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기반적 방법을 활용한 저서생태계 평가의 유효 조사정점 개수 산정

        유재원,김창수,정회인,이용우,이만우,이창근,진승주,맹준호,홍재상,Yoo, Jae-Won,Kim, Chang-Soo,Jung, Hoe-In,Lee, Yong-Woo,Lee, Man-Woo,Lee, Chang-Gun,Jin, Sung-Ju,Maeng, Jun-Ho,Hong, Jae-Sang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3

        환경영향평가와 해역이용협의의 의사결정은 보고서에 기초하는 것이며, 이는 자연 서식처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생태학적 질과 상태에 대한 보고가 갖는 높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생태학 분야의 축적된 연구 지식과 최근 기술(즉 연구 사례나 지시자/지표 기술의 활용 등) 등은 평가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환경영향평가서 조차 보존과 개발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현장에서 행해지는 채집 노력량은 매우 제한적이며, 해역이용협의의 경우, 대부분의 사례가 2개 이상의 소수 표본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 검토나 의사 결정에 활용될 중요한 생태학적 정보의 이해와 전달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채집 정점 수의 설정이 우선 해결되어야 할 문제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대형저서동물 조사에서 채집 정점 수를 결정할 수 있는 몇 가지 통계 기법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이 기법들은 반드시 예비 조사를 통한 정보를 필요로 하므로 국내에서의 활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적 저널에 보고된 연구의 정점 배치가 환경영향평가 또는 해역이용협의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태학적 현상을 성공적으로 이해한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19개의 기존 연구에서 활용된 정점 배치 사례(총 19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추정된 정점 간 거리와 $4{\times}4$ km의 단위면적 내 정점수를 계산하였고, 각각의 중위수는 2.3 km, 3개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각 사례별 단위면적 내 정점수(NSSU)와 총 조사 정점수(TNSS)를 이용하여 어림 조사지역 면적 (ASA, $km^2$)을 계산하고, 적절한 규모의 ASA 또는 NSSU/TNSS의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ASA와 조사 목적 그리고 NSSU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함수 관계를 추정하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험적 접근 방식에 의한 추정은 환경영향평가와 해역이용협의 현장 조사 시 채집 노력량을 늘리고 타당한 자료와 정보를 근거로 의사를 교환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Decision making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CCAU) is footing on the survey reports, thus requires concrete and accurate information on the natural habitat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reporting the ecological quality and status of habitats,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recent techniques in ecology such as the use of investigated cases and indicators/indices have not been utilized in evaluation processes. Even the EIA report does not contain sufficient information required in a decision making process for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addition, for CCAU, sampling efforts were so limited that only two or a few stations were set in most study cases. This hampers transferring key ecological information to both specialist review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Hence, setting the effective number of sampling stations can be said as a prior step for better assessment. We introduced a few statistical techniques to determine the number of sampling stations in macrobenthos survey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s requires a preliminary study that cannot be performed under the current assessment frame. An analysi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sampling stations from 19 previous studies was carried out as an alternative approach,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ose configurations reported in scientific journal contribute to successful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phenomena. The distance between stations and number of sampling stations in a $4{\times}4$ km unit area were calculated, and the medians of each parameter were 2.3 km, and 3, respectively. For each study, approximated survey area (ASA, $km^2$) was obtained by using the number of sampling stations in a unit area (NSSU) and total number of sampling stations (TNSS). To predict either appropriate ASA or NSSU/TNSS, we found and sugg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ship among ASA, survey purpose and NSSU. This empirical approach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sampling effort in a field survey and communicating with reasonable data and information in EIA and CCAU.

      • KCI등재

        대용량 소포영상에서 관심영역 고속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박문성,박상은,김인수,김혜규,정회,Park, Moon-Sung,Bak, Sang-Eun,Kim, In-Soo,Kim, Hye-Kyu,Jung, Hoe-Ky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quence of method which extrats ROIs(Region of Interests) rapidly from the parcel image of large size. In the proposed method, original image is spilt into the small masks, and the meaningful masks, the ROIs, are extracted by two criterions sequentially The first criterion is difference of pixel value between Inner points, and the second is deviation of it. After processing, some informational ROIs-the areas of bar code, characters, label and the outline of object-are acquired. Using diagonal axis of each ROI and the feature of various 2D bar code, the area of 2D bar code can be extracted from the ROIs. From an experiment using above methods, various ROIs are extracted less than 200msec from large-size parcel image, and 2D bar code region is selected by the accuracy of 100%. 본 문은 고속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 환경에서 획득된 대용량 소포 영상에서 다양한 관심영역(ROI:Region of Interest)을 고속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친 번째 단계에서는 영상을 32${\times}$32 픽셀 크기의 마스크로 나누고 그 중 내부 픽셀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값이 최저 동적 입계값보다 큰 경우에 1차 후보로 검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1차 후보 마스크를 다시 8${\times}$8크기의 서브마스크로 나누고 적셀 값의 편차(deviation)을 기준으로 최저 임계값보다 큰 마스크만 남김으로서 불필요한 영역을 제거한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소포의 외형 경계, 레이블 및 문자와 같은 소포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ROI)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거한다. 후처리 과정에서는 위의 ROI 중 2차원 바코드 영역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각각의 ROI에 대하여 기준축을 생성한 결과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대용량 소포영상에서 약 200msec 이내에 다양한 ROI를 추출하였으며 100%의 정확도로 2차원 바코드 영역을 지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혼합 필터링 기반의 영화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인용,양새동,정회,Jeong, In-Yong,Yang, Xitong,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1

        추천 시스템은 증가되고 있는 정보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합한 정보를 선별해 제공해준다. 추천 시스템은 기존에 입력된 정보들을 알고리즘을 통해 선별하는 과정을 거치고 사용자의 정보나 내용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추천 시스템의 문제점으로는 Cold-Start가 있으며, Cold-Start는 새로운 사용자의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서 추천 시스템에서 새로운 사용자에게 정보를 추천할 때 발생한다. Cold-Start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용자의 정보나 항목 정보가 충족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 기법과 내용 기반의 필터링 기법을 혼합한 혼합 필터링 기법 기반으로 Cold-Start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사용하는 영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Recommendation system is filtering for users require appropriate information from increasing information. Recommendation system is provides the inform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or content that information entered in the original through process of filtering through the algorithm. Recommend system is problems with Cold-start, and Cold-start is not enough information in the occurrences for new users of recommend system in the new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recommend. Cold-start is should meet to resolve the user of information and item information. In this paper, Suggest for movie recommendation system on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and content-based filtering techniques based to a hybrid of a hybrid filtering techniques to solve problems in cold-start.

      • 문서 구조정보를 이용한 SGML 문서 편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창수,조인준,정회,Kim, Chang-Su,Jo, In-June,Jung, Hoe-Kyung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1998 공학논문집 Vol.3 No.1

        본 논문에서는 SG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의 문서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SGML 실례문서를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문서의 논리구조 표현을 위한 구조 창을 이용하여 SGML 문서를 편집할 수 있어 SGML에 대해 모르는 사용자도 편집오류 없이 문서를 생성할 수 있고 엘리먼트(element)와 속성(attribute), 엔티티(entity)를 지원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엘리먼트 등을 손쉽게 수정 가능하고, 생성된 문서를 SGML 파서(parser)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은KS 5601코드를 사용하여 한글과 영문 텍스트를 모두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SGML 문서 편집 시스템은 윈도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윈도우95 시스템 환경 하에서 구현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editing SGML document instance using document structure information of SGML DTD. For make use of structure window for logical structure expression of document to SGML document editing without editing mistake of user and easy update the using support to editing process of elements, attributes, entities tools and product document, and valid using SGML parser. Also, in order to support Korean and English text using KS 5601. In this paper, the proposed SGML document editing system is used common controls support of window 95 for window user interface

      • KCI등재

        제한수신 기능 기반 T-DMB 시스템

        이종원,강인식,유대상,김종문,정회,Lee, Jong-Won,Kang, In-Shik,Yu, Dae-Sang,Kim, Jong-Moo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5

        현재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방송(T-DMB)은 국지적인 재난경보 방송을 실시하거나 다양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전파 음영 지역에는 시설 투자의 한계로 인해 서비스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T-DMB 시청이 불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들도 있기에 T-DMB는 제한된 지역과 모바일 디바이스들만 시청할 수 있는 방송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T-DMB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T-DMB 방송을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재전송해주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T-DMB 수신이 불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 제한수신 기능을 통한 단방향/양방향 인증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 한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Current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is conducting the emergency alert broadcast, or can view a variety of broadcasting. However, propagation shadow area is a situation where the service is limited due to limitations of facilities investment. In addition, there is the problem of T-DMB broadcasting is for viewing only a restricted area and a mobile device because the mobile is also T-DMB viewing device impossible. In this paper, it receives a T-DMB broadcasting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DMB system, which was studied the re transmission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ly, by receiving the broadcast may be watched in the mobile device the T-DMB reception impossible. Also provides a one-way/two-way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a conditional access function, and the system wa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atch only the registered broadcasting.

      • KCI등재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Lee, Young-Il,In, Min-Kyo,Lee, Kang-Chan,Lee, Seung-Yun,Kim, Chang-Su,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1

        Due to the improvement of mobile device capabilities, a demand for various contents service is increasing. But the differences from heterogeneous mobile devices force to develop contents which is dependent on a mobile. To solve this problem, adaptation course that reorganize contents by the device capability is hooded. In this course, device description is described using device description language but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is absence of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and the way to get device description data. In this paper, I suggest device description acquisition module and define the interfaces to access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that I designed and implemented.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