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또래 친구 부모의 학력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또래효과(peer effects)의 포괄적 이해와 분석

        정혜주(Jung, Hyejoo),정설미(Jeong, SeolMi),문희원(Moon, Heew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효과 추정에 있어 종래 학업성취도 중심의 이해를 확장하여 또래의 가정배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특히 또래 부모의 학력에 초점을 두고 또래효과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초등학생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학생 본인을 제외한 급우의 학부모 중 대학교 졸업자 비율과 대학원 졸업자 비율을 각각 변수화하여 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이때 학교 내 학급 배정이 무위로 이루어진다는 가정하에 학교 고정효과와 학급별 응답 비율을 통제함으로써 자기선택의 문제와 측정오차의 문제를 완화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또래 학부모 중 대학원 졸업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학생의 수학 성적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또래 학부모 학력의 긍정적인 영향력은 또래의 성취도 점수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제한 이후에도 여전히 유의미했다. 또한, 또래 학부모 학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졸 이하 학부모를 둔 학생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비대칭적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또래 학부모 학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외생적 또래효과의 경로를 탐색해본 결과, 또래 학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 정도는 또래 학부모 학력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의 주체로서 학부모의 위상을 강조하고,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ogenous effects of the educational level of peers parents extending from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peer effect. Given these aims, we analyze how highly educated peers parents affect students Korean Language, English Language, and math achievement in a class using the elementary school cohort data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SELS). Therefore we identify an empirical analysis model controlling the school fixed effects and the response rate of each class so that the model alleviates the problem of self-selection and measurement errors. We find that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lassmates with more educated parent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individual student s math 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for peer scor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positive effects are still significant. Also, highly educated parents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asymmetric depending on individual students parental educational level. Further analysis exploring the path of exogenous peer effects arising from parental educ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interest in their children s education partially explained its effect.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w perspectives defining parents as the primary agents of deep interest and support for school education and suggests relate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 경기도교육청의 방학분산제를 중심으로

        민윤경(Min, Yunkyung),정혜주(Jung, Hyejoo),신동용(Shin, Dongy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2016) 데이터를 사용하여 방학분산제 정책이 학생들의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방학생활 효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개인 및 학교 관련 변인이 무엇인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다층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특성 변수 중 부모의 혼인상태, 학생의 수업 태도 및 진로 이해가 방학생활 효과인식에 대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 변수는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특성 변수인 방학분산제의 실시여부 및 실시유형은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방학분산제의 정책적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처럼 분석 결과 방학분산제는 정책 도입 시 의도와 달리 학생들에게 목표한 만큼의 정책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부분에서는 방학분산제가 향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효과를 제대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정책 부문과 설문 조사 부문에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cation policy on the perception of vacation effects in the fifth year(2016) data of GEPS, and school - related variables. To do this, a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used to conduct multi-level analysis. First, the parental marital status, the students" attitudes and career understanding among the student characteristics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vacation effect. Second, the school characteristics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vacation effect. Finally, the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type of the vacation characteristics, which is a policy characteristic variable,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the vacation effec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ur seasons vacation system did not achieve the policy effect as much as the aim for the students. In the discussion section, we propose a policy section and a questionnaire section to make four seasons vacation system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and achieve its effect properly.

      • KCI등재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한은정(Eunjung Han),정혜주(Hyej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이 연구는 최근 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혁신 논의에서 체제 개편에 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최근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이 생각하는 중등교사의 역량과 그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것이 향후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교원 양성 교육과정(전공/교직/교생실습)의 특징, 문제점, 개선과제 등에 대해 온라인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하위주제 도출, 상위주제 확정의 절차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관계 맺기 역량, 인간 심리와 삶에 대한 통찰, 지속적인 전문성 계발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1)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2) 수업 실연 및 선배 멘토링, 생활지도 및 상담 과목 운영 등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노력, 3) 실제 수업을 해 볼 수 있는 값진 시간“”으로서의 교생실습, 협업 4)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발표 토의, 팀 , 과제 중심의 수업 운영,교 5) 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을 기초로 한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1) 실용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2) 담당 교수나 실습지도 교사의 개인 차에 따른 교육과정의 질, 3) 수업 기회와 실무 경험이 부족한 “이벤트성” 교생실습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예비교원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조화, 2) 교사 초빙, 실무실습 강화 등을 통한 학교교육에의 현장성 강화, 3)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4) 교생실습 체계화, 교육봉사 내실화, 지도교사 업무 경감 등을 통한 교생실습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의사소통 역량과 관계 맺기 역량은 이들이 의사소통과 관계 맺기 측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그간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이 제기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 전문성의 토대로서 이론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론과 균형을 이루는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의 전환을 고민하여야 한다’.셋째 전통적인 교원 , 양성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한 채 일부 교과목의 추가만으로 예비교원들의 실질적인 역량이 함양되기는 어려우므로, 무엇을‘’이 아닌 어떻게‘’ 가르침으로써 역량을 키울 것인지에 초점을 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y experienced. Through these result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Methods We conducted individual online interviews with nine novice teacher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open coding, sub-topic derivation, and higher-topic determination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were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building skills, insight into human psychology and life,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apabiliti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theory-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to strengthen practicality, student practice as a “valuable time”, presentation, discussion, team task-oriented operation, and systematic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the formation of values as teacher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is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an impractical curriculum,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rofessors or training instructors in charge, and the limitations of “eventuality” in student practice that lacked teaching opportunities and practical experience. Finall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strengthening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inviting teachers and enhancing practical practice, operat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 practice by systematizing it, strengthening educational services, and reducing supervisor work.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kills that novice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competencies prove the fac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itioning to a curriculum that balances theory with a field-oriented approach. Finally,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focus on enhancing competencies through effective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