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론서(肇論序)」 연구

        조병활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1 No.-

        There are in no small numbers studies on Zhao Lun. However,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the Zhao Lun.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areas around the Zhao Lun and its surroundings that require deeper analyses. What era did Huida, the author of the Preface of Zhao Lun, live in? Is Huida (慧達) as the author of the Preface of Zhao Lun and Huida (惠達) as the author of the Annotation of Zhao Lun the same person or different persons? Why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 of the Annotation of Zhao Lun written by Huida (惠達) and the content of Yuankang (元康)’s the Annotation of Zhao Lun in the Tang Dynasty? These questions were still waiting for deeper researches. This paper has deeply analyzed these problems. 본고는 『조론』의 서문인 「조론서」와 관련된 문제, 즉 저자 혜달(慧達)의 생존연대, 「조론서」의 저자 혜달과 『조론소』의 편찬자 혜달(惠達)이 같은 사람인지, 혜달의 『조론소』와 원강(元康)의 『조론소』의 편집체제가 왜 다른지 등을 집중적으로천착했다. 연구 결과, 혜달(慧達)은 적어도 양나라부터 수나라 초기까지 살았던 인물이며, 「조론서」의 저자 혜달과 『조론소』의 저자 혜달(惠達)은 같은 사람이 아닌것으로 판단했다. 불교사상의 흐름에 따라 『조론소』 각 편에 대한 평가도 달라져 『조론소』(惠達)와 『조론소』(元康)의 편집 순서가 상이(相異)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열반학이 성행한 시기엔 「열반무명론」이 우대받았고, 반야학이 흥륭한 시기엔「물불천론」과 「부진공론」이 주목 받았기에 두 종류의 편집체제가 등장했다고 필자는 분석했다.

      • KCI등재

        <바세> 5종 필사본에 보이는 ‘김 화상 기록’ 비교 연구

        조병활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7

        There is considerable interest in Tibetan Buddhism throughout the world. Many people study Tibetan Buddhism and perform it according to Tibetan Buddhist practices. There is an old document that records how Tibetan Buddhism, which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formed and developed. It is dBa’ bzhed. dBa’ bzhed is an important document that systematically records the process of spreading Buddhism in the middle and late 8th century Tibet. It was not known exactly who the author was and the exact compilation year. Although there is a claim that dSa’ gSal sNang is the author, but there are a few counter arguments. Many later Tibetan historical books quoted from that book, so reliability of the records is recognized. It is a history book that must be examined when studying Tibetan ancient history. There is no record of how the 8th century Tibetan Buddhism is revived, why the confrontation between Bon and Buddhism in Tibet is caused, what did Shantarakshita and Padmasambhava play a role in the spread of Buddhism in Tibet, what process Sams Yas is built through, and why the so-called ‘Sams Yas Debate’ occurs as vividly as dBa’ bzhed. This is why Tibetan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dBa’ bzhed. ‘The existence of Kim hwashang’ has attracted attention to dBa’ bzhed in another respect. Is he a Korean or Chinese? If he is a Korean, why did he go to Sichuan Province, which is the middle region between Tibet and Tang? The existence of Kim hwashang reminded us of these questions at almost the same time. It is hard to answer these problems with the abbreviated record of dBa’ bzhed. Fortunately,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manuscripts dBa’ bzhed helps to explore Kim hwashang’s reality. dBa’ bzhed has been handed down in manuscript form until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Characteristically, there are a few possibilities that the subjectivity of the scribe will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writing. Classifying the existing manuscripts in detail, there are eight species, and in general, five species. If we compare the records of the Kim hwashang in these manuscripts,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reality of the Kim hwashang will be revealed. At least we can get more information about Kim hwashang now. This study divided the manuscripts of dBa’ bzhed into five type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cords on Kim hwashang in there and the contents of JiuTangShu(舊唐書) and XinTangShu(新唐書) in order to find the reality of Kim HwaShang and his around. <바세>는 8세기 중ㆍ후반 토번에 불교가 확산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중요한 문헌이다. ‘언제 누가 편찬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후대의 많은 티베트 역사서들이 인용할 정도로 유명하다. 티베트 고대사를 연구할 때 반드시 검토해야 될 사서(史書) 가운데 한 권이기도 하다. 8세기 토번불교가 어떻게 부흥됐는지, 본교와 불교의 대립은 무엇 때문인지, 샨타락시타와 파드마삼바바는 토번지역의 불교 확산에 무슨 역할을 했는지, 삼예사는 어떤 과정을 거쳐 건립됐는지, ‘삼예논쟁’은 왜 일어났는지 등에 대해 <바세> 만큼 생동적으로 알려주는 기록도 드물다. 티베트학 연구자들이 <바세>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김 화상’의 존재는 또 다른 점에서 <바세>를 주목받게 만들었다. 그는 한국인인가? 중국인인가? 한국인이라면 그는 왜 토번과 당나라의 중간 지역인 스촨성(四川省)에 가게 되었나? 김 화상의 존재는 이런 저런 의문들을 동시에 떠올리게 했다. 소략한 <바세>의 기록만으로 이런 문제들에 답변하기 힘들다. 다행히 다양한 필사본 <바세>가 있다는 점은 ‘김 화상 탐구’에 도움이 된다. 바세 는 20세기 중후반 이전까지 필사본 형태로 전해왔다. 그래서 옮겨 적는 과정에 필사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적지 않았다. 세밀하게 분류하면 8종, 대체적으로 나누어도 5종이나 현존한다. 이들 필사본에 있는 김 화상 관련 기록들을 비교하면 김 화상의 실체가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본고는 필사본 <바세>를 5종으로 구분한 뒤, 거기에 기재된 ‘김 화상 기록’과 <구당서(舊唐書)>ㆍ<신당서(新唐書)>의 내용을 대조ㆍ분석해 ‘김 화상의 실체와 그 주변’을 추적했다.

      • KCI등재

        유종원의 문학과 불교관 연구

        조병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2

        중당(中唐) 시기를 대표하는 문학가 가운데 한 명인 유종원은 사상가 이자 개혁을 지향했던 정치가였다. 805년 영정혁신이 실패한 후 좌천 되어 뜻을 펴지 못하고 지방을 떠돌다 득의와 실의가 교차된 생을 마쳤 다. 그러나 그로 인해 후대의 높은 평가를 받는 문장가이자 사상가로 다시금 태어날 수 있었다. 당송팔대가의 일인(一人)이자 탄탄한 문학이 론을 갖췄던 그는 고문운동(古文運動)을 주도했고, 여러 문학형식을 활용 해 주옥같은 시와 산문을 남겼다. 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불교를 믿었던 유종원은 천태사상을 받아들였으며 천태종 제12세로 기록될 만큼 천태사상 이해에 대단한 경지를 구축했다. 선사상에 대해서는 다소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계율을 지키지 않는 몇몇 선사(禪師)들의 방종과 일탈, 선문(禪門)의 분파와 분쟁 등이 주된 원인이었다. “불교 수행에선 선이 가장 오묘하다.”고 그가 인정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선종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선의 본질을 꿰뚫고 있었다. 치국(治國)의 도리로 유학을 가까이했고, 자신을 다스리고자 불교를 멀리하지 않았으며, 고문운동을 주도했고, 불교와 유교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주창했던 유종원은 당나라를 대표하는 사대부 가운데 한 명이라 할 수 있다. Liu Zong-Yuan, one of the representing literary figures of the Mid Tang Period, was a thinker and a politician who sought reform. After the failure of the YongZhen Innovation in 805, he cannot open his mind and was demoted and wandered around the provinces, ended his life in a cross between good and bad. However, this allowed him to be reborn as a writer and thinker who was highly appreciated by later generations. Having worked as a member of the Eight Great Men of Let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had a solid literary theory, he led the Ancient Literature Movement. Using various literary forms, he left poems and prose like gems. Liu Zong-Yuan, who understood the doctrines correctly and believed in Buddhism, accepted the Tientai Thought and built a great area for the understanding of Tientai Thought to be recorded in the 12th of Tientai Order. He took a somewhat critical stance on the Sǒn Thought. The main cause is that the disorganization and deviation of a few who do not follow the rules, the division and the dispute of the Sǒn Order. As he admitted, “The Sǒn is the most subtle in performing Buddhism,” he did not deny the Sǒn itself, but rather understood the true nature of the Sǒn. Liu Zong-Yuan, who advocated to study Confucianism to govern his country, did not abandon Buddhism to rule himself, led the Ancient Literature Movement, and claimed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had equal values,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cholar bureaucrat of the Tang Dynasty.

      • KCI등재

        「종본의」에 대한 주석(注釋)의 특징 연구

        조병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ZongBenYi(宗本義), which summarizes the contents of WuBuQianLun(物不遷論), BuZhenKongLun(不眞空論), BoReWu–ZhiLun(般若無知論), and NiePanWuMingLun(涅槃無名論) in ZhaoLun(肇論), is short but implicit. Some of the annotations in ZhaoLun have interpreted ZongBenYi, and some books do not contain ZongBenYi itself.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even kinds of annotations containing the interpretation of ZongBenYi.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graphs of YuanKangSu(元康疏), ZhaoLunZhongWuJiJie(肇論中吳集解)·ZhaoLunJiJieLingMoChao(肇論集解令模鈔),and ZhaoLunLüeZhu(肇論略注), which interpreted ZongBenY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ZhuZhaoLunSu(注肇論疏), JieShiZhaoLun(節釋肇論), and ZhaoLunXinSu(肇論新疏) are characterized by understanding ZongBenYi based on Hwaeom(華嚴) thought and DaChengQiXinLun(大乘起信論), and ZhaoLunLüeZhu suggests the whole view of ZhaoLun through analysis of ZongBenYi. In other words, the perspective of HanShan(憨山) that WuBuQianLun which refers to the conventional truth(俗諦) and BuZhenKongLun which explains the ultimate truth(眞諦) are the object of observation and BoReWuZhiLun explains the wisdom of the observer, and that these three articles are the cause and NiePanWuMingLun which explains the nirvana is the effect, is the standpoint was worthy of savoring. 『조론』 서두(序頭)에 붙은 「종본의」는 「물불천론」·「부진공론」·「반야무지론」·「열반무명론」의 내용을 요약한 짧은 글이다. 『조론』의 주석서 가운데 일부는 「종본의」를 해석했고, 어떤 책은 「종본의」 자체를 싣고 있지 않다. 본고는 「종본의」에 대한 해석을 수록하고 있는 주석서 7종의 특징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반야·중관사상으로 「종본의」를 해석한 『원강소』, 『조론중오집해』·『조론집해령모초』, 『조론략주』 등의 단락 구분이 서로 다름을 확인했다. 『주조론소』·『절석조론』·『조론신소』는 화엄사상과 『대승기신론』에 입각해 「종본의」를 설명한 것이 특색이며, 『조론략주』는 「종본의」 분석을 통해 조론 전체를 통괄(統括)하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다시 말해 『조론략주』에 나오는 “속제를 말한 「물불천론」과 진제를 설명한 「부진공론」은 관찰 대상에 해당되고 「반야무지론」은 관찰하는 주체의 지혜를 설명하기에 세 편은 원인이며, 열반을 설명한 「열반무명론」은 과(果)가 된다.”는 감산의 의견은 음미할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물불천론」(物不遷論) 연구(1) – ‘성주(性住)’ 개념을 중심으로 –

        조병활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6 No.-

        A Study on the Wu Bu Qian Lun (Ⅰ)-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Dwelling in nature’ (性住) - 후진(後秦)의 승조가 쓴 「물불천론」은 사물의 움직임[遷]과 움직이지 않음[不遷]을 논한 유명한 글이다. 또한 논쟁적인 글이기도 하다. 「물불천론」에 2번 사용된 성주(性住), 즉 ‘본성은 머문다.’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를 두고 쟁론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성주’에 대해 처음 문제를 제기한 사람은 당나라의 징관(澄觀)이다. 그는 『화엄경수소연의초』에서 “승조 스님이 말한 의미를 살피건대 이미 사물의 각 본성은 한 곳에 머물러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소승에서 흘러나온 주장으로 이곳에서 다른 나머지 장소로 사물이 옮겨가는 것을 용인하지 않는다.”고 논평했다. 명나라 말기의 사문 진징(鎭澄)은 징관의 이 말을 토대로 「물불천론」을 분석해 승조를 비판했다. 그러자 감산(憨山), 진계(眞界), 도형(道亨) 등 여러 사람들이 진징을 공박하는 등 이른바 ‘「물불천론」 논쟁’이 약 30년 동안 당시 불교계를 뒤흔들었다. 본고는 당나라의 징관, 오대(五代)의 연수(延壽), 명나라의 진징 등 세 사람이 ‘성주’를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중심으로 「물불천론」의 내용을 조명했다. 징관은 ‘성주’를 ‘성공(性空)’으로 파악했고, 연수도 성주가 바로 성공이라고 지적했다. 징관과 연수는 “성주가 성공이므로 불천(不遷)”이라는 것이다. 반면 진징은 “주장은 있으나 논거가 없는 글이 「물불천론」”이라며 “성주는 성공이 아니고 오히려 상견(常見)을 상징하는 말”이라고 정반대로 해석했다.

      • KCI등재

        「물불천론(物不遷論)」 주석(注釋)의 특징 비교 연구 - 송·원·명대 주석을 중심으로

        조병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The SengZhao’s WuBuQianLun(物不遷論), which discusses the movement[動] and non-movement[靜] of an object, is a short article that was sometimes controversial. This is because the word ‘Dwelling-in-nature(性住)’ and the contents related to it. Perhaps that is why there are not a few commentaries who have commented on the WuBuQianLun.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aries in the Song(宋), Won(元), and Ming(明) Dynasty among them. The ZhuZhaoLunShu(注肇論疏), written by ZhunShi(遵式) of the Song(宋) Dynasty, is characterized by explaining the WuBuQianLun by ci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hesis. It is compared to the Tang(唐) Dynasty’s YuanKang(元康) which quoted many Chinese classics and commented on the WuBuQianLun. The ZhaoLunXinShu(肇論新疏), written by the WenCai(文才) of the Yuan(元) Dynasty, explained the WuBuQianLu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extensive understanding of doctrine’. The WenCai’s point that “if you are trapped in a letter and lose its meaning, every letter becomes a swelling or boil” gives a lot of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Dwelling-in-nature(性住)’. In order to refute the WuBuQianZhengLiangLun(物不遷正量論), which criticized the WuBuQianLun, the WuBuQianLunBianJie(物不遷論辯解) written by the ZhenJie(眞界) of the Ming Dynasty and the WuBuQianZhengLiangLunZheng(物不遷正量論證) written by the DaoHeng(道衡) in the Ming Dynasty are prominent in that they developed discussions in the way of Buddhist logic. The logical criticism of the ZhenJie(眞界) and the DaoHeng(道衡) suggests that there was an atmosphere that emphasized doctrinal research in the Buddhist world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he ZhaoLunLüeZhu(肇論略注) written by the HanShan(憨山) which emphasizes ‘personal experience’ and ‘doctrinal research’ together is regarded as the last commentary of the traditional meaning of ZhaoLun and is an excellent book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사물[事]의 움직임[動]과 움직이지 않음[靜]을 논의한 승조의 「물불천론(物不遷論)」은 때때로 논란의 대상이 됐던 짧은 글이다. ‘본성(本性)은 머문다’는 ‘성주(性住)’라는 말과 그와 관련된 내용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물불천론」을 해설한 적지 않은 주석(注釋)들이 현존한다. 본고는 이들 가운데 송(宋)·원(元)·명(明)대 주석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했다. 송나라 준식(遵式)이 쓴 『주조론소(注肇論疏)』는 경전과 논서를 인용해 「물불천론」을 설명한 것이 특색이다. 당나라 원강(元康)이 중국 고전을 많이 인용해 해설한 것과 비교된다. 원나라 문재(文才)가 쓴 『조론신소(肇論新疏)』는 ‘개인적인 체험’과 ‘교리에 대한 해박한 이해’에 근거해 「물불천론」을 설명했다. “만약 문자에 갇혀 의미를 잃으면 모든 글자가 부스럼이나 종기가 된다.”는 문재의 지적은 ‘성주(性住)’를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를 준다. 「물불천론」을 비판한 『물불천정량론(物不遷正量論)』을 논박하기 위해 명나라 진계(眞界)가 쓴 『물불천론변해(物不遷論辯解)』와 명나라 도형(道衡)이 쓴 「물불천정량논증(物不遷正量論證)」은 삼지작법의 논식(論式)으로 논의를 전개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진계와 도형의 논리적 비판은 명나라 말기 불교계에 교리 연찬(硏鑽)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수행 체험’과 ‘교리 연찬’을 함께 중시하는 입장에서 쓴 감산(憨山)의 『조론략주(肇論略注)』는 ‘『조론』에 대한 전통적 의미의 마지막 주석’으로 평가되며, 명나라 말기의 불교계를 대표하는 뛰어난 저서이다.

      • KCI등재

        「물불천론(物不遷論)」 주석(注釋)의 특징 비교 연구

        조병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2

        The WuBuQianLun(物不遷論) written by SengZhao(僧肇) is a famous article in Chinese thought history, and it is also a sentence tha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with the title and content of ‘things do not move’. Since ChengGuan(澄觀) raised the issue in the Tang Dynasty, a number of people hav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WuBuQianLun.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WuBuQianLun for more than a decade. For this reason, many comments about WuBuQianLun exist.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that interpreted the WuBuQianLu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visions of paragraphs such as HuiDa(惠達)’s commentary of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YuanKang(元康)’s commentary of Tang Dynasty, and MiSi(秘思) and JingYuan(淨源)’s commentaries of Song Dynasty were different. HuiDa pointed out that SengZhao used the word ‘buqian(不遷)’ to eliminate people’s obsession with ‘WuChang(無常)’, and used the word ‘YuDi(於諦)’, which was commonly used by the SanLunXue(三論學) school. On the other hand, YuanKang contrasted manuscripts, was interested in linguistic aspects, and quoted many Chinese classics to explain WuBuQianLun.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MiSi and JingYuans’ commentaries that there is a review of the evaluation of the mid 11th century of the ZhaoLun(肇論). All the annotations that are the subject of analysis have logical and systematic characteristics, but the taste of consistent seems to be stronger in the YuanKang’s commentary. 승조가 지은 「물불천론(物不遷論)」은 중국사상사에서 유명한 글이다. ‘사물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제목과 내용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온 문장이기도 하다. 당나라 징관(澄觀)이 문제를 제기한 이래 적지 않은 사람들이 「물불천론」의 내용을 분석했다. 명나라 말기엔 「물불천론」의 해석 문제를 놓고 10여 년 동안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저런 이유로 「물불천론」에 대한 많은 주석이 현존한다. 이 논문은 「물불천론」을 해석한 주석서들의 내용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위진남북조 시대 혜달(惠達)의 소(疏), 당나라 원강(元康)의 소(疏), 송나라 비사(秘思)·정원(淨源)의 주석 등의 단락 구분이 서로 다름을 확인했다. 혜달은 사람들이 ‘무상(無常)’에 집착하는 것을 없애기 위해 승조가 ‘불천’이라는 말을 사용했다고 지적했으며, 삼론학파가 상용한 ‘어제(於諦)’라는 말을 활용했다. 반면 원강은 필사본들을 대조하고, 언어학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갖고, 중국 고전을 많이 인용해 「물불천론」을 설명했다. 『조론』에 대한 11세기 중기의 평가를 담은 평론이 실려 있는 것이 비사·정원 주석의 특색이다. 분석의 대상인 주석서들이 모두 논리성과 체계성을 갖추고 있으나 여일(如一)한 맛은 「원강소」가 보다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종본의(宗本義)」 연구

        조병활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2 No.-

        JongBenYi (宗本義), which summarizes the contents of WuBuQian Lun (物不遷論), BuZhenKongLun (不眞空論), BoReWuZhiLun (般若無知論), and NiePanWuMingLun (涅槃無名論), is a short but meaningful article. Not a few scholars have studied JongBenYi. Some scholars argued that this work was written by the SengZhao, but other scholars argue that it is not the work of SengZhao. This paper judged that JongBenYi was written by a person who understood the thought of SengZhao through linguistic analysis, ideological comparison, and literature review. For, while the style of the WuBuQianLun, the BuZhenKong Lun, and the BoReWuZhiLun is fluent and gorgeous, the sentence of JongBenYi is not so; the main points in the contents of the JongBenYi are different from the emphasis on the WuBuQianLun, BuZhenKong Lun, BoReWuZhiLun, and NiePanWuMingLun; JongBenYi was not listed in FaLunMuLu (法論⽬錄), GaoSengZhuan (高僧傳), ZhongJingMu Lu (衆經⽬錄), LiDaiSamBaoJi (歷代三寶紀), and DaTangNeiDianLu (大唐內典錄). 「물불천론」·「부진공론」·「반야무지론」 등의 내용을 요약한 「종본의(宗本義)」 는 짧지만 의미가 함축된 글이다. 적지 않은 학자들이 「종본의」를 연구했다. 어떤 학자는 승조가 지은 글이라고 주장했고, 일부 학자는 승조의 저작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본고는 언어학적 분석, 사상적인 비교, 문헌학적인 검토 등을 통해 「종본 의」는 승조의 사상을 이해한 사람이 지은 글이라고 판단했다. 「물불천론」·「부진 공론」·「반야무지론」의 문체가 유창하고 화려하다면, 「종본의」의 문투는 그렇지 못하다. 「종본의」에 축약된 내용과 「물불천론」·「부진공론」·「반야무지론」·「열반 무명론」 등이 강조하는 주안점이 서로 다르다. 법론목록 · 고승전 · 중경목록· 역대삼보기 · 대당내전록 등에 「종본의」가 기재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한편, 고승전 이 늦어도 554년 이전에 찬술됐고 혜달(慧達)이 진나라 수나라 교체기인 581-589에 「조론서」를 지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종본의」는 554년에서 589년 사이의 어느 때, 즉 고승전 편찬 이후부터 「조론서」가 찬술 되기 전의 어느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필자는 파악했다.

      • KCI등재

        「조론서(肇論序)」의 주석(注釋) 연구

        조병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Zhao Lun is a book that tak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low of Chinese thought. Every time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annotations and writings about Zhao Lun appeared. Preface of Zhao Lun written by Huida in the Chen Dynasty is one of them. This is not a systematic analysis of Zhao Lun. It is a short article that comprehensively looks at the articles included in Zhao Lun. It is noteworthy that it is the early writings in which the words Introductory Chapter and Zhao Lun appeared. YuanKang of the Tang Dynasty and JingYuan of the Song Dynasty commented Zhao Lun in the Annotation of Zhao Lun and Zhao Lun Ji Jie Ling Mo Chao respectively. LeTanXiaoYue of the Song Dynasty also wrote Jia Ke Zhao Lun Xu Zhu. It is relatively long among the three. YuanKang’s Annotation of Zhao Lun is the first existing systematic commentary on Preface of Zhao Lun. It is noteworthy that XiaoYue’s Annotation of Zhao Lun and JingYuan’s Annotation of Zhao Lun inform the buddhist situation of the Song Dynasty. After reviewing the life of YuanKang, XiaoYue, and JingYuan, this paper intensively examined how they interpreted Zhao Lun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nnotations etc. 『조론』은 중국사상의 흐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책이다. 중국불교 역사의 매 시기마다 『조론』에 관한 주석서와 글들이 등장했다. 진나라(陳, 557-589) 혜달(慧達)이 쓴 「조론서(肇論序)」도 그 가운데 하나다. 이글은 『조론』을 체계적으로는 분석한 주석서는 아니다. 『조론』에 포함된 글들을 종합적으로 조망한 짧은 글이다. 「종본의」와 『조론』이라는 말이 등장하는 초기의 글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당나라 원강(元康)과 송나라 진수정원(晉水淨源, 1011-1088)은 각각 『조론소』와 『조론집해령모초』에서 「조론서」를 상세하게 주해(注解)했다. 송나라 늑담효월(泐潭曉月)도 「조론서」를 해설한 『협과조론서주(夾科肇論序注)』를 지었다. 이해력이 아주 뛰어났던 원강은 장안 안국사에 주석하며 중관(中觀)의 이치를 밝히는 글들을 지었다. 낭야혜각(琅琊慧覺)의 제자인 늑담효월의 생애를 알려주는 기록은 매우 소략하다. 불일계숭(佛日契嵩, 1007-1072)의 글을 모은 『담진문집(鐔津文集)』에 「여석문월선사(與石門月禪師)」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효월과 계숭이 친밀한 관계임을 알 수 있는 정도다. 송대 화엄학의 중흥조를 평가되는 정원은 『조론』과 『조론중오집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조론집해령모초』를 1061년 전당(錢塘, 항주) 현성정사(賢聖精舍)에서 찬술했다. 원강의 『조론소』는 「조론서」에 대한 현존하는 최초의 체계적인 주석이다. 『협과조론서주』와 『조론집해령모초』는 송나라의 불교 상황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원강·효월·정원의 생애를 조망한 뒤 그들이 「조론서」를 어떤 입장에서 풀었는지, 세 편 주석의 특징은 무엇인지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