Corona blue and red (3 or more) by subject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y perceived the changes in daily life as greater (RR=3.12 and 2.28) and when they were more concerned about economic damage (RR=1.55 & 2.14). The prevalence of Corona blue and red was the highest in direct response public health servants in charge of the frontline of coronavirus response.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and strengthening mental health support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