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한국어 높임법 인식과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이선미 ( Lee Seonmi ),조남현 ( Cho Nam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재외국민 대학생들이 한국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높임법 사용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고, 이들에 대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외국민 대학생의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인식 및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재외국민 대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높임법 교육이 이뤄지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것을 위해 한국 대학에 12년 재외국민 특례로 입학한 학생들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83%가 한국어 높임법 교육이 ‘필요하다’로 응답을 하였고, 높임법 난이도에 대해서는 ‘중상’ 정도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어 높임법 사용 수준에 대해서는 재외국민 대학생들 스스로가 대부분 ‘보통 이상’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정규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정확한 높임법 교육을 받아 본적이 없기 때문에 실수에 대한 두려움이 많아 높임법 사용을 어려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높임법 특수어휘에서 오류가 가장 많았고 때에 맞는 호칭어·지칭어 사용과 ‘-님’ 접미사를 통한 높임, 주격조사 ‘-께서’, 선어말 어미 ‘-으(시)’ 등의 사용에도 오류를 보였다. 본 연구는 재외국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인식 및 사용 양상에 관한 실증연구를 처음 시도했다는 점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높임법의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rose from the need for Korean honorific education among Korean expatriate university students, who've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its interconnectedness with Korean culture.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Korean honorifics among these students to provide adequate honorifics education. A survey was thus conducted of 40 university students who enrolled under the K-12 Korean Expatriate Admission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at 83% of respondents" needed" Korean honorific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difficulty in its use to be "medium or higher." In addition, they are worried about making mistakes, having never attended a Korean public school and learned how to use Korean honorifics properly.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errors occurred with the correct reference words―suffixes (e.g., -님 (-nim)), nominative particles (e.g., -께서 (-kkeseo)), and pre-final endings (e.g., -으(시)- (-eu(si) -))―to use for appropriate Korean forms of address. As the first to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expatriate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and usage of Korean honorific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honorific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 비교 연구

        조남현 ( Cho¸ Nam Hyun ),이선미 ( Lee¸ Seon M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입학한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근거로 독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과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필요와 특성에 맞는 독서교육을 위해 독서 실태 조사를 하였다. 먼저, 한국 대학생들 52명과 재외국민 대학생들 49명을 선정하였고, 독서의 유익에 대한 인식, 독서량에 대한 만족도, 독서 시간, 독서 빈도, 독서량, 많이 읽는 도서 종류에 대해 설문을 하였다. 그리고 모든 항목들에 대한 교차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두 그룹 모두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는 잘 되어 있었으나, 독서에 대한 실천력이 약했다. 둘째, 책을 몇 달에 한 번 읽거나, 전혀 읽지 않은 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들 중 26.9%, 재외국민 대학생들 중 30.6%나 되어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두 그룹 모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독서 시간과 독서량은 재외국민 대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대학생들은 국내 대학이 추천하는 도서목록과 부합하는 독서를 하고 있었고, 재외국민 대학생들은 그렇지 못해 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독서 교육에 필요한 독서 실태에 대한 실증 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for Korean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is. First, 52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49 overseas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awareness of the benefits of reading, satisfaction with reading volume, reading time, frequency of reading, and type of books they read a lot. And we did a cross analysis of all the item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of all, both groups had good motivation for reading, but their practice of reading was weak. Second, students who read a book once a few months or never read a book accounted for 26.9%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30.6% of overseas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dicating that both groups needed attention and guidance on non-readers. Third, the reading time and volume were found to be high among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reading in line with the list of books recommended by domestic universities,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were not, indicating that guidance wa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