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adenosine triphosphate 정맥주사요법이 통증과 피로 개선에 미치는 효과

        조미라(Mi-Ra Cho),박진경(Jin-Kyoung Park),아라(A-Ra Cho),최원준(Won-Jun Choi),이용제(Yong-Jae Lee) 대한기능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 Vol.1 No.1

        배경: 섬유근육통은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과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복합 증상을 동반하는 만성 질환이다. 섬유근육통은 발병 원인이 뚜렷하지 않고, 임상적으로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므로 근치적 치료보다는 대증적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아데노 신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 정맥 투여 전 후를 비교하여 ATP 정맥주사요법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통 증과 피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7월 30일까지 연구가 수행되는 동안 강남세브란스병원의 가정의학과에 내원하여 섬유근육통이 진단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여성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씩, 총 2회의 ATP 정맥주사요법을 시행하였다. 정맥주사요법 시행 전과 1회, 2회 시행 후 통증 및 피로도 개선 여부는 ATP 정맥주사요법 전후의 숫자통증강도척도(numeric pain intensity scale, NPS), 섬유근육통영향척도(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FIQ), 전신통증지수(widespread pain index, WPI), 증상중증도척도(symptom severity scale, SS), 피로감중증도점수(fatigue severity score, FSS)를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49.29세였다. 중도 탈락자는 없었으며, 24명을 최종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5개의 통증 및 피로도 척도 중에서 전신통증지수(WPI)를 제외한 숫자통증강도척도(NPS), 섬유근육통영향척도(FIQ), 증상중증도(SS), 피로감중증도점수(FSS) 4개 항목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통증, 수면장애, 기분, 삶의 질을 포괄하는 섬유근육통영향척도(FIQ)는 63.08±15.03에서 47.92±17.84로 호전되었다(P=0.004). 결론: 섬유근육통 여성 환자에게 ATP 정맥주사를 투여 후 통증 및 피로도 척도가 호전되었다. Background: Fibromyalgia is characterized by chronic, widespread, musculoskeletal pain accompanied by fatigue, psychiatric symptoms and multiple somatic symptoms. Treatments for fibromyalgia include various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 therapies to minimize symptoms and improving gener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venous adenosine triphosphate (ATP) injection on pain and fatigue in female patients with fibromyalgi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4 female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Gangnam Severance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June 1, 2017 to July 30, 2017. The participants received ATP injection twice a week apart and the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the severity of pain and fatigue scores such as numeric pain intensity scale (NPS),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FIQ), widespread pain index (WPI), symptom severity scale (SS), fatigue severity score (FSS) at the initial (0 week), 1st (1 week), and final (2 weeks) visits. The changes of five symptom scores were compared with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est.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49.29±8.52 years. Compared with the symptom scores before ATP injection, most of the pain and fatigue scores except WP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TP injection (All P-values<0.05). In particular, FIQ, which i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to assess pain, sleep disturbance, mood and quality of life of fibromyalgia, was remarkably decreased from 63.08±15.03 to 47.92±17.84 (P=0.004).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ATP injection may be helpful to improve the severity of pain and fatigue scores pain in female patients with fibromyalgia.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의 변신(變身) 모티프 연구

        조미라(Cho Mi-Ra)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1

        본 논문은 인간이 동물로 흑은 동물이 인간으로 변신한 작품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의 변신 모티프에 내재된 사상적 토대는 무엇인지, 그리고 변신 모티프가 서사에 어떤 의미와 기능을 부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변신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 애니메이션 텍스트 분석의 결과 〈브라더 베어〉는 동물로의 변신이 징벌의 개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동물이란 인간이 돌봐야 할 대상, 즉 정복과 극복의 대상으로 보는 인간 중심적 관점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곰이 되고 싶어요〉는 소년이 곰이 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자연(동물)을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대자연의 순리를 겸허한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삶과 자연, 자연과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을, 〈천년여우 여우비〉는 금지된 것에 대한 경계를 넘고자 하는 주체적 존재에 대한 시선을 견지하는 등 각 작품마다 인간과 자연(동물)의 관계를 다양한 관점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immanent ideological bases in the transformation motif of animations, focusing on several leading animation works in which a human gets transformed into an animal, or vice versa, and also took a look at what meaning and function this transformation motif adds to their narra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imation texts centered on the transformation motif, transforming into an animal in 〈Brother Bear〉 is applied as a means for punishment. It shows the notion that the animals need men's care, that is, the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that the animals need to be overcome and conquered had a strong influence upon this work. However, in 〈The Boy Who Wanted To Be A Bear〉, a boy realizes that the animals (nature) are not the targets to conquer and learns to appreciate the principle of Mother Nature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a bear. By this description, this work shows deep reflection on nature and human being. Lastly, 〈Yeoubi the Thousand-Year Old Fox〉 shows a desire to overpass the border to forbidden things,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animals (nature) in a variety of perspectiv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variety of attitudes toward the transformation targets is formed in each work.

      • KCI등재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조미라(Cho, Mi-Ra)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1

        본 연구는 여가시간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사회구조적 분화가 시간사용에 반영된다는 인식하에 여가시간의 변화와 불평등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1999년부터 2009년까지의 생활시간조사자료 중 19~65세미만의 시간일지를 분석하였다. 여가시간 불평등은 대수편차평균(mean log deviation; MLD)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수편차평균의 요인분해를 통해 불평등의 원인과 십년간의 불평등 변화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99년부터 2009년 유 · 무급노동시간을 합한 총 노동시간은 감소하고 여가시간은 증가하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긴 노동시간, 짧은 여가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평등 분해 결과 경제요인은 여가시간의 차이를 야기시키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지만, 주5일 근무제 등으로 여가시간은 균등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경제요인의 영향력은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구요인의 영향력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에 대한 중요성이 커짐과 동시에 여가시간 확보에 가족에 대한 책임이 장애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시간사용의 성별분화는 여전하지만, 가족요인의 영향이 양성평등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 감지되었다. 또한 연령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생애주기에 따른 여가시간의 불균형이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ploits a trend of leisure time inequality in Korea from 1999 to 2009 and investigates which factors are influential on leisure inequality and its change among gender. Leisure time inequality is measured by mean logarithmic deviation(MLD) and the MLDs are decomposed for analysing causes of leisure inequality and its change.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otal labor time decreased, leisure time increased from 1999 to 2009. The decomposition of the MLD shows that though, economic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leisure inequality, the effects of them have weakened. On the contrary, the effects of family-related factors on leisure have strengthened, which may offer that family has been acknowledged more and more importantly. In addition, family factors have operated as gender equalizers for the last decade, though gender inequality in time use is still very strong.

      • KCI등재

        일-생활 균형 관점에서 본 기혼남녀의 시간표 : 부부결합 가구노동시간 유형에 따른 남녀의 일-생활시간의 비교분석

        조미라 ( Cho Mira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기혼남녀의 일-생활 균형의 문제를 시간표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시간대자료를 이용하여 3,131쌍 기혼부부의 6,262개의 시간일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시간양뿐 아니라 시간배치를 고려한 전체적인 분석을 위해 배열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Lesnard(2014)의 DHM(Dynamic Hamming Matching) 방식으로 배열 간 거리를 산출하여 타이밍을 중시하는 시간분석에 무리가 없도록 조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부부결합의 가구노동시간 9개 유형별로, 남녀 각각의 노동, 가사, 수면, 자기관리, 적극적 여가, 소극적 여가, 기타로 구성된 일과 생활시간의 평균시간양과 시간대별 분포와 최빈상태의 그래프를 산출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일-생활 불균형된 시간구성의 특성으로 ‘만연된 장시간노동’, ‘젠더불평등한 시간배분’, ‘비표준시간대 노동으로 인한 삶의 질 하락’, ‘여가시간의 부족’을 지목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일-생활 균형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ork-life balance by analyzing time schedules of married couple. The 2014 Korea Time Use Survey dataset was used for the analysis. Finally, 6,262 time diaries of 3,131 household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study used sequence analysi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Lesnard(2014)’s dynamic hamming matching (DHM) method, which is useful for the time diary analysis where timing is a key factor. This study explored daily schedules of each man and woman according to 9 types of couple-combined work-schedules, which had been already derived by cluster analysis. The daily schedul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divided as labor, housework, sleep, self-management, active leisure, passive leisure, and others. Here, time allocation was analyzed through various graphs showing average time amount and modal states by time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it summarized that “long working hours as a main factor of work-life imbalance”, “gender inequality of time use”, “non-standard hours work impairing quality of life and ”poverty of leisure time”as characteristics of work-life imbala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social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work-life balance.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시적[詩的] 이미지에 관한 연구

        조미라(Cho Mi-Ra)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

        The nature of animation is to create a moving image. Also, it creates a narrative space and visual image which is different form a reality. Therefore, image expression is very important in the animation. Although the domestic animation has a movement, it has not an image which has a meaning. For instance, Korean fiction animation 『My beautiful girl, Mary』 has grand prize in Anncy International Animated Film Festival, 2002. Such achievement give new vision and present a clue of development to our national animation. However, not many people went to the cinema to watch it. The reason is that although 'Mary' has the Fantastic image, she doesn't show a true life image. The film is revival of reality through the image. However, animation is revival of reality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image. Therefore, reviving exactly the same as a reality is not the most important fact in the animation image. Preferably, the most important fact in the animation image is that reviving reality into highly wrought image. This paper will study an expression form of animation trough the image. Especially, it will concentrate on poetic image. For this, It will associate 'poetic' in literature with 'poetic image' in animation. Also, a variety poetic animation image will be divided into 1) mongtage 2) rhythm 3) compression 4) metaphor & symbol, and will be looked 'poetic image' effect.

      • KCI등재

        유자녀기혼부부의 노동시간패턴과 가족시간

        조미라 ( Cho Mira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4

        본 연구는 유자녀기혼부부의 노동시간패턴을 분석하고 패턴에 따른 가족시간의 구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4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시간대자료에 다중배열분석을 적용하여 부부결합방식의 노동시간패턴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노동시간패턴별로 가족시간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남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동시간패턴은 맞벌이형 6개, 남성외벌이형 3개, 여성외벌이형 1개, 무노동형 1개의 총11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평일에 가족 1인 이상과 함께 하는 시간은 남녀 각각 1.5, 2.2시간, 집안일에 할애하는 시간은 0.3, 3.3시간으로 나타나, 시간양의 젠더차이는 물론, 남성은 참여하는 시간, 여성은 기능적인 시간 위주로 가족시간이 차별적으로 구성됨이 드러났다. 또한, 장시간노동이 가족시간을 축소시키는 것은 물론, 시간양과 관계없이 비표준시간대에 배치된 노동 역시 질 높은 가족공유시간 확보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동시간양 뿐 아니라 시간배치 그리고 가족시간의 질이 고려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ork schedules of Korean married couple with children and to examine how family time are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work schedules. Data source is 2014 Korea time use survey and multiple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couple-combined work schedules in temporal context. As a results 11 work schedules types are derived, which are classified into 6 dual earner types, 3 male earner types, 1 female earner type and 1 non-working type. Amount of family sharing time in weekdays is about two hours per day on average. The family tim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amount of time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time, which is that women spend more functional time such as housework and men spend more interaction-based time such as family sharing time. The long hours work mainly affects family time negatively, also non-standard hours work is significantly playing a role to interrupt having family time. According to th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 long hours work need to be overcome and non-standard hours work need to be limited as well. Additionally we need to consider the quality of family time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일인칭 서술자 연구

        조미라(Mi-Ra Ch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2

        본 논문은 초점화자와 인물 그리고 서술자 모두 ‘나’로 지시되는 일인칭 서술자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기능과 의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인이 되어 자신의 유년 시절을 회상하는 유년의 ‘나’와 성인이 된 지금의 ‘나’가 어떤 관계를 맺는지, 그리고 유년 인물의 체험과 감각이 서사를 읽는 관객에게 주는 미학적 효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성인 서술자의 회고적 서술상황은 ‘체험적 자아(유년 자아)와 서술적 자아(성인 자아)사이의 긴장감’에서 오는 서사적 효과를 갖는다. 이들 작품은 성인 서술자의 고백을 통한 유년 체험이 중심이지만, 성인 서술자의 시선은 언제나 ‘현재’로 향한다. 즉, 일인칭 서술자가 갖는 회상의 미학은 숨겨진 것, 망각된 것들의 가치들을 끊임없이 환기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유년 인물 초점화자가 ‘경험의 주체’로 나서는 서사 기법은 합리적인 시스템에 길들여진 시선에서 벗어나, 대상 그 자체로 사유하게 하는 질적 변화를 갖는다. 성인이 되면서 상실된 미메시스적 능력이 유년 감각의 총체성과 만나 질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의 일인칭 서술상황에서 서술자가 갖는 의미는 작품의 미학적 완성도뿐만 아니라, 관객의 작품 수용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고도의 전략적인 서사 장치임을 알 수 있다. The paper holds its purpose to analyze the descriptive function and meaning of first person animation which the focalizer, character, and all narrators are indicated as ‘I’.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was reviewed; the relation between ‘I’ as child memorizing the days of childhood as adult and the current ‘I’ as adult, and the aesthetic effect of experience and sense of the child on the audience reading the narration. The retrospective narrating situation of the adult narrator brings descriptive effect which comes from ‘the tension between the experiencing self (self as child) and the narrative self (self as adult). The works focus on the content of child experience through the confession of the adult narrator, but the view of the adult always heading towards ‘the present’. That is, the aesthetics contained by the first person narrator is related to endless arousal of the values of hidden and forgotten things. In addition, the descriptive method of child focalizer as ‘the subject of experience’ brings qualitative change which enables reasoning of the subject as itself, which is free from the view tamed by rational system. Becoming an adult, the lost ability of mimesis brings qualitative change by meeting with the generality of childhood sense. Therefore, it can be known that the meaning the narrator contains in the first person narrator condition of animation links with the degree of aesthetic completion of the work, but also, it is a highly strategic descriptive device which determinately affects even the acceptance of audiences regarding the work.

      • KCI등재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조미라 ( Cho Mi Ra ),윤수경 ( Yoon Soo Ky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4 No.-

        본 연구는 한국 기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이 1999-2009년의 십년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활시간조사 1999년, 2004년, 2009년의 3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9세이 상 55세 이하의 유배우자 및 유자녀 남성의 시간일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가사노동시간을 집안일시간 과 자녀양육시간으로 구분하여 교육수준별로 변화의 양상이 다른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10년간 남성 의 가사노동시간은 증가하였으나, 가사노동시간의 내용에 따라 구분한 결과 교육수준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 교육수준이 낮은 남성은 집안일시간의 증가폭이 큰 반면 교육수준이 높은 남성은 자녀양육시 간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This article is supposed to examine 10-year changes in the Korean fathers’ contribution to family work. Time diary data 1999, 2004, and 2009 sets are used to analyze time use of married men aged 19-55, having children.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we divided family work into two sectors: time spent in domestic labor work and child care. Focusing on differences in men’s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SES in Korea, changes on time use of men’s family work were examined.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total time of men’s family work has been increased for 10 years but it had differences by men’s educational level. Differences have been found on the types of family work. Time spent in child care has been distinctly increased with highly educated men whereas the time of family work of lowly educated men has been increased in domestic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