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조물의 강성구조에 따른 파동 전파 특성의 이해(Ⅰ)

        조미라,홍창국,김기봉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01 環境科學硏究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현장 적용성으로 구조물의 비파괴 건전도 평가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 향상과 정확도 개선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전파되는 탄성파의 전파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한 요소해석기법과 동강성행렬법을 도입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로써 기존에 보고되고 있는 총격반향기법의 수정이론을 검증하고 구조물의 전단강성구조에 따른 P파와 SH파의 전파 특성 등에 의한 평가방법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향기법의 실험자료 분석 및 해석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ropagation of the elastic waves transmitting concrete structures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mpact echo test, which is recognized as an excellent nondestructiv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structural integrit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analytical method of the dynamic stiffness matrix method were introduc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wave propagation, The study was first dedicated to the verification of the modified impact echo test (Kim, et at.,2001 ; Cho,2001), and then to the effects of factors such as stiffness structure and wane type (P-wave and SH-wave). This research enabled the impact echo test to be more reliable i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 파동전파에 대한 감진기 위치의 영향 및 3-D 효과

        조미라,김기봉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2002 環境科學硏究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현장 적용성으로 구조물의 비파괴 건전도 평가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 향상과 정확도 개선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전파되는 탄성파의 전파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충격반향실험시 선택되는 감진기의 위치 7.5 cm 에 대한 이론적인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충격반향실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여러 위치에서의 탄성파 응답특성을 비교 하였다. 충격반향이론이 형상계수를 이용하여 수정되어야 하는 이유가 3-D 효과 때문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3-D 축대칭 요소 해석, 2-D 평면요소 해석, 2-D 평면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각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향기법의 실험자료 분석 및 해석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The propagation of the elastic waves transmitting concrete structures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mpact echo test, which is recognized as an excellent nondestructiv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structural integrit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receiver location of 7.5 cm, which is usually recommended.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particle displacements were calculated at several locations of receivers. The analysis has the objective to Check if the Shape factor Should be used in the Impact-Echo theory vainly due to the 3-D condition of the measurements. This research enabled the impact echo test to be more reliable i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 KCI등재

        애니메이션과 웃음-‘텍스 에이버리와’와 ‘척 존스’의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조미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esthetic meaning that ‘laughter’ has in animations. To attain the goal,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aesthetic meaning that ‘laughter’ has in animations focused on Tex Avery and Chuck Jones’ works which had completed a new style of so-called ‘gag animation’, and the research contents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in the initial phase (form) of animations, the animation world consisted of the real world to draw a picture and the animation world where the picture was drawn (moving), and particularly, ‘human hands’ played roles as a crucial medium that connected the two worlds. It is the very structure where the animation world is either unfolded or becomes a real worl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bsence) of ‘hands’. Therefore, laughter in the early stage of animations can be said to be ‘the laughter of wonder’ coming from motions unfolded like a magic by ‘human hands’. Second, differently from the early form of animations, in the 1940’s with Tex Avery and Chuck Jones, people came to enjoy the media of animation itself. In other words, as the world that was possible only because it was an animation was unfolded such as development of surreal situations and destruction of natural law and logic, they discovered and created ‘laughter’ in the media play of animations. Third, laughter in Tex Avery and Chuck Jones’ animations is closely associated with ‘self-reflection’ that ‘incompatible worlds coexist on the same layer’. As the world that is firmly structuralized collapses in a moment, it gets extended to free imagination that is irrelevant to rational logic. Therefore, laughter in animation can be the pleasure that is unfolded in the process of overthrowing fixated and perpetual meaning or logic. 본 연구의 목표는 애니메이션에서 ‘웃음’이 갖는 미학적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위 ‘개그 애니메이션’이라는 새로운 스타일을 완성한 ‘텍스 에이버리’와 ‘척 존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에서 ‘웃음’이 갖는 미학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초기 시대(형태)의 애니메이션은 그림을 그리는 현실 세계와 그림이 그려지는(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세계로 구성되어있으며, 특히 ‘인간의 손’은 이 두 세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손’의 등장과 부재(사라짐)에 따라 애니메이션 세계가 펼쳐지기도 하고 현실 세계가 되기도 하는 구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처럼 초기 애니메이션에서의 웃음은 ‘인간의 손’에 의해 마술처럼 펼쳐지는 움직임에서 오는 ‘놀라움의 웃음’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초기 형태의 애니메이션과 달리 텍스 에이버리와 척 존스에 이르러서는 애니메이션이라는 미디어 자체를 즐기게 된다. 즉 비현실적인 상황 전개, 자연법칙과 논리의 파괴 등 애니메이션이기에 가능한 세계를 펼쳐냄으로써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적 유희에서 ‘웃음’을 발견하고 창조한다. 셋째, 텍스 에이버리와 척 존스 애니메이션에서의 웃음은 ‘양립할 수 없는 세계가 동일한 층위에 공존’하는 ‘자기반영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것은 견고하게 구조화되어 있는 세계가 일순간에 무너지면서 이성적 논리와 무관한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에서의 웃음은 고정화되고 영속적인 의미나 논리를 전복시키는 과정에서 펼쳐지는 즐거움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죽음과 애도-‘죽음’에 이르는 서사 종결 유형을 중심으로-

        조미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significance of death and mourning depicted in Korean animated feature films released since 2000 that either end with ‘death’ of a main character or have ‘death’ as the motif, such as <Oseam>, <Leafie> and <The King of Pigs>. Korean animated features produced after 2000 are mainly characterized with themes like ‘memory’, ‘recollection’ along with ‘love’ and ‘death’. This signifies that, in contrast to Hollywood style epics or spectacle fantasy films, Korean animation movies bring specific reality into focus. Such trend found in Korean animated features is well observed through death and mourning narrated in <Oseam>, <Leafie> and <The King of Pigs>. The movie <Oseam> illustrates desperate belief of leveraging ‘love’ to salvage a man destined to face death while <The King of Pigs> criticizes the reality of ‘mourning’ per se not being allowed in the Korean society where ‘survival’ equates to power. Meanwhile, the movie <Leafie> captures death with dignity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a self-chosen life.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animated features with a main character ‘dying’ in the end angle a spotlight at certain aspect of the Korean society where it is impossible to have proper moments of mourning due to complete exclusion of death from life. It is daunting to present death through art in any form, not alone animation. It is intrinsically impossible to put death in words. Still, no death is ever abstract to be sure. Therefore, the significance attached to <Oseam>, <Leafie> and <The King of Pigs> is that these animations shed light on themes of ‘death’ and ‘mourning’, which shall not be forgotten in life and art.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개봉한 작품 중에서 주인공의 ‘죽음’으로 종결을 맺거나 ‘죽음’을 주요 모티프로 한 <오세암>, <마당을 나온 암탉>, <돼지의 왕>을 중심으로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에 묘사된 죽음과 애도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0년대 이후 제작된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주요 키워드는 ‘추억’과 ‘기억’, 그리고 ‘사랑’ 과 ‘죽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한국 애니메이션이 할리우드식의 영웅담이나 스펙터클한 판타지 보다는 구체적인 리얼리티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세암>, <마당을 나온 암탉>, <돼지의 왕>에서 다뤄진 죽음과 애도 역시 이러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경향을 보여준다. <오세암>은 죽음 앞에서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을 ‘사랑’으로 구원하고자 하는 간절한 믿음이, <돼지의 왕>에서는 ‘살아남기’가 권력이 된 한국 사회에서 ‘애도’ 자체가 봉쇄된 현실에 대한 비판을, 그리고 <마당을 나온 암탉>은 스스로 선택한 삶을 지켜내기 위한 죽음의 존엄성을 담아내고 있다. 이처럼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이 ‘죽음’에 이르는 종결 유형이 적지 않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죽음이 삶으로부터 배제되면서 정상적인 애도가 불가능하게 된 한국 사회의 일면을 반영한다 할 것이다. 애니메이션을 포함하여 어떤 예술이든 죽음을 표현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죽음이란 근본적으로 언어 표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확실한 것은 추상적인 죽음은 없다는 것이다. <오세암>, <마당을 나온 암탉>, <돼지의 왕>이 갖는 의미 역시 삶과 예술이 놓쳐서는 안 될 ‘죽음’과 ‘애도’의 구체적인 문제를 애니메이션의 주요한 화두로 제시했다는 데 있다 할 것이다.

      •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 교사수준의 제7차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조미라,김경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제7차 재량활동이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에서 그 의도를 어떻게 파악·편성하고 있는지를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학교현장(교사수준)에서 시행되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실태조사를 통해 편성의도와의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현행 재량활동 교육과정은 상급기관의 교육과정 편성지침은 반영하고 있으나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의도 및 취지’와 비교하여 볼 때, ‘재량활동’이 포함하고 있는 함의는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진정한 재량활동 교육과정이라면 국가수준에서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재량활동의 본 취지대로 단위 학교, 학생, 교사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과정 편제상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으로 되어 있는 체제를, 교과 교육과정과 특별활동 교육과정과의 통합적 교육과정으로서의 2원 체제로 다시 환원하여야 할 지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이 추구하고자하는 인간상의 검토, 교육과정의 관점 및 철학적 수준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screpancies and similarities in terms of intentions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a at various decision-making levels: the national, district, school, and teacher's levels. This study also intented to study teacher's perceived concerns and practices on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he/she engaged in. Documents including the 7th amended national curriculum and documents including papers, policies, reports which the districts delivered to schools were analyzed. Also teachers and school personnel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perception on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t the district and school levels reflected the intentions of the national level in most cases. But school's autonomy and teacher's discretion were not effectively guaranteed nor implemented. Programs implemented in various schools did not show any diversities even though locations of schools and their composition of populations were various. It means that real intetions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were not realized at school and teacher's levels. Teacher's perceptions on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was not positive either. They even did not perceive any differences between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y also stated that they did not excercise autonomy nor their own discretion in planning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eachers reported that so many top-down directions from disctricts were ordered and principals and school staffs desired to have teachers follow them as directed.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ㆍ불안수준에 따른 색채선호도의 차이 연구

        조미라,오승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우울, 불안수준에 따라 색채에 반응하는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전남 지역 대학생들을 총 250부의 우울ㆍ불안 검사와 색채선호도 조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되는 설문지 7부를 제외한 24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 카이스케어 검정(χ₂), 신뢰도 계수를 통해 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우울·불안과 색채선호도의 차이에 대한 결과로 우울이 높은 집단에서는 ‘무채색’, ‘한색’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고, 우울이 낮은 집단에서는 ‘난색’, ‘중성색’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불안이 높은 집단이 선호하는 색에서는 ‘난색’이 가장 높았고, 불안이 낮은 집단이 선호하는 색에서는 ‘한색’이 가장 높았다. 둘째, 우울과 불안이 모두 높은 집단은 ‘한색’이 가장 높았고, 우울이 높고 불안이 낮은 집단에서는 ‘무채색’이 가장 높았다. 우울이 낮고 불안이 높은 집단은 ‘난색’이, 우울과 불안 모두 낮은 집단은 ‘중성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우울⋅불안수준에 따라 색채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different preference of color is linked to their depression or anxiety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collage students who were living in Gwangju and Jounnam area. The depression test and anxiety test, as well as a color preference questionnaire,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243 of samples out of 250 were selected. 7 samples were excluded because their answers were considered to be omitted or untrustworth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WIN 18.0 program, and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chi-square test, and Cronbach's alpha coeffient was employ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the collage students' depression⋅anxiety and color preference showed that the high-depression group preferred 'achromatic colors' followed by 'cold color'. The high-anxiety group preferred 'warm colors', and low-anxiety group preferred 'cold color'. Second, The group with a high tendency toward depression and anxiety preferred 'cold color', the group with high-depression and low-anxiety preferred 'achromatic colors', the group with low-depression and high-anxiety preferred 'warm colors', and the group with low-depression and low-anxiety disclosed 'neutral colors'.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lor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조미라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2

        When reviewing animation based on a mythical motive, the mythical imaginary power has been dependent only on audio visual senses thereby resorting to a fantasy nature regardless of reality, or there has been too much emphasis on an educational message and animation has been utilized as a conflicting composition between good and evil. Therefore, this thesis reviewed 1) whether the author’s consciousness was reflected in animation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mythical imaginary power and 2) whether the author included an internal meaning of a universal subject by having a short animation <Oneuri> that was produced by actively utilizing a mythical motive as a text. Also,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deduced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nimation based on a mythical motive i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reinterprets the theme of “universality”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before expressing the mythical objects through the senses such as by a brilliant image and sound. The products of such an analysis are supposed to solve the problem over how mythical factors need to be applied and utilized in creating animation. 그동안 신화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신화적 상상력을 시청각적 감각에만 의존하여 현실과는 무관한 환상성에 기대거나, 계몽적 메시지를 지나치게 내세워 선과 악의 대립 구도로 활용해온 측면이 강하다. 이에 본 논문은 신화적 모티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텍스트로 하여 1) 신화적 상상력의 현대적 해석에 따른 작가의식의 반영 여부 2) 인류 보편의 주제화에 대한 내적 의미의 포함 여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토대로 신화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화적 소재의 이미지와 소리 등의 감각적 구현에 앞서 신화적 소재가 가진 ‘보편성’의 주제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작가의식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물들은 앞으로 신화적 요소들이 애니메이션 창작에 어떻게 접목, 활용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SCOPUSKCI등재

        류마티스관절염 활막세포에서 NF-${\kappa}B$ 신호전달을 통한 MIF의 SDF-1 생성 유도

        조미라,박미경,김경운,오혜좌,이선영,박진실,허유정,주지현,민준기,이상헌,박성환,김호연,Cho, Mi-La,Park, Mi-Kyung,Kim, Kyoung-Woon,Oh, Hye-Jwa,Lee, Seon-Yeong,Park, Jin-Sil,Heo, Yu-Jung,Ju, Ji-Hyeon,Min, Jun-Ki,Lee, Sang-Heon,Park, Sung-Hwa 대한면역학회 2007 Immune Network Vol.7 No.1

        Background: Stromal cell-derived factor (SDF)-1 is a potent chemoattractant for activated T cells into the inflamed Rheumatoid arthritis (RA) synovium.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on the production of SDF-1 in the inflamed RA synovium. Methods: The expression of SDF-1 and MIF in RA and Osteoarthritis (OA) synovium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SDF-1 was quantified by RT-PCR and ELISA after RA fibroblast like synoviocyte (FLS) were treated with MIF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inhibitors of intracellular signal molecules. The synovial fluid (SF) and serum levels of MIF and SDF-1 in RA, OA and healthy control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Expression of SDF-1 and MIF in synovium was higher in RA patients than in OA patients. The production of SDF-1 was enhanced in RA FLS by MIF stimulation. Such effect of MIF was blocked by the inhibitors of NF-${\kappa}B$. Concentrations of SDF-1 in the serum and SF were higher in RA patients than in OA patients and healthy control. SDF-1 and MIF was overexpressed in RA FLS, and MIF could up-regulate the production of SDF-1 in RA FLS via NF-${\kappa}B$-mediated pathway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hibition of interaction between MIF from T cells and SDF-1 of FLS may provide a new 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