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급사슬 파트너십 하에서 공급자-구매자 이익공유와 가격결정 정책에 대한 계량 모형

        조건,소순후 한국경영과학회 2006 韓國經營科學會誌 Vol.31 No.1

        Supply chain management (SCM)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Moreover, supply chain partnerships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in SCM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for supplier-buyer's profit sharing and pricing policies based on supply chain partnerships. For this purpose, we assume that a two echelon supply chain with a single supplier and a single buyer is given and the buyer faces deterministic demand which is not only a function of buyer's selling price, but also strictly decreasing, concave, and twice differentiable function. Then we will prove the following. Firstly,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there exist supplier and buyer's selling prices per unit such that their total profits are maximi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buyer's order quantity is exactly equal to the demand buyer faced. Secondly, buyer's selling price per unit which maximizes supply chain's total profit with supply chain partnerships is lower than buyer's selling price per unit which maximizes buyer's total profit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Thirdly, given supplier's selling price per unit, buyer's total profit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is greater than that with supply chain partnerships, whereas the opposite case happens for supplier's total profit. Finally, there exists supplier's selling price per unit which makes the maximum total profits for both supplier and buyer with supply chain partnerships greater than those obtained for any given supplier's selling price per unit without supply chain partnerships

      • KCI등재

        전시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防空 조직과 활동

        조건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7

        전시체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防空 조직과 활동 조 건 1930년대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연합군의 공습에 대비하여 조선 주둔 일본군을 중심으로 관과 민이 참여하는 방공 활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일본군의 방공 활동은 연합군의 항공기가 일본 본토와 식민지 및 점령지역에 침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감시·탐지하여 격추시키는 일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군의 방공 활동 뒤에는 반드시 민간의 방공활동이 뒷받침되어야 했다. 이러한 면에서 조선 주둔 일본군의 방공활동은 단순히 연합군 항공기의 공습을 저지하는 행위를 넘어서 식민지 조선사회와 조선인들을 ‘방공’이라는 기재를 통해 전시체제 아래 동원하고 통제하는데 추동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일본은 1920년대 후반부터 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방공훈련을 시행했다. 이때의 방공훈련은 직접적인 공습에 대비하기보다 훈련을 통해 민간을 조직·관리하여 통제하는 데 주목적이 있었다. 조선에서는 1930년대 초부터 방공훈련이 실시되었는데, 경성·부산·평양 등의 대도시와 나남 등 군사도시에서 주로 행해졌다. 조선 내 방공훈련은 조선 주둔 일본군이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참여하고 있었다. 조선에서 공습이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기 시작한 것은 태평양전쟁 개전 이후였다. 조선 주둔 일본군은 미군의 공습에 대비하여 방공지구를 개편하고 지속적으로 방공부대를 확충했다. 조선 내 방공부대는 크게 高射砲部隊를 중심으로 한 지상방공부대와 第5航空軍을 주축으로 한 항공부대가 있었다. 그러나 조선 주둔 일본군의 방공부대는 B-29를 앞세운 미군의 폭격기들에 맞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없었다. 결국 조선은 미군의 공습에 거의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었는데, 실제 1944년 말부터 종전 때까지 부산을 비롯한 한반도 주요 지역이 공습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글은 조선 주둔 일본군이 시행한 조선 내 방공훈련과 태평양전쟁 이후 방공부대 실태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리고 전쟁 말기 미군의 실제 공습 상황과 그에 따른 피해 내용을 살펴보았다. 결국 조선 주둔 일본군의 방공활동은 공습에 대비한다는 명목아래 조선인을 통제하고 동원한 虛僞에 지나지 않았다. The Air Defense System and Activities of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1930~1945) Cho, Gun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its colony, began to conduct air defense exercise (ADE)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a view to cope with the air raid of the Allied Forces from the 1930s. The ADE was to monitor whether the aircrafts of the Allied Forces invade Japan, its colonies and occupied areas, and also to shoot down invaders. The military exercise involved civil supports. In this regard, the ADE was not only to restrain the air raid of the Allied Forces but to mobilize and control Joseon‘s people. Japan began to conduct ADE on large scales in urban areas from the late 1920s. The ADE was to systematically control civilians rather than to cope with air raid. In Joseon, ADE was begun from the early 1930s, especially in major cities, such as Gyeongseong, Busan and Pyeongyang, and fortress cities including Nanam. ADE in Joseon was led b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It wa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at air raid was a threat to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Hereat, it rearranged air defense areas and expanded air defense Forces(ADF) continuously. ADF in Joseon was focused on antiaircraft batteries, e.g., ground air defense system and the 5th Air Forces. Nevertheless,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could not effectively take action against US air Forces’s bombers, preceded by B-29. In result, Joseon was exposed without protection to the air raid of the US air Forces; actually, major areas including Busan were damaged by air raid from the end of 1944 until the end of the war. This study is to clarify ADE in Joseon conducted b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the actual state of ADF after the Pacific War, the air raid made by US air Forces during the last period of the war, and the ensuing damages. In conclusion, ADE, conducted b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Joseon, was to control Koreans in the name of military training.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밀리환초(Mili Atoll) 동원 조선인의 저항과 피해

        조건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은 남양군도 밀리환초에 조선인들을 군속으로 강제동원하였다. 1942 년 약 800~1,000명의 조선인들이 밀리환초에 동원되었으며, 주로 밀리섬의 비행장 건설과 보수 공 사를 담당하였다. 그런데 전황이 악화되고 1944년 6월 이후 보급까지 중단되자 밀리환초는 심각한 식량난에 빠 져들었다. 직접 농사를 지어 식량난을 해소하고자 했으나 기후와 토양 문제로 농작물이 잘 자라 지 않았다. 특히 식수 부족이 심각했는데 빗물을 받아 겨우 생활하는 형편이었다. 설상가상 미군 의 공습으로 생활 시설과 숲까지 파괴되자 식량난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군에 의한 잔혹 행위가 벌어졌다. 조선인들은 잔혹 행위가 계속되기 전에 섬 을 탈출할 계획을 세웠다. 1945년 3월 1일 새벽 일본군을 제압한 뒤 미군에 투항하려는 계획이었 다. 그러나 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발각되었고 결국 일본군은 탈출 계획에 참여한 수많은 조선인 들이 학살하였다. 일본군이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총살당한 사람이 32명, 자살한 사람은 23명으 로 모두 55명이 사망하였다. 미군이 제작한 자료에도 조선인들의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 사건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미 해 군은 조선인들의 밀리환초 탈출과 이동, 그리고 수용소 생활 등을 모두 촬영하여 남겼다. 이들 사진 설명 중에는 193명의 한국인 ‘노예 노동자’가 일본에 저항해 반란을 일으켰고 이 중 68명이 생존했다는 대목이 나온다. 미군은 이들을 ‘노예 노동’에 동원된 사람들로 파악하고 있었다. 밀리환초 조선인 군속들의 저항과 일본군의 학살 사건은 피해자들의 증언과 일본군이 작성한 명부, 그리고 미군 측 기록에 의해 대부분 역사적 사실로 규명되었다. 다만 아직도 정확한 피해 규모와 개인별 사례 등은 밝혀져야 할 내용이 많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지금도 당시 사망한 조선 인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유해가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During the Asia-Pacific War, Japan forcibly mobilized Koreans to an army civilian employee to Mili Atoll in the Mid Pacific. In 1942, about 800 to 1,000 Koreans were mobilized at Mili Atoll, mainly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and repair of an airfield on Mili Island. However, when the war situation worsened and the supply was stopped after June 1944, Mili Atoll fell into a serious food shortage. They tried to resolve the food shortage by farming themselves, but crops did not grow well due to climate and soil problems. In particular, the shortage of drinking water was serious, but they barely lived in rainwater. To make matters worse, the food shortage became even more serious as living facilities and forests were destroyed by the U.S. military air s trikes. In this situation, cruelty wa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 Koreans planned to escape from the island before the atrocities continued. It was planned to surrender to the U.S. military after overpowering the Japanese army in the early morning of March 1, 1945. However, it was discovered shortly after, and eventually, the Japanese army slaughtered numerous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he escape plan. According to data prepared by the Japanese military, 32 people were shot and 23 people committed suicide, a to tal of 55 people died. Data produced by the U.S. military also show records of the resistance of Koreans and the massacre of Japanese troops. The U.S. Navy filmed and left all of the Korean people's escape from the Mili Atoll, movement, and life in the camp. Among the explanations in these photos, there is a record that 193 Korean slave workers resisted Japan and revolted, of which 68 survived. The U.S. military identified them as people mobilized for slave labor. The resistance of an army civilian employee and the massacre of the Japanese military in Mili Atoll were identified as historical facts by the testimony of the victims, the list written by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 records of the US military. However, there is still a lot to be revealed about the exact scale of damage and individual cases. Above all,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who died at the time have not returned.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광주·전남지역 군사시설 건설과 전쟁유적의 성격

        조건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3 No.-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Japan built numerous military facilities o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wangju and Jeollanam-do, which were not very important militarily, were destined to be the fiercest battlefield at the end of the war. While the Japanese military’s military activities centered on Jeju Island drew attention from academia,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relatively. In this article, the war remains left by the Japanese military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army and navy,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ince the beginning of 1945, the Japanese military has strengthened military and naval uni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o prevent U.S. attacks, while expanding military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m. They can be divided into land, sea, and air milita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many still remain. Military faciliti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clude defense and surveillance facilities, boat bases, and airfields. In particular, the main base was built in Mokpo and other island areas on the southwest coast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military supplies to avoid the U.S. military blockade. In addition, an army airfield was built near Mokpo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importance of the sea and the transportation fleet. A typical military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Nav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s an air base. In particular, a number of related facilities suchas ammunition warehouses and fuel warehouses were built around the runway of the airfield in Gwangju and Yeosu. There are no runways left in Gwangju, but a number of underground facilities built for use as fuel and ammunition warehouses are confirmed. In Yeosu, concrete-built runway remains on the coast, and related facilities are also identified nearby. In particular, there is a large-scale underground facility behind Yeocheon Elementary School,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ircraft shelter that the Japanese military built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ircraft shelter is a semi-circular concrete structure built to protect aircraft from air strikes. The Japanese military made these bodies to use them for suicide attacks. In addition, the 5th Air Force, which was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had a total of 700 aircraft, of which 500 were organized for suicide attacks. The Japanese military turned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a launching base for “suicide attack aircraft” to continue the invasion war.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은 한반도 남서해안에 수많은 군사시설을 건설했다. 일제 식민지기 군사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광주·전남지역은 전쟁 막바지 가장 치열한 전장이 될 운명이었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일본군의군사 활동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던 반면, 광주·전남지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남긴 전쟁유적을 육군과 해군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군은 1945년 초부터 미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육군과해군 부대를 증강하는 한편 그에 대응한 군사시설을 확충해 나갔다. 이들은 그성격에 따라 육상과 해상군사시설, 그리고 항공군사시설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도 상당수가 남아 있다. 일본 육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은 방어와 감시 시설, 주정기지, 그리고 비행장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주정기지는 미군의 해상봉쇄를 피해군수물자를 운송하려는 목적으로 목포를 비롯하여 남서해안 여러 도서지역에건설했다. 아울러 목포 인근에 육군비행장을 건설했는데 해상의 중요지와 수송선단 보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일본 해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로는 대표적으로 항공기지를들 수 있다. 특히 광주와 여수에 비행장 활주로를 중심으로 탄약고와 연료고등 관련 시설들을 다수 건설했다. 광주에는 활주로는 남아 있지 않지만, 연료고와 탄약고로 사용하기 위해 구축했던 지하시설이 다수 확인된다. 여수에는 해안에 콘크리트로 구축한 활주로 유구가 남아 있고, 역시 인근에 관련 시설물들이확인된다. 특히 여천초등학교 뒤편에 대규모 지하시설이 있는데 그 건설 목적에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구축했던 비행장 엄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엄체는 항공기를 공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축한 반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일본군은 이들 엄체를 특공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아울러 전쟁 말기 한반도에 주둔했던 제5항공군은 총 700기의 항공기를 보유하고있었는데, 이 중 500기를 특공용으로 편성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침략전쟁의지속을 위해 한반도 남서해안을 ‘자살 공격기’의 발진 기지로 만들었던 것이다.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한반도 내 항공기지 건설과 의미

        曺健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4 No.-

        한반도 전역에는 일본군이 아시아태평양전쟁기에 건설했던 항공기지 유적이다수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한반도 곳곳에 건설했던 항공기지의 건설 양상과 전체 현황, 그리고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한반도 주둔일본군이 한반도 내에 항공기지를 주로 건설한 때는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였다. 특히 남한지역에 더 많은 항공기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미군의 공습과 상륙에 대비한 조처였다. 자료를 통해 확인한 한반도 내 일본군 항공기지는 총 47개소다. 이 중 남한지역이 31개소, 북한지역에는 16개소가 분포해 있으며, 육군항공기지는 38개소, 해군은 9개소가 확인된다. 미군의 상륙이 가시화되면서 일본군 항공기지는 점차 자살공격을 염두에 둔 특공기지로 변모했다. 이에 따라 일본군은 보유하고 있던 비행기 중 500기를 특공기로 편성하는 한편 이들을은닉하고 보호할 엄체 구축 계획을 추진한다. 당시 구축 계획에 따른 엄체는200기에 달했으며 이중 적지 않은 수가 실제 건설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지금도 남한지역 곳곳에는 일본군이 건설한 엄체가 다수 남아 있다. 이들 엄체는일제가 전쟁 말기 한반도와 식민지 조선인들을 침략전쟁의 볼모로 사로잡은채 희생을 강제했다는 것을 증거하는 상징적인 유적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re are many remains of air base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Asia-Pacific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construction patterns and overall status of air bas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and Navy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role and meaning of the Japanese military air base at the end of the war were also considered. It was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when the Japanese military mainly built air bas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more air bases were built in the South in preparation for U.S. air strikes and landings. There are a total of 47 Japanese air bases on the Korean Peninsula confirmed through the data. Among them, 31 are in South Korea and 16 are in North Korea. Of the 47 air bases, 38 air bases for the Army and 9 for the Navy are identified. As the landing of the U.S. military became visible, the Japanese air bas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place with suicide attacks in mind. As a result, the Japanese military organized 500 of its planes into units for suicide attacks. It also implemented an aircraft shelter deployment plan to hide and protect them. At that time, there were 200 aircraft shelt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 and many of them were actually built. Even now, many aircraft shelter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remain throughout the South. These aircraft shelters are important in that they are symbolic remains to prove that the Japanese forced sacrifices by capturing the Korean Peninsula and colonial Koreans as hostage to the war of aggression at the end of the war.

      • KCI등재

        인천시 부평 외국군 ‘兵站基地’의 성립과 해체, 그리고 현재적 의미

        조건 한일민족문제학회 2022 한일민족문제연구 Vol.43 No.-

        仁川広域市富平区には長い間日本軍と米軍が駐屯してきた。日本軍と米軍の富平における駐屯時期と目的は各々異なったものの、両方とも富平を兵站にしたことは共通している。これは富平の持つ地政学的な位地によるものであった。2019年、米軍がキャンプマーケットを返還することにより、もう富平には外国軍がいなくなった。外国軍駐屯の歴史が幕を閉じた今、我々には残された遺産をどう活用すべきかという課題が迫ってくる。 富平に外国軍が駐屯することになったのは、1939年日本軍が仁川陸軍造兵厰設置に取り掛かったからのことである。日本は日中戦争が長期化すると、帝国主義の侵略戦争を続けるために朝鮮半島を兵站基地と化した。日本が戦場をアジア・太平洋に拡大するや、富平の重要性はさらに増していった。富平は米軍の本土決戦に備えた最後決戦の地にも含まれた。注目に値するのは、日本が富平を中心に朝鮮半島を兵站基地と化したことによって、朝鮮社会をも戦争の禍のなかに巻き込んだだけでなく、戦争の「加害の責任」と「被害の惨禍」を朝鮮に転化しようとしたことである。 解放後、米軍は富平にアスコム・シティ(米軍需支援司令部)を設置し米軍の兵站とした。そこはまた長い間異なる戦争を準備する空間であった。その間、アスコム・シティも解体し、キャンプマーケットのみになったが、これも2019年に韓国に返還された。キャンプマーケットの返還で以って外国軍の歴史も終わった。今後、その活用については歴史的な視角にたって考えるべきであろう。

      • KCI등재

        일제 강점 말기 조선주둔일본군의 조선인 포로감시원 동원과 연합군 포로수용소 운영

        조건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7 N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placed prisoner-of-war (POW) camps inGyeongseong(京城), Inchon(仁川) and Heungnam(興南) in Korea. The Japanesearmy captured British, American, Australian and Dutch soldiers, about 120,000in all,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interned them POW camps placednot only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ut in its own country, Taiwan, Chinaand Korea. It mobilized warders from among Koreans and Taiwanese. Approximately 3,200 Koreans were mobilized to guard captives, about 3,000 ofwhom were assigned to camp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others, about200, were assigned to camps in Korea. POW camps in Korea were governed by Noguchi(野口), commander of thetraining battalion for civilians attached to the Japanese military, together withofficers dispatched to Korea. They interned 998 Caucasian captives transferredfrom Singapore with intent to propagate the colonialist ideology all over Korea. In Korea in those days, there were a total of 3 POW camps including a branchcamp placed in 1943 in Heungnam. The main points of POW camps in Korea may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First, they can be regarded as a means of colonization. Second, they were placedin the noncombat zone for the purpose of overseas publicity. Lastly, Korean POWGuards were also the victims of compulsory mobilization. The allied prisoners were mostly forced to do hard labor. In Gyeongseong,they did odd jobs around the Japanese Army Headquarters in Korea or carriedits packages. In the Inchon branch, they were mobilized for constructions around the harbor and factories. In Heungnam, they served in a Japanese plant producingnitrogenous fertilizer(日本窒素肥料). With time, meanwhile, changes occurred in the number and nationalities ofallied soldiers captured by the Japanese army. When they arrived in Busan, Korea,British soldi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re were a small numberof Australian soldiers. American soldiers captured in Japan, in the meantime, weretransferred to Korea in April, 1945, and captive soldiers in Korea were transferredto Manchurian areas including Fengtian(present, Shenyang). When captive soldierswere released, about 690 remained in POW camps in Korea. It is presumed that Korean POW Guards were discharged with the end ofthe war. However, not much is known about their exact number and whereabouts. In this study, the list of 91 warders was found in ‘The Guard List’ made bythe Japanese army, which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first gave a clue to theexact state of Korean POW Guards who served in POW camps in Korea.

      • KCI등재

        日本 防衛省 소장 陸軍 ‘日露戰役’ 문서군의 한국사적 의의

        조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6

        The Meaning of the Materials Related to Korea among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Russo-Japanese War’ Possessed by the Defense Ministry of Japan. Cho, Gun At The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NIDS; 防衛硏究所) of the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many literatures related to the Russo-Japanese War have been possessed. Among these, in the Rikugunsho Dainikki(陸軍省大日記; the Document Files of the Army Ministry) and in the General Historical Records of the Army, the document group with the title 'The Russo-Japanese War(日露戰役)' exists. Regarding the Rikugunsho Dainikki, the things that had been directly produced or tied up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before losing the war are the main ones. And, regarding the General Historical Records of the Army, the Jinchu Nisshi(陣中日誌) of the military unit of the site,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maps, the written reports written by the individuals, the official papers, etc. are the main ones. ‘The Russo-Japanese War’ Because, in the document group, the not-small number of the materials related to Korea have been contained, it catches the attention. These materials have been attesting well the facts that ‘the Russo-Japanese War’ had not been a war between only the two countries of Russia and Japan at all and, rather, that the independence and the right to survive of Korea are directly related. Especially, in 'The Detailed Work Report of the Military Section of the Military Affairs Bureau(軍務局 軍事課 業務詳報)', within the document group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s Russo-Japanese War, the contents regarding the activities during the war, from th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military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war, have been recorded specifically. After the end of the Russo-Japanese War, Japan published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公式戰史)'. Although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 is a thing that had been officially produ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ilitary, there are the things that had been compiled secretly according to the contents. A point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s the fact that there exist the case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Official History of the War' are describ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war situation. In this way, the situation of the war which Japan had intended to exaggerate or hid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ocument group of 'The Russo-Japanese War', which has been possessed by the NIDS. To sum up, in the document group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many materials with which the real situa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related to Korea can be even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are included. These are the materials that make it clear that the Russo-Japanese War had been the process of the armed forces invasion and occupation for the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judged that, in the future, through these material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Korean history will become possible. 일본 방위성 소장 육군 ‘일로전역’ 문서군의 한국사적 의의 조 건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에는 러일전쟁과 관련된 문헌들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이중 육군성대일기와 육군일반사료에는 ‘일로전역’이라는 제목의 문서군이 존재한다. 육군성대일기는 패전 이전 일본 육군성이 직접 생산하거나 묶은 것이, 육군일반사료는 현지 부대의 진중일지나 역사자료 및 지도, 개인이 작성한 보고서나 문건 등이 주류를 이룬다. 육군성대일기 ‘일로전역’ 문서군 중에는 한국과 관련한 자료가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이들 자료는 러일전쟁이 결코 러시아와 일본 양국만의 전쟁이 아니라 한국의 자주권과 생존권이 직결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잘 말해주고 있다. 특히 ‘육군성 일로전역’ 문서군 내 군무국 군사과의 『전역업무상보』에는 개전 전후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부터 전쟁 중 활동에 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었다. 『전역업무상보』는 1905년 12월 육군성이 예하 부서에 전시 활동 사항을 보고토록 지시한 결과물로서 개전 전야부터 종전 직후까지의 군사행정 사항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히 군무국 군사과의 『전역업무상보』에는 러일전쟁 개전 당신 한반도를 무단으로 침입했던 선견징발대와 임시파견대의 군사 행동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어 눈길을 끈다. 일본은 러일전쟁 종료 이후 ‘공식전사’를 발간하였다. ‘공식전사’는 일본 정부와 군이 공식적으로 생산한 것이지만 내용에 따라 비밀리에 편찬한 것도 있다. 주목할 점은 이들 ‘공식전사’의 내용이 실제 전쟁 상황과 달리 기술되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이렇듯 일본이 과장하거나 축소하고자 했던 전황은 방위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일로전역’ 문서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일로전역’ 문서군은 한국과 관련된 러일전쟁의 실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러일전쟁이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식민 지배를 위한 무력적인 침략과 점령의 과정이었음을 분명히 하는 자료들이다. 앞으로 이들 자료를 통해 ‘한국사적 러일전쟁사’ 서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Grain Growth in Barium Ferrite I. Kinetics of the Formation of Barium Ferrite

        조건,김기순,Cho, kurn,Kim, Kee-Soon The Korean Ceramic Society 197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열분해반응에 의한 바리움 페라이트 합성반응 후기에 있어서의 반응기구를 규명코자 수행되었다. 실험은 등온하에 90$0^{\circ}C$부터 110$0^{\circ}C$까지 50도의 간격으로 행해졌으며, 반응량의 결정은 X-선의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기초실험에서 얻은 표준보정자료와 비교함으로서 이루어졌다. 연구실험결과 합성반응의 후기는 주로 확산기구에 의해 지배되며 실험적으로 구한 활성화에너지는 14$\pm$10Kcal/mole이었다. 그리고 반응초기는 표면반응이나 혹은 반응후기와는 다른 이온에 의한 확산에 의해 지배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