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국가의 형성, 민족주의, 그리고 고고학 -그리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대연 ( Dae Youn Ch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3

        서양 근대 학문으로서의 고고학은 유럽 근대국가의 성장 및 민족주의의 확산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성립되었다. 유럽 국가들에서 고고학이 현실정치와 연관되어 발전했음은 분명한 사실인데, 흥미롭게도 그 관계맺음의 양상은 나라마다 다르다. 이에 본고에서는 오스만제국으로부터 해방된 이후 민족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새롭게 근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해야 했던 그리스에서 고고학이 어떻게 국가형성에 관여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 근대국가, 민족주의, 그리고 고고학의 상호 관계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국가적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었던 그리스 고고학이 어떻게 성립되고 성장하였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국가 정체성 확립과 관련해서 고고학적 유적의 복원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20세기에 들어와서 대외 전쟁과 정치적 격변에 따른 그리스 고고학의 대응과 마케도니아와 베르기나의 별(Star of Vergina)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그리스 고고학의 현 단계를 검토하였다. 그리스 고고학의 형성 및 전개과정에 관한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는 한국 고고학의 현재적 모습을 반성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어 유익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현재 한국고고학에서는 한민족의 기원 문제, 고대 국가의 성립과 영역화 과정 연구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민족주의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유럽과는 상이한 국가형성 과정과 수십 년간 지속된 남북분단의 현실을 감안하여 한국 고고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평가해 야겠지만, 이로 인해 발생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적 성찰도 분명히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그리스 고고학의 사례는 유용한 반면교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establishment of archaeology as a modern western discipline occurred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nation states and the spread of nationalism. In particular, archaeology played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The current paper considers the case of Greek archaeology, which faced the task of recovering national pride and laying down the foundations of a new modern nation upon liberation from the Turkish Ottoman Empire. Therefore,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nation state, nationalism, and archaeology is first examined, followed by a detailed survey of the process by which Greek archaeology came to be established and how it subsequently develop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nationalism, and archaeology, however, is apt to be problematic, as is observed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debate surrounding Macedonia and the Vergina Star. It is believed that the case studies and issues relevant to Greek archaeology addressed in this paper will also provide insights for the practice of archaeology in Korea and indeed East Asia.

      • KCI등재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활석혼입토기에 관한 일 고찰 -시공간적 전개과정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조대연 ( Dae Youn Cho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신석기시대 토기에 관한 그간의 고고학적 연구는 문양분석을 통한 편년확립 및 지역상 파악에 주로 치중되어 왔으며, 토기 생산기술이나 유통양상에 관한 논의는 그리 활발하지 않은 편이었다. 하지만 최근 이 방면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에서 꾸준히 확인되는 소위 활석혼입토기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현재까지 신석기시대의 활석토기 혹은 석면토기로 막연히 알려진 것들을, 후자도 활석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만큼, 이를 통틀어 ‘활석혼입토기’로 새롭게 규정했다. 그런 다음, 이렇게 규정된 활석혼입토기의 유적별 및 분기별 출토양상을 계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토기의 시공간적 전개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본고에서는 활석혼입토기의 출토비율, 출토확률(ubiquity), 그리고 문양구성을 유적별로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 토기의 생산 및 유통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신석기시대 Ⅰ기와 Ⅱ기를 중심으로 중서부지역의 대연평도 까치산 패총, 인천 운서동, 삼목도 Ⅲ 유적, 연천 삼거리, 그리고 서울 암사동, 미사리, 그리고 용인 농서리 유적 등에서 출토되는 활석혼입토기와 관련해서 각 권역별로 복수의 생산지점들이 유지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Archaeological studies on the Neolithic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tended to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chronological frameworks and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spheres through the analysis of decorative patterns, while ceramic production technology and distribution have generally remained less researched topics.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ttempts to explore the latter and it is in this intellectual context that the current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 in-depth analysis on ‘talc tempered pottery’ which has consistently been identified in Neolithic context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Pottery found in Neolithic contexts previously referred to as ‘talc pottery’ or ‘asbestos pottery’ were combined into a single category (as the latter was also found to have talc inclusions) and given the name ‘talc tempered pottery’. The existence of this pottery was then considered, quantatively, according to site and temporal phase as a means of identifying its spatial and temporal trajectory. In addition, the frequency, ubiquity, and pattern composition of talc tempered pottery was examined per site, and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basis for a tentative discussion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is pottery. I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in Phase I and II of the Neolithic perio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alc tempered pottery may have been carried out at a number of different location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is represented by sites such as the Kachisan Shellmidden, the Woonseo-dong site in Incheon, the Samgeo-ri site in Yeoncheon, and the sites of Amsa-dong and Misa-ri in Seoul.

      • KCI등재

        선사시대 교역에 대한 연구사례 검토 -후기 청동기시대의 동지중해 난파선 자료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조대연 ( Dae Youn Cho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9 No.-

        한국고고학에서는 물품의 교역양상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한 사회성격의 규명 작업이 이제 막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면의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적절한 사례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후기 청동기시대 동지중해에서 일어난 물품의 교역양상에 대한 최근의 연구현황을 난파선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후기 청동기시대의 동지중해 지역에서는 인류문명사에서 최초로 본격적인 장거리 교역망이 성립된 시기라고 간주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정치, 사회집단들의 교역활동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특히 겔리도냐와 울루부룬 난파선 자료는 이러한 교역양상을 밝혀줄 수 있는 획기적인 자료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후기 청동기시대의 동지중해 지역 난파선 자료의 현황을 개괄한 다음, 난파선에서 출토된 금속, 유리, 및 토기 자료들을 중심으로 그것들의 유통 경로에 대한 최근의 연구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동지중해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교역양상의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선사시대 교역체계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과제를 검토하였다. During the Late Bronze Age, Inter-regional trad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flourished.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he Uluburun shipwreck and the Gelidonya shipwreck have the potential to shed light on the nature the contact between the Mediterranean polities, as thousands of archaeological remains were found on these shipwrecks.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first describe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these shipwrecks. Then, by presenting the findings of recent studies on the exchange network of copper, pottery, and glass that have been carried out using a variety of scientific methods, the movement of those materials in the region is highlighted. Through this attempt, the several different lines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exchange network were assessed and compared. Finally, the complicated picture of the inter-regional trade in this region, in which commercial trade co-existed with palace sponsored trade,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