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동요>에 나타난 민요적 성격

        정한기 ( Jeong Han-g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본고에서는 <서동요>와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동요>에 나타난 민요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동요>의 특징이다. <서동요>는 제삼자의 보고로 표현되고 병렬로 구성되며, 배경설화에서 <서동요>는 소문거리로 기능하고 <서동요>에는 발복(發福)에 대한 바람이 담겨 있다. 선화공주의 적극적인 행위를 통한 결연이 소문거리와 발복의 바람과 관련된다. 둘째, <서동요>에 나타난 민요적 성격이다. 처녀의 적극적 행위가 있는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에는 총각이 처녀의 행위에 대하여 주관적인 감정을 토로한 토로형, 제삼자가 처녀의 행위를 보고한 다음 주관적인 평가를 토로한 보고토로형, 제삼자가 처녀의 행위를 보고한 보고형 등이 있다. 토로형은 화자의 구애가 중심이고, 보고형은 소문거리란 의미와 발복이란 의미가 복합되어 있다. <서동요>의 특징에 맞는 민요는 보고형 민요이다. <서동요>는 교환창의 병렬이란 형식을 지닌 보고형 민요가 서동설화에 수용되어 주인물이 하나로 통일되는 변개의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결국 <서동요>의 바탕이 된 민요는 교환창의 병렬이란 형식을 지닌 보고형 민요이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ng at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 Seodongyo >. The result as follow. The characteristic in < Seodongyo > : There are the narrator's description and the parallel in < Seodongyo > while I investigates the lyrics. There are the material of rumor and the people's wish to gain the luck in < Seodongyo > while I investigates the background story. The virgin active behavior in marriage cause the material of rumor and the people's wish.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 Seodongyo > : In yeongnam's < rice-planting song >, there is the folk song that the virgin actively get married to bachelor. This folk song is three kind. The three kind is the narrator's monologue, the narrator's description and monologue, the narrator's description. The narrator's description meets the requirements in < Seodongyo >.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 Seodongyo > is narrator's description.

      • KCI등재

        〈봉산탈춤〉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구

        정한기(Jeong Han-gi),김미라(Kim Mi-la)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본고의 목적은 〈봉산탈춤〉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문학에 수록된 〈봉산탈춤〉이 공연을 전제로 한 독서물이란 점에 주목하여 주인물의 행적(行蹟)을 중심으로 〈봉산탈춤〉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첫째, 〈봉산탈춤〉의 특징이다. 노장춤의 주인물인 노장은 기존 관념(숭고)과 비속한 삶에 대한 욕구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비속한 삶을 선택한다. 내적갈등에서 비극이 유발된다. 이 비극으로 기존 관념(숭고)이 비판·전도된다. 이후 기존 관념(숭고)에 대한 긍정으로 귀결된다. 노장의 행적은 ‘기존 관념에 대한 비판·전도→긍정’으로 전개된다. 양반춤의 주인물인 말뚝이는 양반을 비속화한다. 이후 말뚝이와 양반은 춤을 추며 화합한다. 말뚝이의 행적은 ‘기존 규범(신분제)에 대한 비판·전도→화합’으로 전개된다. 미얄춤의 주인물인 미얄은 영감의 횡포에 의하여 억울하고 비참한 삶을 살아 비극이 유발된다. 비참한 삶에 대한 탄식은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심리적 거리가 유지된다. 미얄의 행적은 ‘기존 규범(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전도+거리두기’이다. 둘째, 〈봉산탈춤〉의 교육적 의미이다. 희비극을 통하여 학습자의 정서 순화가 이루어진다. 희극적인 대목에서 주인물에 대립적이고 기존 관념·규범을 대표하는 인물들이 비속화되어 해학이 유발된다. 해학으로 기존의 관념·규범을 벗어난 기쁨이 표출된다. 학습자가 주인물의 행적을 좇으면 기존 관념·규범에서 벗어난 기쁨, 일상에서 해방되는 기쁨을 간접 경험하게 되어 정서가 순화될 수 있다. 비극적인 대목에서 주인물은 기존 관념·규범에 의해 억압되는 삶을 살다가 극복을 시도하여 비극이 유발된다. 학습자가 주인물의 행적을 좇으면 연민을 조정하여 정서를 순화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학습자가 〈봉산탈춤〉에 나타난 주인물의 행적을 좇으면 기존 관념·규범에 대한 비판·전도에 몰입하기와 거리두기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학습자는 거리두기로 대상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봉산탈춤〉은 공연을 전제로 한 독서물로써 학습자들에게 정서를 순화할 수 있는 능력, 대상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품이란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meaning in 〈Bongsantalchum〉 The result is as follow. The feature of 〈Bongsantalchum〉 : The Nojang(old monk) is the protagonist in the fourth section Nojangchum. The Nojang(old monk)’s events is that the existing idea is criticized but the existing idea is acknowledged the in the end. The Malttugi(humorous servant) is the protagonist in the sixth section Yangbanchum. The Malttugi(humorous servant)’s events is that the existing standard is criticized but the Malttugi(humorous servant) and the existing standard are harmonized in the end. The Miyal(ugly old wife) is the protagonist in the seventh section Miyalchum. The Miyal(ugly old wife)’s events is that the existing standard is criticized in the content but the appreciator keep his physical distance from the criticism in the expression. Finally, the feature of 〈Bongsantalchum〉 is that the criticism and keeping physical distance from the criticism co-exist in the protagonist’s event. The educational meaning in 〈Bongsantalchum〉 : The studentreader purify his emotion through the comic scene and the tragic scene. In the comic scene, the antagonists of representing the existing idea and standard is degraded. The humor is caused through being degraded. The enjoyment of become free from the existing idea and standard is caused through the humor. The studentreader purify his emotion through the comic scene. In the tragic scene, the protagonists are oppressed by the existing idea and standard. In sequence, the protagonists try to overcome the oppression. The tragedy is caused through the oppression. The studentreader is able to adjust the sympathy and so purify his emotion through the tragic scene. The criticism and keeping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criticism co-exist in the protagonist’s event. The studentreader is able to contemplate the object through the psychological distance

      • KCI등재

        가사(歌辭) <기음노래>에 나타난 민요취향(民謠趣向)의 의미 -김매기를 소재로 한 한시(漢詩)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한기 ( Jeong Han-g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고전문학과 교육 Vol.20 No.-

        본고는 李喆輔(1691~1770)가 쓴 歌辭 <기음노래>에 나타난 民謠趣向의 의미를 김매기를 소재로 한 한시의 통시적 양상 속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매기를 소재로 한 한시의 통시적 양상이다. 김매기를 소재로 한 한시에는 田家에 대한 지향이 표출된 작품과 他者에 대한 태도가 표출된 작품이 있다. 전가에 대한 지향이 표출된 작품은 농부의 苦에서 樂으로 전개되며, 농부의 苦樂은 理念的인 전가의 모습이다. 18세기 이후 작품 전편은 이념적인 전가가 계승되지만, 그 속에 농부의 내면이 드러나기도 한다. 농부의 내면에는 농사현장에 대한 苦를 표출한 것과, 청자와의 일체감으로 樂을 표출한 것이 있다. 타자에 대한 태도가 표출된 작품에는 농부의 유교적 이념에 입각한 對立的인 태도가 드러난다. 17세기 이후 유교적 이념에 입각한 태도가 계승되지만, 그 속에 농부의 對比的인 태도가 드러나기도 한다. 둘째, <기음노래>에 나타난 민요취향의 의미이다. <기음노래>에 나타난 민요취향은 18세기 이후 김매기를 소재로 한 한시에 나타난 농부의 내면과 농부의 타자에 대한 대비적인 태도가 모두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농부의 내면이 집중화되고, 농부의 대비적 태도는 농사현장에서 유발된 것이며 농부의 말로 표출된 것이다. 이것이 <기음노래>의 특징이다. 내면의 집중화는 농부의 苦樂이 농사현장에서 유발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농부의 타자에 대한 대비적 태도는 농부의 타자에 대한 인식이 유교이념에서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ng at the mean of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Gasa Gieunore. The result as follow. The historical aspect of Chinese poetry with the matters of weeding : There are the work that the writer expresses the aim for farmhouse and the work that the farmer expresses the attitude toward the other. In the work that the writer expresses the aim for farmhouse, the writer expresses ideological farmhouse. In eighteenth century, this aspect is changed. The farmer expresses inner agony being aroused by farming reality and inner pleasure being aroused by sense of unity with the hearer. In the work that the farmer expresses the attitude toward the other, the farmer expresses the op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In seventeenth century, this aspect is changed. the farmer expresses the contradistinct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Only this attitude is aroused by the ruling class. The mean of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Gasa Gieunore : The farmer's inner side is concentrated with the farmer's various inner side in Chinese poetry with the matters of weeding. The farmer expresses the contradistinct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Only this attitude is aroused by farming reality. The concentrating the farmer's various inner side means that the farmer's agony and pleasure is aroused by farming reality. The farmer's contradistinct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means that the farmer's attitude toward the other is free from ideology.

      • KCI등재

        영남 지역 <시집살이노래>에 나타난 비애

        정한기(Jeong Han gi)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본고의 목적은 영남 지역 에 나타난 비애의 형성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첫째, 접근 방법이다. 비애는 고난에 대한 해결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질 때 생긴다. 에서 고난은 시집식구에 의하여 생긴 것과 시집생활에서 생긴 것이 있다. 화자는 고난에 대하여 탄식하기도 하고 해결하려하기도 한다. 해결하려 할 때 화자는 일정한 태도를 취한다. 그 태도에는 시도와 기대가 있다. 둘째, 에 나타난 비애이다. 에는 고난만 있는 각편과 고난에서 해결의 시도로의 전개가 있는 각편이 있다. 에서 고난만 있는 각편에서 시집식구에 의하여 고난이 생길 경우 화자는 시집식구의 우호적인 반응을 기대할 만한 언행을 하지만 시집식구들은 정반대로 반응한다. 고난 속에 '기대→좌절'로의 전개가 있고, 이 '기대→좌절'로의 전개가 비애를 형성하는 요인이 된다. 고난만 있는 각편에서 시집생활에 의하여 고난이 생길 경우 화자는 시집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있으며 이 불안감이 비애를 형성하는 요인이 된다. 고난에서 해결의 시도로의 전개가 있는 각편에서 해결의 시도는 중이 되는 것․자살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자살하는 것․중이 되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해결의 시도이지만 실제로는 현실에서는 비정상적인 해결밖에 없다는 좌절을 나타낸다. 시도와 좌절이 복합되어 있으며 이 '시도와 좌절의 복합'이 비애를 형성하는 요인이다. 결국 영남 지역 에서 비애는 시집생활에 대한 화자의 불안감, '기대→좌절'로의 전개, '시도와 좌절의 복합' 등으로 형성된다. '기대→좌절'로의 전개는 화자의 언행이 시집식구의 호의적인 반응을 기대할 만함에도 시집식구들이 정반대로 반응하는 것이다. 화자가 아무 잘못이 없음에도 구박을 받는 것과 같다. 억울함과 관련된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Characteristic of sadness at in Yeongnam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ethod of study : The sadness is produced by getting solved the conflict. The conflict in is produced by the outside or the inside. When conflict in is produced by the outside, the speaker has the steady attitude during solving the conflict. The sadness is produced by the speaker's attitude or the speaker's psychology. The sadness in : In the work with the conflict being produced by the outside, the sadness is produced by the speaker's expectation being concluded the frustration. In the work with the conflict being produced by the inside, the sadness is produced by the speaker's anxiety. In the work with the speaker's try being concluded the frustration, the speaker's try reveal the frustration and the speaker's try performs the role of emphasizing the sadness. After all, the sadness in is produced by the speaker's expectation being concluded the frustration.

      • KCI등재

        특집 : 세계문학의 패러다임과 한국고전시가의 보편적 가치 ; 영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愛情의 양상과 배경

        정한기 ( Han Gi Jeong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0 No.-

        본고는 영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배경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첫째, 애정의 양상이다. 영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에는 ``화자와 다른 님과의 애정``, ``화자와 결합한 님과의 애정``, ``화자와 이별한 님과의 애정``이 있다. 화자와 다른 님과의 애정은 노동의 피로를 이완하는 놀이기능을 한다. 노랫말이 분포된 정도로 보아 영남 지역 <논매는소리>는 놀이기능이 미약하고, 호남 지역 <논매는소리>는 놀이기능이 강하다. 이러한 놀이기능의 强弱은 화자의 성격과 관련된다. 화자와 결합한 님과의 애정·이별한 님과의 애정에서 영남 지역 <논매는소리>에서는 여성의 님에 대한 의존적인 태도가 드러나고, 노랫말이 전개적으로 구성되어 감정이 구체화된다. 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서는 여성의 주체적인 태도가 드러나 해학이 유발되고, 화자가 불특정인으로 님에 대한 태도가 모호하여 異性과의 만남에 대한 욕구란 화제만 드러나기도 한다. 결국 영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은 노랫말에 표출기능이 강하게 드러나고 화자가 의존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고, 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은 노랫말에 놀이기능이 강하게 드러나고 화자가 주체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둘째, 애정의 양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이다.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에서 놀이기능과 화자의 주체적인 태도가 드러난 노랫말은 ``다른 님과의 애정``에만 있고, 표출기능과 화자의 의존적인 태도가 드러난 노랫말은 ``결합한 님과의 애정``·``이별한 님과의 애정``에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영남 지역 <논매는소리>에서는 표출기능이 강하기 때문에 ``다른 님과의 애정``이란 화제가 빈약하고 의존적인 태도가 일관되게 드러나고, 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서는 놀이기능이 강하기 때문에 ``결합한 님과의 애정``·``이별한 님과의 애정``에도 놀이기능과 주체적인 태도가 드러남을 알 수 있다. 결국 영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은 영남 지역 창자들이 <논매는 소리>를 표출기능의 노래라고 인식하고 호남 지역 창자들은 <논매는소리>를 놀이기능의 노래로 인식하는 장르 인식이 배경이 된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aspect and background of 1ove in Yeongnam and Honam`s < Nonmaenensori>.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spect of 1ove in < Nonmaenensori> : The function in Yeongnam`s < Nonmaenensori> is the expression, the function in Honam`s <Nonmaenensori> is the entertainment. The two functions are related with speaker`s attitude. The woman speaker has a dependent attitude toward her lover in Yeongnam`s < Nonmaenensori> but the woman has a independent attitude toward her lover and the speaker is unspecified persons in Honam`s < Nonmaenensori>. The background of 1ove in < Nonmaenensori> : The background of 1ove in Yeongnam`s < Nonmaenensori> is that the singer in Yeongnam regard the < Nonmaenensori> as the means of expression. The background of 1ove in Honam`s < Nonmaenensori> is that the singer in Honam regard the < Nonmaenensori> as the means of entertainment.

      • KCI등재후보

        이경(李㯳)의 <번훈민가십팔장(飜訓民歌十八章)>에 나타난 <훈민가> 한역의 배경과 그 양상

        정한기 ( Jeong Han-g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1 No.-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background and the aspect of < Hunminga >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in < Beon- Hunminga-Sibpaljang > written by I Gyeong. The result as follow. The Background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 The Background is author's attempt to reveal his capacity of literature. I Gyeong acts literature activity by organizing poetry gathering that take the place of the state examination in order to maintain social position. And so he tries to reveal his capacity of literature though translating < Hunminga > into classical chinese. The Aspect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 The first Aspect is objectification that the speaker's shape is eliminated. The second Aspect is that the paragraph of supplementing mean is added in the text. The third Aspect is that author's emotion and interpretation intervene in text. The first Aspect and second Aspect is not a characteristic of < Beon-Hunminga-Sibpaljang > written by I Gyeong. The author's emotion and interpretation intervening in text is caused by the intention of author's revealing his capacity of literature.

      • KCI등재

        시적 화자에 대한 교육의 양상과 과제

        정한기(Jeong Han-gi),김용재(Kim Yong-jae)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본고의 목적은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이다.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을 정리하기 위한 기준은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인 시적 화자의 ‘관점’이다. 시적 화자의 관점이란 대상․상황을 바라보는 태도, 대상·상황에 대해 생각하는 태도 등으로 시적 화자의 정서와 관련된다. 시적 화자의 정서란 상황에 반응하는 시적 화자의 태도이다. 학습독자는 시 작품을 읽고 시적 화자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이해에는 거리두기를 통한 이해와 공감하기를 통한 이해가 있다. 둘째,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과 과제이다. 시적 화자 교육의 양상이다. 첫째, 학습독자가 시적 화자의 경험을 파악하고 자신의 경험을 떠올린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이루어진다. 둘째, 학습독자가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한다.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에서 이루어진다. 중학교에서는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상징적 표현의 효과를 알고,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시적 화자의 효과를 안다. 셋째, 학습독자가 시적화자의 심미적 체험을 이해하고, 심미적 체험을 확충한다. 시적 화자의 관점과 관련된 용어로 초등학교에서는 인물의 생각, 추구하는 가치(삶) 등이 있고, 중학교에서는 추구하는(바라는) 삶, 말하고자 하는 바(전달하고자 하는 바), 시적 화자의 태도 등이 있다. 시적 화자 교육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연계성을 위한 과제이다. 첫째, 시적 화자의 관점에 대한 용어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학습활동에서는 시적 화자의 생각·감정을 표출하는 면을 찾는다는 점이 공통되고, 인용된 시에 상황이 있고 시적 화자의 태도가 있다는 점이 공통된다. 시적 화자의 생각·감정의 표출은 주제와 관련되고, 시에서 주제는 정서와 관련된다. 정서는 상황에 반응하는 태도이다. 시적 화자의 태도란 용어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시적 화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관점은 상황에 반응하는 태도이므로 단계는 ‘상황 파악하기 → 태도 파악하기’이다. 셋째, 학습독자의 반응에 대한 일관성이 필요하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연결되어야 하며, 학습독자는 자신을 시적 화자와 비교하여 시적 화자를 평가한다. 초등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는 시적 화자를 평가하는 것이 없고, 중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는 학습독자가 자신을 시적 화자와 비교하여 시적 화자를 평가하는 활동이 있다. 일관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spect and task of poetic speaker education. The result is as follow. The understanding about poetic speaker : The standard for arranging the aspect of poetic speaker education is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curriculum is the viewpoint of poetic speaker. The viewpoint of poetic speaker is the attitude that poetic speaker react to the state of affairs. The studentreaders interpret the poetic speaker and estimate the poetic speaker The aspect and task of poetic speaker education : The aspect of poetic speaker education is as follow.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experience and recall own’s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and know the effect of symbolic expression,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and reflect on oneself,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viewpoint and know the effect of the poetic speaker in the middle school. The studentreaders identify the poetic speaker’s esthetic experience and expand own’s esthetic experience in the middle school. The task of poetic speaker education is as follow. The consistency of poetic speaker’s viewpoint is necessary. The step of identifying poetic speaker’s viewpoint is necessary. The consistency of studentreaders’s interpreting and estimating the poetic speaker is necessary.

      • KCI등재

        朴昌元의 <關東別曲> 한역시에 나타난 한역의 배경과 그 양상

        정한기(Jeong Han-Gi) 한국문학회 2005 韓國文學論叢 Vol.40 No.-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background and the aspect of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in the Poetry of translating Gwandong-byeolgok into a classical chinese by Bak Chang-Won. The result as follow. The Background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 The Background is author's attempt to reveal his capacity of scholarship and literature. Bak Chang-Won's social position is the middle class. And so he tries to reveal his capacity in order to cope with his social position though translating Gwandong-byeolgok into classical chinese. The Aspect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 The first Aspect is that the speaker's emotion at the scenery is weakened and the dynamic features of the scenery is changed into passive features. The second Aspect is that the predicate in connection with the speak's deed and emotion, the predicate in connection with the state of an object, the adverb in connection with the style are added. In result, the poetry of translating into classical chinese maintains the primarily meaning in the original tex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