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한 한·중 명암(明暗) 형용사의 의미 확장 및 의미 구성 양상 대조 연구

        정혜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0 국어교육연구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extension and meaning construction of brightness adjectives focusing on “밝다,” “어둡다,” “亮,” “暗” in Korean and Chinese using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and investigat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mantics of “밝다” and “亮,” “어둡다” and “暗” are both extended from the subjects of light to color and space (place) and from the concrete field to the abstract. Additionally, “어둡다” and “暗” are both extended to the subject of “one area.” These three points are similar. The difference is that the semantics of “밝다” are extended to subjects such as “future,” “etiquette,” “character, expression, atmosphere,” “eyesight, hearing,” “one area,” “world, society,” but the semantics of “亮” are extended to subjects such as “voice” and “heart, mind.” And the semantics of “어둡다” are extended to subjects such as “eye,” “personality,” “future,” “character,” ”expression,” “atmosphere,” “eyesight, hearing,” “world, society,” but the semantics of “暗” are extended to subjects such as “heart, mind.” 이 연구의 목적은 한·중 명암 형용사 중 ‘밝다’, ‘어둡다’, ‘亮’, ‘暗’을 중심으로 의미 확장 및 의미 구성 양상을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공통점 및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밝다’와 ‘亮’, ‘어둡다’와 ‘暗’은 빛 주체에서 빛깔과 공간(장소) 주체로 확장된다는 점, 주체가 모두 구체 영역에서 추상 영역으로 확장된다는 점, 그리고 ‘어둡다’와 ‘暗’은 모두 ‘어떤 분야’라는 주체로 확장된다는 점이 동일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밝다’는 ‘미래’, ‘예의’, ‘성격, 표정, 분위기’, ‘시력, 청력’, ‘어떤 분야’, ‘세상, 사회’ 주체로 의미가 확장되는 반면에 ‘亮’은 ‘소리’, ‘마음, 생각’ 주체로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어둡다’는 ‘눈’, ‘성품’, ‘미래’, ‘성격, 표정, 분위기’, ‘시력, 청력’, ‘세상, 사회’ 주체로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暗’은 ‘마음, 생각’ 주체로 의미가 확장되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충남 내륙지역 민속식물의 전통지식

        정혜란,권혜진,최경,정재민,문현식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4

        To survey and collect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regional folk plants, we interviewed 125 (male 37, female 88) native inhabitants in inland, 12 cities and counties of Chungnam province from March to October, 201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Chungnam province consisted of a total 273 taxa; 92 families, 225 genera, 237 species, 4 subspecies, 29 varieties and 3 forms. Of 273 taxa surveyed ; 5 Korean endemic plants, 8 rare plants and 16 naturalized plants were also included. And of 273 taxa, cultivated plants were 82 taxa and 191 taxa were wild plants. The analysis of use by usage for 273 taxa showed that the edible use was the highest with 981 times, followed by medicinal with 439 times, material with 179 times, oil with 68 times, respectively. The leaf of plant was the most useful part, followed by stem and fruit. The consistency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name and the local name were the highest in 50’s and the lowest in 90’s. 본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민속식물자원에 대한 전통지식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이용정보를 국내 자생식물의 주권 확보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또한 이를 토대로 신물질・신소재 개발의 기초정보 제공과 지속적인 보전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남 내륙지역의 12개 시・군에서 지역주민 125명(남자 37, 여자 88)을 대상으로 민속식물 자원의 분포와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민속식물자원은 92과 225속 237종 4아종 29변종 3품종 총 27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273분류군중에는 특산식물 5분류군과 희귀식물 8분류군, 귀화식물 16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중 야생식물은 191분류군이었으며,재배식물은 82분류군이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식용 981건,약용 439건, 용재용 179건, 유지용 68건 등으로 주로 식용의 빈도가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줄기, 열매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90대에서 가장 낮았다.

      • KCI등재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정혜란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This research focuses on dissertations and analyzes research trends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contrastive linguist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in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research is proposed. First, a total of 193 dissertations were collected, and their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nual, research theme,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method. In order to ensure feasibility, the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n overall perspective of the coordinates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and a qualitative leap in research will be enabled. In addition, the study of trends based on the four criteria in this paper will serve as a meaningful reference for graduate students who are planning their dissert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흐름을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학 연구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에 대한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총 193편의 연구물을 추출하였으며 분석 기준을 연도,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네 가지로 분류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분류 기준에 따라 연구물에 대하여 질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음 한국어교육에서 인지언어학을 활용한 연구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의 좌표를 조감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연구의 질적인 도약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본고에서 네 가지 기준으로 동향을 고찰한 것은 향후 한국어교육학 학위논문을 계획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유의미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촉각형용사 의미 교육을 위한 시론 - 중국인 학습자의 이해·산출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

        정혜란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8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basic stages of meaning-focused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tactile adjectives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and to analyze the aspects of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meaning by Chinese learners. We developed 68 test questions for seven Korean tactile adjectives, and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nvolving 64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e then conducted interviews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errors and to precisely underst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learning process. Finally, the aspects of meaning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nd the reasons for the errors helped explore the meaning-focused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tactile adjectives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촉각형용사 의미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한 기초 단계로 중국인 학습자의 의미 이해·산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한국어 촉각형용사를 대상으로 총 68개 문항을 개발하였고,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 총 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음, 학습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더 확실한 해답을 얻기 위해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여 오류 원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해·산출 양상 및 오류 원인에 기반하여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촉각형용사 의미 교육 내용 탐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내부마케팅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혜란 관광경영학회 2016 관광경영연구 Vol.72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such as employees internal marketing, job stres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to understand how the various elements composed of each variable affec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job stress. For an analysis of dat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hotel service encounter workers. Total 300 sheets were sued for an empirical analysis with SPSS 21.0 and hierarchic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internal marketing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except reward factor. Seco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lso influence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job stress. And the job stres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fluence factors for future study enhancing internal marketing would lead the positive chang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사천만 지역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지도 작성

        정혜란,장동호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1 기후연구 Vol.6 No.2

        이 연구에서는 사천만 지역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시계열자료인 3개의 지형도를 사용하였으며, GIS기법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별 침수면적을 산출하고 지도화하였다. 연구결과, 1917년과 1975년의 연구지역의 토지이용 유형은 주거지와 농경지로 대부분 이용되었으며, 갯벌이 넓게 분포하였다. 2010년에는 갯벌을 매립해 조성한 간척지와 일부 농경지와 주거지에 사천일반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해안선은 1917년 13.9㎞, 1975년 15.1㎞, 2010년 18.5㎞로 증가하였다. 간척지 면적은 1917년에서 1975년 사이에 0.4㎢, 1975년에서 2010년 사이에 1.97㎢ 각각 증가하였다. 시나리오별 침수면적은 2050-Ⅰ(4.0m)시나리오 72.1㏊, 2050-Ⅱ(4.74m) 시나리오 103.74㏊, 2050-Ⅲ(6.81m) 시나리오 340.84㏊, 2100-Ⅰ(4.29m) 시나리오 87.41㏊, 2100-Ⅱ(5.03m) 시나리오 182.54㏊, 2100-Ⅲ(7.1m) 시나리오 355.13㏊로 예상되었다. 제작된 침수지도는 향후 효율적인 재난 관리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팔로어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혜란 관광경영학회 2012 관광경영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followership as a moder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linkages between the constructs, an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with in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the study review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hree hypotheses with SPSS program version 18.0 and AMOS Program. The study resulte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showed a signig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lso,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rvice orientation. But, followership has not significant direct effect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revealed in the study would help establish strategies to enhance partnership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for service orientation. A healthy partnership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can double an organization's effectiveness. leaders need to understand that an organization's success is determined by nurturing effective followers, and devote all their energies to developing their followership.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품질경영

        정혜란,홍성훈,이민구,권혁무 한국품질경영학회 2017 품질경영학회지 Vol.45 No.4

        Purpose: The world faces a great turning point fundamentally rebuilding the future, and human lives, by embrac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paper aims to seek new and various business model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examine the evolution of quality management in the changing of the industrial ecosystem. Methods: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strategies of approach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Germany, the USA, Japan, China, and Korea. This paper also draws detailed items by classifying the six major items of Malcolm Baldridge into large, medium, and small scale classifications, researches items from the technical perspective by applied fields, and the four major factor perspectives of quality management, as well as analyzes the relevant items in a multidimensional method. After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00 quality experts was conducted, the important quality management factor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Results: The importance of the general criteri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customers, MAKM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workforce, strategy, operations, and leadership. As for the importance analysis results of the secondary subcriteria, the following items are highly analyzed: senior leadership, searching business model’s innovation opportunity,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big data utilization, systematic management of workforce, and, planning and design quality. Conclusion: In the era of the Internet of everything, when complexity increases, this study presented a quality management direction suitable for new business methods challenging existing orders by drawing on quality management priorities.

      • KCI등재

        중국흉배와 한국 흉배의 비교 고찰

        정혜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1 고문화 Vol.57 No.-

        이 연구는 중국흉배와 우리 나라 흉배의 기원과 발전을 문무관 계급흉배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흉배는 계급을 표시하기 위한 표장으로 중국 명대 흥무제때 제정되었다. 흉배모양의 기원은 원대 귀족들이 달고 다니던 의복의 장식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흉배는 각 계급의 상징을 등급별로 정하였고 문관은 새, 무관은 주수(走獸)를 주 문양을 하였다. 우리나라 흉배는 명에서 받기 시작하여 세종대에 이미 많은 물량이 들어왔고, 단종대에 이르러 흉배제도를 채택하게 되었다. 조선 중기까지의 흉배는 중국흉배를 그대로 쓰기도 하고 그 구성과 문양에 있어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흉배의 시대구분에 있어 우선 기준이 되는 것은 크기로 흉배의 크기는 시대가 갈수록 작아진다. 주문양의 형태, 종속 문양의 모양은 시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영조이후 우리나라 흉배는 우리 고유의 흉배 체계를 세우 고 중국과 다른 기법과 문양으로 우리만의 독자성을 지니고 발전하여 자수 중에서도 고유하면서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Chinese rank badge and Korean rank badge, giving special attention to the rank squares for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rank badge was first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ongmu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as an insignia to represent the rank of the officials. It seems that the original shape of the square started from the robe decorations of the nobles of the Yuan dynasty. Design symbols were designated for each rank, mainly birds for civil officials and animals for military officials. Korea, which first imported Chinese rank badge from the Ming dynasty, had already lots of Chinese rank badge during the reign of King Se Jong, and by the reign of King Dan Jong it established the rank badge system. Until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Korea used Chinese rank badge, the composition and design of which affected Korean rank badge greatly. The size of the rank badge is the main criterion for the generational difference for rank badge become smaller as time goes on. The shape of the main design and subsequent design can also be the criterion to find out the time of the square. Since the reign of King Young Jo Korea established its own style for rank badge system, developing its own techniques and designs which differ from the Chinese ones and the Korean rank badge were improved to be an art with original and unique beauty in the world of embroid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