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황해도 옹진의 본영탈춤,소강탈춤의 전승배경과 연희적 특징

        정형호 ( Hyung Ho Jung ),송인우 ( In Woo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황해도 옹진의 본영과 소강 지역에는 인근 강령탈춤과 별도로 탈춤이 전승하고 있다. 이 글은 이를 새롭게 밝히기 위해 2인의 역할 분담으로 쓰여졌다. 송인우는 옹진에서 월남한 사람을 대상으로 집중 면담 조사를 실시했으며, 정형호는 이를 정리, 분석하는 일을 맡았다. 본영과 소강은 수군의 지휘자가 거주하던 곳으로, 경제적 기반이 튼튼한 곳이다. 이 2곳과 인근 강령은 서로 초청하기도 하고, 상호 경쟁관계를 유지하며 탈춤을 발전시켰다. 연희적 특징을 보면, 기존 강령탈춤과 비교하여 사자춤을 비롯한 일부 순서에 차이가 있다. 소강에는 말뚝이춤과장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본영에는 한량춤과장이 독립되어 있다. 춤에서는 상좌춤을 중요시했고, 활달한 말뚝이춤이 춤의 기량을 재는 척도이며, 취발이가 배역의 대표역을 맡았다. 탈은 종이탈이고, 그로테스크한 귀면(鬼面)형이며, 놀이 시기는 단오가 중심이다. 음악의 반주는 모두 인근에 `경잔패`라는 전문적 악사들이 사는 마을에서 맡았으며, 이들은 음악 이외에 탈춤, 줄타기, 땅재주 등의 재주도 지녔다. 특히 본영에는 지역 무당이 직접 본영탈춤에 참여해 할미 사후 장면에 굿을 주도했다. 그리고 개인 집의 굿에서도 `광대대감굿` 부분에 무당과 주민이 같이 탈을 쓰고 춤을 추었다. 따라서 무당이 지역 탈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전쟁 후 강령은 남한에서 복원되었으나, 본영과 소강탈춤은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았다. 이 글은 앞으로 본영과 소강탈춤의 연희본 완성과 복원을 위한 시발점이 되리라 판단된다. Aside from the Kangryung masked dance, a masque dance in the near of Ongjin county in Hwanghae province has been transmitted. This article was written by two researchers to investigate this fact in a new way. Inwoo Song had conducted a focus interview aimed at persons who came from Ongjin to South Korea and Hyungho Chung had been responsible for summarizing and analyzing the interview. Bonyoung and Suyoung were a place in which a navy admiral stayed and a very rich area. These two places and Kangryung invited and perfomed each other. They kept a competition relationship for the performance. For this reason, the masque dance had advanced in this area. Compared to Kangryung masked dance, this masked dance had a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rder including a lion dance. Malddukyi dance was expressed in detail in the first part and Hanryang dance was performed independently in the middle of the dance. Sangjwa dance among dances was considered important. Also a lively Malddukyi dance was a scale which measured the skill of the dance. Chwiballyi starred in the dance. The mask was made from a paper and had a grotesque ghost face. This dance was played around Dan-oh. The music accompaniment was conducted by professional musician group, "Kyungjanpae", who lived in the vicinity. They had talents such as masked dance, tightrope dancing, tumbling in addition to music accompaniment. Especially, a local shaman took part in the Bonyoung masked dance and leaded an excorcism after the death of Halmi. Also, in the part of the Kwangdaedaegam gut, the shaman and village people put on the mask and danced together. Therefore, a shaman was closely connected with a local masked dance. After the Korean war, Kangryung masked dance was restored but Bongyoung and Sogang masked dance was not transmitted at all.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for completing the script and restoring the Bongyoung and Sogang masked dance.

      • KCI등재

        현대미술에 나타난 패브릭에 대한 고찰 -08 광주 비엔날레 패브릭 작품 중심으로-

        정형호 ( Hyung Ho Jung ),배수정 ( Soo Jeong Bae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0 패션 비즈니스 Vol.14 No.4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in the 20th century can be said the history of changes. Today the variety of objects destroy the boundaries of each gen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that becomes closer by examining contemporary art in the Gwangju Biennale 2008 to enlarge the range of understanding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fabrics which are the object of fashion. The research method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object fabrics shown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review of paper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lated literatures, and Internet materials. Also, the meaning, technique, and methods of fabrics were analyzed from works introduced in the Gwangju Biennale 2008.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abric was examined as the object of work in Gwangju Biennale 2008.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fabr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environment newly with more dynamic, abundant, and comfortable and softer feeling than any other artistic materials and enlarging the boundaries of artistic materials by exploring formative possibility. Furthermore, its multi-dimensional expression characteristic presents unbounded possibility. Fabric which has long formed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has taken its place as one genre now. It departs from the past principles of fabric handicraft and the restriction of a classical norm and becomes characteristic of very wide-ranging selection of materials and free expression. Its soft and warm texture provides emotional stability for a human. Although the peculiarity of fabric as an active concept to human environment and new materials and technique based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 human rely on the high development of industry, it is significant that artists` liberation from their concept and material sense is accompanied by the expression of freedom.

      • KCI등재

        경복궁 중건과 안성 바우덕이의 관련성 고찰

        정형호(Jung Hyung-ho)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3 No.-

        이 글은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의 중심인물인 바우덕이의 생존 시기와 경복궁 중건 참여 여부를 규명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바우덕이는 안성 청룡리 기반 남사당패인 개다리패 소속으로, 경복궁 중건에 참여해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여 대원군으로부터 옥관자를 하사 받았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안성의 축제는 이것을 기반으로 하는데, 근래 안성 지역사회에서는 바우덕이의 실존 여부, 생존 시기의 모호성, 남사당패 성격 규정에 있어 현격한 시각차를 가지고 심한 내적 갈등 양상을 보여 축제의 정체성마저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바우덕이에 대한 현지의 구술자료, 경기도 마을 두레농악패의 경복궁 중건 참가 자료, 각종 문헌에 나타난 중건의 실제 과정과 각지 부역꾼의 동원, 작업과 놀이방식, 각 지역 전문 놀이패의 동원과 공연 등을 통해 다각적으로 접근하였다. 구술자료는 과거 경험이나 사실의 현재적 기억이란 측면에서 객관성 확보에 취약하다. 따라서 한 인물에 대한 여러 구술 자료들이 서로 엇갈리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바우덕이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료간 교차 검토를 실시했으며, 또한 19c의 문헌자료를 보완해서 구술에 담긴 실제성을 어느 정도 추정했다. 제시된 여섯 편의 구술자료를 보면, 다섯 편에서 바우덕이의 경복궁 중건을 언급하고 있으며, 그 중에 남사당패로 활동한 인물의 구술에서도 이런 증언이 나온다. 그리고 동거남으로 알려진 이경화라는 인물을 통해서도 바우덕이의 생존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경복궁 중건의 과정과 참여 집단, 놀이 및 공연 양상은 「경복궁영건가」, 『기완별록』, 『승정원일기』에 상세히 나와 있는데 앞의 구술자료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이를 보면 경복궁 중건에는 각지 부역꾼들이 지역 표시를 하고 집단별로 작업에 참여했다. 실제 경기도 안산, 안양, 용인, 안성 지역의 구술 중심 자료에서 마을 두레농악이 경복궁 중건에 부역꾼으로 참여했다는 증언이 나오며, 안산은 재인마을까지 참여했다. 하루 작업이 끝나면 뒷놀이가 대규모 길놀이와 난장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각지의 전문적 예인패인 광대패, 거사패, 화랭이와 무당패, 산대놀이패, 그리고 악공과 소리꾼, 각지의 농악과 무동패 등이 부역꾼의 고단한 작업의 위무(慰撫)를 위해 대거 투입되었다. 따라서 바우덕이가 속한 안성 개다리패도 중건 현장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크다. 연희와 놀이는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는데, 서울의 전문예인패들은 왕의 친림 행사나 큰 규모의 공연을 주도했다. 반면 지역의 예인패들은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고단함을 풀기 위해, 작업 전후에 길놀이나 뒷놀이를 담당했다. 이 과정에 대규모 경연형태도 나타난다. 한편 조선 후기에 뛰어난 예인에게 왕이 옥관자를 하사한 구체적 사례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 바우덕이의 옥관자 수여도 실제 있었을 개연성이 크다. 결국, 19c 경복궁 중건은 왕권 강화를 위한 대규모 역사로 알려져 있지만, 그 과정에 부역꾼과 전문예인의 집단 연희로 인해 문화사적 의미도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survival period of Boudukee who was the center of the Ansong festival and to determine whether she attended the rebuilt of Kyungbok palace. Boudukee is a woman aod a member of the famous Namsadaogpae which worked based on the contemporary southern village of Ansung, “Chungryongri”. She participated when the Kyungbok Palace was rebuilt in 1865 aod received the Okkwangja from Daewongun because of his exceptional skills and performance. This festival was based on this fact. By the way, a recent Ansung city is experiencing severe internal conflicts because of the matter of her existence, the ambiguity of survival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Namsadaogpae. Thus, even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festival bas even threatened. Therefore, this paper analysed the 6 relevant oral histories about her history and the history of Namsadaogpae closely. Also, it provided some relevant oral data which Gyeooggi-do village’s Pungmulpae participated the rebuilt of Kyungbok palace. In addition, it approached the entire process of the rebuilt, the mobilization of the local workers, the way they work,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professional players, the type of performance based on the record of the time, ‘constructing the palace’, ‘giwanbyeoltok’, ‘Royal Secretariat Diary’. Thus, we concluded that the oral data which “Boudukee”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ng the Palace was based on the real content.

      • KCI등재

        경인민속학회의 지향과 과제

        정형호(Jung Hyung-ho)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1 No.-

        경인민속학회는 5년의 역사를 지닌 신설학회로서 서울 경기ㆍ인천 지역의 민속을 조사연구하는 지역민속학회이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 도시민속학을 연구하는 학회의 성격을 아울러 지닌다. 26회의 월례발표회, 3회의 규모 있는 학술발표회, 3번의 현지조시를 실시했으며, 46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1권의 총서를 발간했다. 발표 내용을 보면, 주로 민속신앙이 가장 많고, 총체적 접근으로 도시민속 연구사, 민속방법론, 공동체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기타 비교민속, 생업, 세시풍속 등도 몇 편씩 다루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역이 가장 많고 이어 경기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분야별, 지역별로 다소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점차 지역을 넓히고 분야별 분화하고 도시와 현대민속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서울을 중심축으로 공간의 확대와 개항지로서의 인천과 연관성율 살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기도는 서울 확대와 관련지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지역민속학회로서 지역 공간의 변화와 거주자의 생업 및 변화 과정을 면밀히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민속학회로서 인접 도시사회학, 도시문화학, 도시역사학, 현대민속학과 밀집한 관련을 지닌다. 그리고 도시는 역사적사건이나 외세 침략, 정치적 영향 등의 외무적 충격에 민감하고, 개인에 따라 민속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 민속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일상생활사, 개인생애사까지 범주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접근 방법은 대략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 민속의 확대된 갈래 및 주제로 접근하는 방법, 개인의 생업적 특성에 의한 접근 방법, 역사적 사건에 따른 접근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런 접근 방법은 모두 개인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련성을 추출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학회의 당면 과제는 지역과 도시민속의 접점을 어떻게 오색하고, 연구 분야와 지역의 편중 현상을 극복하며, 개인생애사를 어떻게 적절히 활용하느냐, 그리고 전문연구자의 육성 등이라 할 수 있다. Kyungin Folklore society is the newborn institute which has been for 5 years and investigates folklore around Seoul, Incheon, Kyungki area. In addition, it has a character as the society which studies urban folklore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Nowadays, monthly meeting has been conducted 26 times, systematic lectures presentation has been conducted 3 times, field survey had been done 3 times. 46 articles were published and one collection book came out. If we see the issues in presentation, folk religion had the highest number and then city folklore methodology, city community issue were dealt with. In addition to these issues, a comparative folklore, an occupation and seasonal customs were presented a little. Research area had the highest number of Seoul and then Kyungki province. Research area was biased according to local places. Therefore, w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area and detail by the issues and expand the study range. The approach might be divided into specific-place, folklore theme, private occupational character, historical event. This kind of approach has the mutual organic relatedness with the center of personal oral life history. The present issues of the society are to grope contact points between country and urban folklore, to overcome the concentrated phenomenon of research area and range and to foster lots of exclusive researchers.

      • KCI등재

        20세기 서울 지역 도시공동체의 특징과 변모 양상

        정형호(Jung Hyung ho)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7 No.-

        이 글은 20c 급격한 도시화 과정 속에서 서울 지역 공동체의 존재와 그 변모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우선 인간이 왜 공동체를 지향하는가를 따져보고, 이어 서울에서 공간의 변화에 따른 지연공동체의 약화 및 해체 과정을 접근했다. 따라서 일부 지연공동체의 잔존 양상, 이주민의 대응방식과 역할, 그리고 지역별 소공동체로의 분화 현상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서울은 20c 초반만 하더라도 한강변과 일부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200~300호의 마을을 형성하면서 생업과 동제를 중심으로 느슨한 지연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공간 분화 정책, 그리고 분단과 전쟁, 새로운 주거 공간 형성, 각종 재개발 등에 따라 급격한 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토박이의 영향력 약화에 따라 선주민과 이주민들의 상호 관계, 이주민들의 지역 사회에 대한 대응 방식은 지연공동체에 중요하게 작용된다. 이주민들은 선주민의 개방성 여부, 생업과 토박이와의 친밀성, 지역 영향력 확대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대응한다. 일부는 이들이 지역사회에 적극 편입하여 지역 행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제한적이지만 아직도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동제이다. 동제는 오랜 전통을 지닌 신앙공동체의 핵심으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지역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향우회는 지방 출신 향우회와 서울 내 타지 전출자 중심의 향우회로 다시 세분화된다. 이것은 동창회 및 친목회와 관련을 지니면서, 일부 정치적 성격도 지닌다. 노인회는 노인정이란 공간을 중심으로 여가공동체로서 자체 결속력을 지니며, 현재 식사공동체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한편 계는 사적인 돈계를 제외한 마을 계는 거의 약화되었으나, 아직도 일부 장례, 혼인 중심의 계가 잔존한다. 근래 서울의 공동체 양상은 자체 결속과 자율의 양면성 속에 호혜적 유대감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점차 지연보다는 상호 이해관계에 따라 소공동체 중심으로 재편되어 가고 있다. 이제는 각종 보존회, 향우회, 계, 노인회, 관제 조직, 취미와 체육 중심 친목회, 상가 상인회, 아파트 조직, 각종 동창회 등 다양하게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소규모 공동체는 도시 속에서 일정 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지역민의 수용 양상, 개방성 여부, 의사결정 과정의 민주화에 따라 지연공동체로서 일정 부분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was aimed at investigating changing styles of Seoul in the course of the rapid urbanization in the 20th century. It was approached by focusing on community. Thus,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were why people ate still oriented to the community and how the local community has been break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pace in Seoul. Also it focused on the remaining aspects of Dongjedang centered-community, response styles and roles of migrants against the native people and differentiation phenomenon toward the little community. About 200~300 houses were formed around the outskirts of the Han River and in Seoul in the early and mid of 20c. For this reason, a loose community focusing on livelihood and Dongjae was developed. However, Seoul has been affected by a variety of spatial variation such as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space division and war, natural disaster or redevelopment and has been transformed dramatically. Therefore, local community centered on livelihood and Dongjae was dissolved and reorganized into the little community in urbanization. Thus it will be diversified into preservation Society, ardent lovers of local area, a mutual aid society, society for the aged, social hobby, apartments organization, alumni, etc. Eventually,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Seoul were almost weakened and diversified into a variety of the little community based on the change of space, transmission patterns of Donagja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 KCI등재

        20세기 `풍물` 용어의 사회문화적 의미 변화 양상

        정형호(Jung Hyung-ho) 한국민속학회 2017 韓國民俗學 Vol.66 No.-

        이 글은 풍물이란 용어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사용되고, 20세기에 들어와서 어떤 사회적 의미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중심으로 규명했다. 풍물은 조선시대까지 궁중에서 주로 악기 및 음악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 초기에 와서 민족적 사회주의 노동운동가들이 풍물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곧 1923년 마산의 노동동우회 노동절 시가행진, 전남 함평의 노동친목회 야학경미 마련을 위한 시가 행렬이 친일세력과 충돌하면서 당시 일제 경찰이 동원되는 큰 사건으로 비화된다. 따라서 이들 집단은 불온한 집단으로 낙인찍히면서 억압과 감시를 받게 된다. 당시 사용된 풍물은 일제에 대한 저항적 민족주의 운동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한편 1923년 연말에 실린 잡지 『개벽』의기사도 사회주의자와 관련이 있다. 이런 이유로 풍물이란 용어는 이후 사용될 수 없었으며, 1920년대 중반부터 농악이란 용어가 일제의 교묘한 이중적 정책과 `브나르도운동`과 맞물려 일반화되었다. 1930년 후반에 강릉농악 관련 풍물 기사도 후에 월북한 이여성의 글이며, 이것 역시 민족적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이후 풍물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한 문화운동권에서 다시 사용하며 널리 퍼지게 되었다. 당시 민중문화운동가들은 기존의 농악 용어의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풍물에 새로운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여 문화운동권의 용어로서 다시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변혁성, 대동놀이성, 인간해방성, 종합예술성 등의 새로운 개념이 가미되었다. 현재 1920년대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풍물과 1970년대의 민중문화운동의 풍물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 관계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기존 농악이란 용어에 대한 거부감, 노동·농민운동의 측면, 사회 저항 및 변혁적 성격 등은 공통적이며, 양자의 관련 개연성도 있다고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풍물은 조선시대에 궁중의 악기 및 음악이란 의미에서 벗어나, 20세기에 들어와 문화운동집단에 의해 기존 농악이 갖는 한계를 벗어나서 사회문화운동, 사회변혁의 의미를 지닌 새로운 의미로 등장하게 되었다. This article first looked at how the term `pungmul` was used historically And we looked at how it`s social meaning has changed in the 20th century. Until the Joseon Dynasty, the `pungmul` was used mainly with the meaning of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Then, in the early 192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ational socialist labor activists had used the term. Soon after, in 1923, the socialist labor movement groups of Masan and Hampyeong collided with the pro-Japanese forces. This big event caused the japanese police mobilize at the time. Therefore, these groups were treated as inferior groups, and they were oppressed and watched. At that time, the sculpture contained the meaning of the resistance nationalist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nstead, the term “nongak” was genera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du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B-nardo movement”. Since then, the term `pungmul`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ultural movement right from the late 1970s. At that time, the people`s cultural activists rais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vocabulary terms and started to use it as the term of new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Therefore, the new term, such as social transformation, playability, human liberation, and comprehensive artistry, were added. At presen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rect connection between `Pungmul` of socialist labor movement in the 1920s and that of popular culture movement the 1970s. However, because they have common points such as the denial to the term of existing `Nongak`,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ovement and peasant movement, and the resistive nature of the Nongak, a deep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 of the two generation are considered. From this point of view, `Pungmul` was deviated from the meaning of musical instrument and music in the Joseon Dynasty, and in the 20th century, it was given a new social cultural movement and social transformation by the cultural movement group.

      • KCI등재

        장치기의 전승과 변모 양상

        정형호(Jung Hyung-Ho)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이 논문은 장치기놀이가 격구에서 출발하여 시대에 따라 놀이방식, 전승집단, 놀이공간, 기능 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규명한 글이다. 장치기는 지상에서 긴 나무막대를 이용해 나무 공을 쳐서 상대의 골문에 넣거나 결승선을 통과하는 편놀이로 현재의 필드하키와 유사하다. 이것은 마상격구가 지상화한 것으로 격구와 함께 오랜 역사를 지닌다. 조선 초기에 궁중에서 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타구(打毬)는 와아라는 구멍에 넣는 구멍투입형으로, 상층의 사교적 유흥문화의 성격을 지닌다. 한편 민간 어린이들이 거리에서 목표물을 타격한 과녁타격형은 풍자적 놀이로 전승되었다. 한편 조선 후기 초동들의 장치기는 구문통과형, 선통과형이 중심을 이루는데, 고려시대부터 전승된 마상격구 방식이 구문통과형이나 선통과형이란 점에서 조선 초기에도 이미 위의 4가지 방식은 존재했으리라 본다. 장치기는 조선 중기 이후 총포의 발달로 인해 마상격구가 쇠퇴하면서 민간화한다. 구체적 기록이 나타나지 않지만 구전에 의하면 19c 후반에는 일반에 널리 퍼졌다. 그리고 20c 초반까지 초동들의 겨울철의 신체접촉이 이루어지는 편놀이로 대중화되었다. 그런 점에서 장치기는 상층의 자제들이나 서당의 학동에게는 상민의 놀이라 하여 억제되기도 했다. 그런데 1930년대 초, 경기도 수원에서 농촌계몽운동을 주도한 젊은 지식인들이 민족의식의 고취, 농촌계몽운동, 겨울철 체력단련의 수단으로 장치기가 적극 권장되어, 수원에서 대규모 ‘전국얼레공대회’가 신문사 후원으로 개최되었다. 그런데 이를 주도한 계층이 지주 출신 젊은 지식인 계층이며, 특히 일본에 유학한 사회주의 운동가 박승극이 이끄는 수원청년동맹이란 점이다. 다른 성격이지만 대구에서도 장치기협회가 결성되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보급되었다. 한편 민간 초동 중심의 장치기는 일제시대까지 성행하다가 20c 중반에 급격히 약화되어가다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일부 재현되거나 하키협회에서 권장되기도 했다. 결국 장치기는 초기에 지상격구 형태로 무인들의 개인적 무예연마나 상층 남성의 여홍적 놀이 기능에서 출발했다. 이후 기층집단의 아이들의 타격방식의 놀이, 또는 초동들의 격렬한 신체접촉에 의한 집단적 승부놀이로 바뀌어갔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에는 농촌계몽운동의 차원에서 민족의식을 함양하는 놀이로 권장되기도 했다. 이런 점에서 장치기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놀이방식과 기능을 지니며 전승되어 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the Jangchigi play has been changed from Gyeokgu and how the playing way, transmission group, the play space and features have been transformed depending on age. This game is the form of game play which hits the ball on the ground using long wooden sticks and put it in the opponent's goal to pass the finish line. Even though it is similar to the current field hockey, it has a long history because the original horse Gyeokgu was transformed into this game. In the early Choseon dynamic, king-centered ball game of the upper has the character of social entertainment. Meanwhile, at the time of King Taijog, it also was handed down as a satirical play which children hit the target in the street. The ground Gyeokgu was been privatized when the horse Gyeokgu was declined in the middle of Choseon dynamic. Therefore, in the late 19c- in the early 20c, Woodman played apart from the side on their way of cutting trees and finally popularized but was destroyed in the mid. Especially, in the 1930s, this game was encouraged by the youth intellectuals in the form of increasing national consciousness. Park Seoungkuk, a socialist who leads Suwon Youth dub, opened the large "Ulegong Competition" with the help of news paper company. Eventually, Jangchigi play started in the type of initial ground Gyeokgu. Gradually it was changed into the group play. In the Colonial Rule and the rural enlightenment campaign, it was recommended as the play which increases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its function also has been changed.

      • KCI등재
      • KCI등재

        경산자인단오제의 정체성과 발전방향 자인팔광대의 복원과 연희적 특징에 따른 문제

        정형호 ( Hyung Ho Jung ) 한국공연문화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9

        Jainpalkwangdae(慈仁八廣大) of Kyungsan area in Kyungbuk province was restored through over 50 years gap. This play basically has the structure of conflict-reconcillation,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a masque and a tightrope walking. The characters of this play are a nobleman, Malttuki (a servant), a legal wife and a second wife. Their personality is deviant from a existing Korean masque. This weird and artificial appearance may be a problem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therwise, it might be a very different transmission type of masque.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why Jainpalkwangdae is different from a traditional mas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