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정희 시와 ‘페미니즘의 급진성’

        정혜진(Jung, Hyeji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이 글은 체험·경험의 동일성(sameness)이 아닌 자매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규범적 이성애 섹슈얼리티에 대한 문제의식을 페미니즘 의제로 구성한 고정희의 여성해방론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정희가 ‘여성 동일시’(woman-identify)를 여성해방 주체화의 전략으로 삼고, ‘정상 섹슈얼리티’ 규범을 문제화하는 주체로서 ‘독신자’를 여성해방의 역사에 위치시키는 장면에 주목한다. 고정희는 초기 시에서부터 독신자의 실존의 문제로 사랑·모성을 재론하며 여성 물화(reification)에 도전했다. 이는 ‘또 하나의 문화’와의 만남 이후, 1980년대 페미니즘의 ‘생물학적 본질주의 비판’을 매개로 하여 성별 이분법을 극복하는 페미니스트 실천으로 전개된다. 이를 통해 자매애는 이항 대립적 본질론과 차이의 중립화를 넘어, 존재의 다수성과 접속되는 집합으로서의 여성해방 주체의 원리로 재구성된다. 이러한 이념은 1990년대 초반 ‘급진주의 페미니즘’으로 표현되었다. 고정희의 급진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지향은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 섹슈얼리티 개념이 숙고되기 시작하면서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재조명됐던 페미니스트 지성사와 관련된다. 고정희는 급진주의 페미니즘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및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구별되는 것으로 파악하며 ‘성의 혁명을 여성해방의 우선 과제로 삼는’ 운동으로 설명했다. 고정희의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재생산/노동 문제로서의 성별분업 논의를 섹슈얼리티 의제로 전환하고, 이로써 헤테로 메일 쇼비니즘-자본주의라는 이분법적 성차 생산 체계를 비판하는 것이었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의 이념을 구성하는 또 다른 원리인 연대는 「외경읽기」 연작시 중 「다시 오월에 부르는 노래」에 잘 나타난다. 이 시는 1991년 5월 투쟁을 폄훼하는 노태우 정권, 박홍, 김지하 그리고 그 역사인 군부 파쇼정권과 대결하면서 ‘정상성’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5월 투쟁과 연대한다. 고정희는 5월 투쟁의 죽음에서 외경을 읽고 ‘정상성’을 심문하며 새로운 지평의 열림을 보고자 했다. 5월 투쟁과의 연대는 자본주의적 이분법의 생산과 여성 물화를 의제화하는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정상성’과의 불화와 연대하는 이념임을 보여 준다. 이러한 연대의 원리는 페미니즘의 급진성을 ‘정상성’과의 불화로 구성한다. This article examines Go Jung-hee’s theory of women’s liberation. Go Jung-hee’s theory of women’s liberation seeks the possibility of sisterhood, not sameness of experience. And it constitutes a feminist agenda for criticism of normative heterosexuality. To this end, Go Jung-hee used “woman-identify” as a strategy for women’s liberation as a knowledge of internal division. And ‘single’ was positioned as the subject of women’s liberation that criticizes the ‘Normal sexuality’ norm. This ideology was expressed as ‘Radical Feminism’ in the early 1990s. Go Jung-hee’s Radical Feminism is related to the history of of sexuality concept contemplated in Korea from the late 1980s. At this time, Radical Feminism was re-examined. Go Jung-hee’s Radical Feminism was to transform the discussion of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to a sexuality agenda. As a result, criticizing “hetero mail showbinism- capitalism” as a “producing machine of sex difference” was the agenda of Go Jung-hee’s Radical Feminism. Solidarity, another principle that constitutes the ideology of Radical Feminism, appears in ‘Song of May again’. This poem is one of the serial poems of ‘Reading apocrypha’. reading apocrypha is an act of interrogating ‘Normality’. This poem practices reading the apocrypha in solidarity with “May Struggle” in 1991. It was a showdown with the Roh Tae-woo regime, Park Hong, and Kim Ji-ha, who disparaged “May Struggle” in 1991. Solidarity with “May Struggle” in 1991 shows that Go Jung-hee’s Radical Feminism is an ideology of solidarity with ‘disagreement with Normality’. This principle of solidarity constitutes the radicality of feminism as a ‘disagreement with Normality’.

      • KCI등재

        영추·경맥편 수태음폐경 유주의 한글번역에 대한 고찰

        정혜진,임사비나,Jung, Hyejin,Lim, Sabina 경락경혈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3 No.3

        Objectives : It aims to establish a basic rule in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Meridian vessel. Based on the rule, We tried to make standard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Meridian vessel. Methods : Books need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ing Kyunghee University Library(http:// khis.khu.ac.kr). Keywords included "Miraculous Pivot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We also include the book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textbook in Colleges of Korean Medicine. Results : In five Chinese books, the word-spacing was used differently in four phrases. Six Korean-translated books had the different translation in three phrases. We suggested a standard Korean translation of the pathway of lung meridian in Miraculous Pivot Meridian vessel. Conclusions : This result of the study would be expected to not only b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but be studied more about Korean translation by experts in this field.

      • KCI등재

        에너지 다소비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 변화와 특성 - 온실가스 배출 규제 시행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정혜진,신인철,Jung, Hyejin,Kim, In Chol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1

        It is known that energy usage from Korean Universities was growing rapidly in the early 2000s. But since 2011, the change was caused by GHG emissions regulation enforced by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each university's data and information. The result shows that GHG emissions from University have increased steadily prior to enforcement by 4-5% annually, but the rate of increase marked 0.5~1% in 2011~2013 is the season of emission regulation and the total amount of emissions decreased 3%~5% in 2014~2015 while preparing an emissions trading scheme.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enforcement of GHG reduction such as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makes a visible effect at least in the University sector that level of GHG emissions is from $75kg/m^2$ to $58Kg/m^2$ for seven years. Another result says that the size of research fund i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amount of GHG emissions before 2011, but the size of building area has been a new factor influencing the GHG emission since 2013. Thus we suggest tha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vel of GHG emission from University is suitable if it is based on the building area intensity. 2011년부터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와 같은 국가적 온실가스 감축 규제가 대학에도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2000년대 급속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던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 이후 안정세 및 하락세를 보여 오고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 규제의 시행을 계기로 대학사회가 온실가스 에너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보다 강력한 제도적 속성을 지닌 배출권거래제 시행 준비 시기에는 총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는 등 온실가스 다배출 대학을 중심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전환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세부적으로 추적하지는 않았지만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활동도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대학의 온실가스 배출이 2011년 이전에는 연구수혜액, 그리고 2013년 이후에는 연면적의 변화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원단위는 연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보다 체계적인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한 면적 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의 기준 수립과 관련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캠퍼스의 온실가스 에너지 감축 관리 사례 연구

        정혜진(Hyejin Jung),우정범(Jeongbeom Wo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3

        Reducing the GHG from universities is essential for not only fulfilling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universities but also fostering talents that are environmentally-conscious, amid the demand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lthough there has been the ‘green campus campaign’ by universities, the rate of increase in electricity consumption of Korean universities has reached as much as 4 times as the rate of the national energy consumption in last 10 yea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ive way and method to be applied to Korean universities in making sustainable campus including reduction of GHG. For this, the advanced cases of Japanese universitie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as the target with the features of energy-saving activities and geographic location of each university from the previous study. For more efficient and detailed analysis, we had made the exact pre-survey questionnaire items for in-depth interview.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most urgent task for implementing the green campus activities is to set the way to harmonize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in other words, supplier and consumer perspectives. Thus establishing a multi-sectoral organization including students is regard as the first step to make the active interaction among various members in campus. From the continuous pursuing by this, organization can make the media to communicate easily with the other members of university, can set strong plan and monitoring system to achieve their own goal and objectives, and finally can reach a consensus to persuade the diverse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is matter. We expect that outcomes and details of this case study learning from the site in Japan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GH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in Korean university also gives us an direction to reinforce the soft-power to make the campus more sustainable ultimately.

      • KCI등재

        혁신도시 지역 내 대학생의 공공 부문 선호에 미치는 영향 요인 : A 대학 사례

        정혜진 ( Hyejin Jung ),강재호 ( Jaeho Ka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地方行政硏究 Vol.35 No.3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2022년까지 지역인재를 30% 이상 채용해야 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혁신도시 지역 내 지방 대학생이나 취업 준비생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도시 소재 지방 거점 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계 3, 4학년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의 공공기관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로지스틱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 공통적으로 친사회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높은 학생들이 지역 내 공공기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재적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 변수 중에서는 유일하게 해당 지역 고교 출신 여부가 지역 내 공공기관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제도의 실효성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or job applicants in innovation cities, despite the fact that public agencies relocated should hire by more than 30% from those who graduated in the cities by 2022. In order to address the gap,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juniors and seniors’ preference for public sectors in a innovation c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logistic and ordered logistic models indicated that both prosocial and extrinsic motivation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ference for public sector, whereas intrinsic motivation present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stimates.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s in the innovation city were more likely to prefer public sector employment than other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of local university graduates in innovation cities.

      • KCI등재

        인문사회분야 개별 연구자의 성과 요인 분석

        정혜진(Jung, Hyejin),양정모(Yang, Jeong-Mo),오영삼(Oh, Youngsam)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3

        인문사회분야의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국가 예산 증대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높아짐에 따라, 해당 학문의 연구지원사업에서 창출된 성과 측정 및 관리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사회분야의 학문적 특수성이 반영된 성과지표가 부족할뿐더러, 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사업이 개시되어 2016년에 사업이 종료된 인문사회분야 학문후속세대사업과 개인연구지원사업의 연구 성과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인문사회분야의 개인 연구자를 위한 연구지원사업에 관한 자료를 토대로 KCI 논문편수, KCI 총 인용 수, 학술지 영향력지수 등 다양한 성과를 수집하고, 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종속변수에 따라 통계적 유의도는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대체적으로 연구자의 H-지수, 연구비 규모, 연구자의 성별, 소속기관 등이 인문사회분야의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성과 관리 및 측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research performance resulting from research support program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getting increased, as the idea that the governmental budget for supporting the academic area is significant expands. However,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lack of performance indicators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factors affecting research productivity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o tackle the problems, we analyze the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research performance of the Next-Generation Program and Research Support Program, which started from 2011 to 2013 and terminated in 2016.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researchers and support programs, we measure various research productivity indicators including total number of publications, KCI citation numbers, and journal impact factors. Results obtained from OLS regression indicate that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H-index of researchers, the amount of research budget, gender, and affiliation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research productivity. This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improve their management capability and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research performanc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생 창업 간의 관계

        정혜진(Hyejin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빠른 기술발전과 더불어 기업가적 대학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대학의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이 지난 10년 동안 급증해 왔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임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특히 대학생을 위한 창업 지원은 산학협력교수의 주요 업무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교수의 대학생 창업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년제 203개 대학을 대상으로 산학협력중점교수, 대학생의 창업 관련 활동, 대학의 창업지원 현황 및 대학의 특성에 대한 패널 자료를 구성하여 대학생의 창업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비율은 대학생의 창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은 반면, 창업전담조직에 배치된 전임교원은 대학생의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창업캠프에 참여한 대학생의 비율과 창업을 위해 지원되는 금전적 자원이 대학생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The number of collaboration professor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last decade, along with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Despite the expansion of collaboration professor recruitment, few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collaboration professors to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particular, we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the role of collaboration professors in the start-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is one of major duties of these professors. Following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structs panel data of 203 universities explaining the proportions of collaboration professors,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support of universities for students preparing new firms, and attributes of universities from 2017 to 2019.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ntage of collaboration professors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with the start-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ereas that of full-time professors working at organizations specializing in start-ups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new firm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had attended the start-up camps and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support from universities for students who attempt to create new firms positively influence the start-ups of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국어 교과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혜진(Jung, Hyejin),지은림(Chi, Eunl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2

        국어 교과의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 측정에 대한 탐색을 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10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ㆍ분석했다. 질문지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고, 세부요인들로서 비판적 사고로 ‘분석’, ‘추론’, ‘종합’이 포함되고, 창의적 사고로 ‘참신성’과 ‘생성력’이 포함되었다. 질문지는 내용전문가 검토를 거쳐 총 28개 문항들로 작성되었고 응답유형은 리커트식 5점 척도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첫째, Rasch 모형 문항적합도 분석을 통해 부적합 문항 1개를 제외하였다. 둘째, 문항반응범주곡선을 통해 5점 척도 응답지의 적절성을 확인하였고 셋째, 요인분석으로 5개 요인(2개 영역) 구성을 확인하였으며 넷째, 신뢰도 분석 결과는 α=.932이었다. 다섯째, 측정 점수를 학생들의 지필고사(선다형과 서술형) 및 수행평가(읽기와 쓰기)와 상관분석하여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 측정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surement of th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instrument including 28 items was administered to 105 middle school students. The Rasch measurement analysis confirmed that final 27 items were valid for measuring the competency and the scale of 5-points was appropriate for the equal intervals between response categories. The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consisted of five factors of analysis, inference, synthesis, divergence, and producibilit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is instrument, multiple choice tests, short essays, and performance assessment(reading & writing) proved that this instrument was valid for measuring the competency. Also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is instrument had high reliability(α=.932).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xploring how to measure students’ competencies validly and reliably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자율경영공시 참여 : 기업의 특성에 대한 탐색적 접근

        정혜진(Hyejin Jung)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2

        포용적 성장에 대한 중요성과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실무적, 학문적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가치와 이윤을 함께 추진하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기업의 자율경영공시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달성 수준과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자율경영공시에 참여한 사회적 기업들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자율경영공시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서 자율경영공시에 참여한 기업과 참여하지 않은 기업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사회적 기업들의 자율경영공시 참여횟수를 토대로 순서형 로짓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기업의 업력, 소재지역, 설립 형태, 인증 유형 및 주요 제공 서비스 종류 등이 자율경영공시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사회적 기업의 자율경영공시 참여를 증진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inclusive grow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social values have been paid significant attentions from practitioners and scholars. In this regard, public interests in social enterprises promoting social values and profits simultaneously are also growing. Voluntary disclosure of social enterprises gives information on both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and the level of accomplishment of social responsibiliti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social enterprises that have participated in voluntary disclosure did not deal with the features of social enterprises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system.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participating firms and non-participating firms in voluntary disclosure.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mployed ordinal logistic analysis using the frequency of voluntary disclosure of social enterprises from 2012 to 2019. It turned out that variables including firms’ age, location, establishment types, certification types, and main services provided by social enterprises significantly affect the frequency of voluntary disclosu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지구법학과 유엔 ‘하모니위드네이처(HwN)’

        정혜진(Hyejin J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환경법과 정책 Vol.26 No.-

        지구법학은 현재의 법체계가 산업문명이 초래한 전대미문의 생태위기를 막지 못했고 도리어 심화‧확산시키는데 일조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법과 거버넌스의 전환 이론이다. 현재의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 중심주의적인 세계관에서 탈피하여 비인류중심주의, 지구 중심적 세계관으로 나아가야 하고 법과 거버넌스는 이러한 새 패러다임의 세계관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 핵심이다. 이 글은 지구법학이 국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슈라는 전제에서 지구법학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온 유엔 프로그램 ‘하모니위드네이처’를 소개한다. 이 프로그램은 2009년 지속가능 발전 아젠다의 하위 아이템으로 출범하였고, 2016년부터 지구법학의 관점을 본격적으로 접목하여 국제사회에 지구법학을 알리고 홍보하며 각 회원국으로 하여금 지구법학의 관점에 근거한 법과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하모니위드네이처는 지난 10년 간 10개의 보고서 출간을 통해 지구법학에 대한 사례를 축적하고 지구법학 지반 확대에 역할을 해 왔다. 지금까지의 활동을 지구법학의 관점에서 평가한다면 무엇보다 지구법학을 유엔 및 각 회원국, 시민사회에 알리고 홍보하는 역할을 했다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인류중심주의 법과 거버넌스를 벗어나 지구중심적 법과 거버넌스로 나가야 한다는 지구법학의 핵심 가치는 기존 체제 입장에서 급진적인 것으로 평가될 수도 있으나, 하모니위드네이처는 이런 핵심 가치를 유엔의 핵심 아젠다인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프레임 안에 포섭함으로써 각 회원국이 큰 거부감 없이 지구법학에 접할 수 있도록 한 점이 긍정적이다. 다만 그 활동이 남미 등에 치우쳐 있다는 점이 아쉽다. 그 이유는 하모니위드네이처 출범에 남미 국가들이 적극적으로 관여했고, 더불어 자연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는 원주민 문화가 탈인류중심주의, 지구중심주의라는 지구법학과 쉽게 접점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유엔 회원국인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의 유엔 하모니위드네이처 프로그램의 성과를 활용하여 지구법학 가치를 받아들이는 법과 제도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This article introduces UN Harmony with Nature Program(‘HwN’) in the context of Earth Jurisprudence. The Program started over 10 years ago in 2009 when the UN General Assembly declared 22 April International Mother Earth Day and adopted the same year the first General Assembly Resolution on Harmony with Nature. Since then, it has been settled as “harmony with nature” agenda, which was introduced in “The future we want”, the resolution of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held in Ro de Janeiro in 2012, under the bigger “Sustainable Development” one. The essence of this Program resides in non-anthropocentrism or Earth-centered worldview, which resonates with Earth Jurisprudence. The Program has commemorated annually 22 April with UN Interactive Dialogues of the General Assembly, with UN Secretary Reports on Harmony with Nature. To date the General Assembly had hosted 10 Dialogues on Harmony wih Nature and 10 UN Reports on it as well as a Supplement to the 2020 report along with the publication of the 2016 Expert’s report. In doing so, the Program has played a key role in spreading and educating the Earth jurisprudence spirit, accumulating 370 pieces of legislation and policy cases in 35 countries. It is pointed out, however, that the Program needs to reach Asia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n which Earth jurisprudence is barely known, as well as South American, North American, African, and European countries, where Earth jurisprudence practices are relatively com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