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x-vector를 이용한 다화자 음성합성 시스템

        조민수,권철홍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최근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이 성장하면서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음성합성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음색의 목소리를 생성할 수 있는 다화자 음성합성 시스템이 필요하다. 자연스러운 음 성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고품질 음성 DB로 학습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많은 화자가 발화한 고품질의 대용량 음성 DB를 수집하는 것은 녹음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각 화자별로는 소량의 학 습 데이터이지만 매우 많은 화자의 음성 DB를 사용하여 음성합성 시스템을 학습하고, 이로부터 다화자의 음색과 운 율 등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인식 기술에서 사용하는 딥러닝 기반 x-vector 기법을 적용하여 화자 인코더를 구성하고, 화자 인코더를 통해 소량의 데이터로 새로운 화자의 음색을 합성하는 기술 을 제안한다. 다화자 음성합성 시스템에서 텍스트 입력에서 멜-스펙트로그램을 합성하는 모듈은 Tacotron2로, 합성음 을 생성하는 보코더는 로지스틱 혼합 분포가 적용된 WaveNet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된 화자 임베딩 신경망에서 추출한 x-vector를 Tacotron2에 입력으로 추가하여 원하는 화자의 음색을 표현한다. With the recent growth of the AI speaker market, the demand for speech synthesis technology that enables natural conversation with users is increas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ulti-speaker speech synthesis system that can generate voices of various tones. In order to synthesize natural speech, it is required to train with a large-capacity. high-quality speech DB.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in terms of recording time and cost to collect a high-quality, large-capacity speech database uttered by many speak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the speech synthesis system using the speech DB of a very large number of speakers with a small amount of training data for each speaker, and a technique for naturally expressing the tone and rhyme of multiple speakers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speaker encoder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based x-vector technique used in speaker recognition technology, and synthesizing a new speaker's tone with a small amount of data through the speaker encoder. In the multi-speaker speech synthesis system, the module for synthesizing mel-spectrogram from input text is composed of Tacotron2, and the vocoder generating synthesized speech consists of WaveNet with mixture of logistic distributions applied. The x-vector extracted from the trained speaker embedding neural networks is added to Tacotron2 as an input to express the desired speaker’s tone.

      • KCI등재

        눈벌림부족 환자에서 시행한 양안 외직근 접치기술의 결과

        조민수,박수철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3

        Purpose: Divergence insufficiency is characterized by esotropia at far distance with symptomatic diplopia, minimal or no deviation at near distance, and full ocular duction and version. We analyzed the results of bilateral lateral rectus (BLR) tucking in patients with divergence insufficiency. Methods: Surgery was performed on patients with persistent distance diplopia with esotropia for at least 6 months after diplopia onset. The surgical results were evaluated after BLR tucking based on the maximum angle of deviation at distance among all the angles of deviation measured repeatedly, including the results of the prism adaptation test (PAT). Results: 24 patients were include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1-48 months). The maximum deviations measured by alternate prism and cover test before surgery were 24.79 ± 8.15 prism diopter (PD) at far distance and 15.45 ± 9.30 PD at near distance. The PAT revealed that, the far distance deviation increased to 28.50 ± 7.77 PD and that at near distance to 25.88 ± 8.07 PD,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fell to less than 3 PD on average. In 14 patients (58%), followed-up for up to 1 year, we noted no recurrence of diplopia or esotropia, or near distance overcorrection, with the exception of one patient who developed diplopia recurrence at far distance. Conclusions: BLR tucking guided by the maximum distance deviation of the 1 hour PAT affords stable results in patients with divergence insufficiency without overcorrection at near distance or undercorrection at far distance. 목적: 눈벌림부족은 원거리 주시 시 일치내사시 및 비교차복시를 호소하고 근거리에서 작은 각의 내사시 또는 정위를 보이며 외전장애를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눈벌림부족 환자에서 양안 외직근 접치기술을 시행한 후 수술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눈벌림부족 증상 발현 후 최소 6개월 이상 원거리에서 복시와 일치내사시가 지속된 환자에서 프리즘적응검사를 포함하여 반복 측정된 모든 사시각 중 최대 원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양안 외직근 접치기술을 시행한 후 수술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은 24명이었으며 수술 후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14개월(1-48개월)이었다. 프리즘교대가림검사의 최대사시각은 원거리24.79 ± 8.15 prism diopter (PD), 근거리 15.45 ± 9.30 PD였고, 프리즘적응검사 후에는 원거리 28.50 ± 7.77 PD, 근거리 25.88 ± 8.07 PD로 증가하였으나 원-근거리 차이는 평균 3 PD 이하로 감소하였다. 수술 1년째까지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14명(58%)에서는 원거리에서 복시가 재발한 1명을 제외하면 최종 경과 관찰 시까지 복시나 내사시의 재발, 근거리에서 과교정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눈벌림부족 환자에서 1시간 프리즘적응검사로 측정한 최대 원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양안 외직근 접치기술을 시행하면 근거리에서 과교정이나 원거리에서 저교정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로슬래그미분말(GGBS)과 시멘트(OPC) 결합재에 알칼리자극제를 혼입한 보수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 및 산에 대한 저항성 연구

        조민수,최은석,이진용 한국콘크리트학회 2022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보수모르타르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수행을 위한 보수모르타르의 배합은 첫 번째는 결합재를 100 %의 시멘트로 사용하는 배합(OPC), 두 번째는 GGBS를 100 % 사용하는 배합(AAM300-0), 그리고 세 번째는 GGBS 70 %에 시멘트를 30 % 혼입하고, 알칼리자극제를 추가한 배합(AAM300-1)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초기실험 결과에서 AAM-0의 부착강도가 보수모르타르 기준(KS F 4042)에 미치지 못해서 내구성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보수모르타르의 기초물성과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X-선 회절분석, 열중량분석, 염소이온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산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산류에 시험체를 침지시켜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시멘트를 100 % 사용하는 기존 보수모르타르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AAM300-1 배합이 초기 압축강도와 부착강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열과 염소이온 투수에 대한 저항성이 높으며, 특히 내산성이 기존의 보수모르타르(OPC)에 비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Vacuolar zinc transporter Zrc1 is required for detoxification of excess intracellular zinc in the human fungal pathogen Cryptococcus neoformans

        조민수,Guanggan Hu,Mélissa Caza,Linda C. Horianopoulos,James W. Kronstad,정원희 한국미생물학회 2018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6 No.1

        Zinc is an important transition metal in all living organisms and is required for numerous biological processes. However, excess zinc can also be toxic to cells and cause cellular stress. In the model fungus Saccharomyces cerevisiae, a vacuolar zinc transporter, Zrc1,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storage and detoxification of excess intracellular zinc to protect the cell.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n ortholog of the S. cerevisiae ZRC1 gene in the human fungal pathogen Cryptococcus neoformans. Zrc1 was localized in the vacuolar membrane in C. neoformans, and a mutant lacking ZRC1 showed significant growth defects under high-zinc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a role for Zrc1 in zinc detoxification. However,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expression of Zrc1 was induced in cells grown in zinc-limited conditions and decreased upon the addition of zinc. These expression patterns were similar to those of Zip1, the high-affinity zinc transporter in the plasma membrane of C. neoformans. Furthermore, we used the zrc1 mutant in a murine model of cryptococcosis to examine whether a mammalian host could inhibit the survival of C. neoformans using zinc toxicity. We found that the mutant showed no difference in virulence compared with the wildtype strain. This result suggests that Zrc1-mediated zinc detoxification is not required for the virulence of C. neoformans, and imply that zinc toxicity may not be an important aspect of the host immune response to the fungus.

      • KCI등재

        자유 축척 그물망 위에서의 Axelrod 모델

        조민수,김홍주,육순형,김엽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1

        We study the Axelrod model, which describes the formation and spreading of cultural consensus on scale-free networks. A scale-free network is a network whose degree distribution satisfies a power law, P(k)~k-γ. In the Axelrod model, the variable q, which represents the cultural diversity, has a threshold qc. For q<qc, the system or the society is in an ordered state in which all agents have the same culture. On the other hand, when q>qc, all agents have different culture, and the systems is in a disordered state.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 of the underlying topology on the properties of the order-disorder phase transition. Using a finite-sized scaling analysis, we find that qc satisfies the power-law qc(N)~Nβ (β>0) when γ≤3. Here N is the size of the network.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ystem is always in an ordered state for any q in the limit N→∞. However, when γ≤3>, the system undergoes a phase transition at finite qc as N→∞ 우리는 다리수 분포 (degree distribution)가 P(k)~k-γ를 만족하는 자유 축척 그물망 위에서 문화의 형성과 파급에 관한 Axelrod 모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Axelrod 모형에서는 다양성을 나타내는 변수 q에 대하여 임계값 qc가 존재한다. 즉 q<qc일 때는 문화계의 구성 원소들의 대부분이 단일문화에 속하는 질서상태가 되고, q>qc일 때는 구성 원소들이 서로 다른 문화를 갖게되는 무질서상태가 된다. 이런 질서-무질서 상전이 현상의 특성이 자유 축척 그물망의 다리수 지수γ 에 의존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였다. γ≤3에서는 qc가 유한 그물망의 크기 N에 대하여 qc(N)~Nβ (β>0)와 같은 멱법칙을 만족함을 유한 크기 축척 (finite size scaling)이론을 사용하여 알아내었다. 이는 N→∞ 일 때 또는 무한크기의 그물망위에서는 상전이는 존재 하지 않고 문화계는 어떤 q에서도 항상 질서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γ>3에서는 N→∞일 때 유한한 qc에서 상전이가 나타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