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 및 방안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정철영,김진모,임정훈,이영광,김선근,조은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2

        This study aims to deriv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needs for them. This study follows steps of sequential exploratory mixed method presented by Creswell(2014). FGI on specialists of agricultural R&D and of HRD, interviews with managers of agricultural R&D organizations(universities, public institutions, and industries), and survey of personnel of those agricultural R&D organizations were conducted. Result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in three main categories: directions, strategies, and perception-needs. First, four directions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were derived: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to increase agricultural R&D competitiveness, providing a non-boundary learn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public value and industrial needs of agricultural R&D, and supporting customized career development for each agricultural R&D employees. Second, nine strategies to develop agricultural R&D employees were drawn up, including rais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ative convergence to increase agricultural R&D competitiveness, establishing a creative convergence R&D performance environment, and seven others. Third, about perception-needs, agricultural R&D personnel high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agricultural R&D workforce development, while its sufficiency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while agricultural R&D personnel of public institutions had a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needs, R&D personnel of industries had a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the needs. Finally,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 및 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reswell(2014)이 제시한 혼합연구 방법 중 순차적 탐구 혼합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농업 R&D 및 인력개발 전문가 FGI, 농업 R&D 실행 주체(대학, 공공기관 및 산업체)별 관리자 인터뷰, 농업 R&D 실행 주체별 재직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향으로서 농업 R&D 경쟁력 함양을 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농업 R&D 무경계 학습환경 제공, 농업 R&D의 공익적 가치와 산업적 요구 반영, 농업 R&D 인력 대상별 맞춤형 경력개발 지원의 4개 방향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안으로서 농업 R&D 경쟁력 함양을 위한 창의융합의 필요성 인식 제고, 창의융합형 농업 R&D 수행 환경 구축 등 9개 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농업 R&D 인력은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 반면, 충분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기관의 농업 R&D 인력은 상대적으로 미래 농업 R&D 인력개발 방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지만 산업체 농업 R&D 인력은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지원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정철영,방재현,임정훈,이영광,이승엽,김동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n supporting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To achieve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0 people in charge of supporting veterans in 5 veterans support centers as suppliers, and 6 veterans as consumers. interviews for suppliers were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from July 23 to September 17, 2021, and interviews for consumers were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terviews from November 2 to 4, 2021.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ir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interview results for suppliers and interviews for consumers,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argued that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active service period and expanded.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jobs specializing in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expand life stability support for mid-to long-term service veterans, foster social awareness of support for veterans, and expand and reorganize online platforms. Based on these research conclus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지원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급자로서 5개의 제대군인지원센터, 3개의 보훈관서 내 제대군인 지원 업무 담 당자 총 10명과 수요자로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면담을 실시 하였다. 공급자 대상 면담은 2021년 7월 23일부터 9월 17일까지 대면 면담으로 진행되었고 수요자 대상 면담은 2021년 11월 2일부터 4일까지 대면 및 비대면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나선형 자료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공급자 대상 면담 결과와 수요자 대상 면담 결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창업 지원이 현역 복무 기간부터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고 창업지원을 확대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특화 일자리 확대, 중·장기복무 제 대군인 대상 생활안정지원 확대, 제대군인 지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 제대군인 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확대 개편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로교육 성과평가 관련 선행연구 실태분석

        정철영,이유우,김태환,최로미,이승엽,박신희,박선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진로교육의 성과를 평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교육 성과평가 연구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종합계획이 발표된 지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진로교육 활동의 성과를 평가한 국내⋅외 선행연구 98편을 선별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틀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제목으로 국내 연구는 ‘효과’ 및 ‘영향’이란 용어를 중심으로 진로교육 성과를 표현하였지만, 국외 연구는 ‘효과(effect)’와 ‘영향(impact)’ 이외에 ‘개발(development)’, ‘향상(improve)’, ‘결과(outcome)’ 등의 다양한 용어를 활용하여 진로교육 성과를 표현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으로 국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국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연구 모두 실험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조사연구의 비율도 44.6%로 실험연구의 비율과 비슷하였다. 넷째, 국내․외 연구가 활용한 진로교육 활동 변인을 분석한 결과, 진로수업, 진로체험, 진로상담, 진로심리검사, 진로정보제공, 취업지원의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국내⋅외 연구가 활용한 진로교육 성과 변인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연구는 진로성숙도의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국외 연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진로교육 성과 변인의 빈도를 성과 수준 및 평가 시점에 따라 구분한 결과, 국내 연구는 개인 수준의 성과 변인만을 활용한 반면, 국외 연구는 지역 및 국가 수준의 변인을 6회 활용하였다는 차이점이 있었으며, 국내⋅외 연구 모두 즉각적 평가 시점의 변인을 주로 활용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일곱째, 진로교육 성과 변인을 분석결과에 따라 구분한 결과, 국내․외 연구 대부분 성과 변인의 수준이 향상되었으나 몇몇의 선행연구에서는 성과 변인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연구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격유형별 교수-학습스타일

        정철영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3 한국교육논총 Vol.34 No.1

        A Study on Teaching-Learning Styles by Personality Type Jeong, Cheol Young(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 person's original Selbst shall be respected while diversity among human beings is to be mutually understood and cared about. This is because such efforts are the core of education and faith of learners. Sites of education where no recognition of this takes place will be filled with discrimination, competition, comparison, and exclusion. Ensuring efficient education and learning on the sites of education or learning shall take place prior to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among educators and learners. As MBTI as an objective indictor often applied for recognition of difference is taught, the dynamics and major functions of types of psychology as the core can be understood and provided, enabling more in-depth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motivation to learn. As teachers understand personality and psychology, they can communicate with learners more efficiently and increase qualitative levels of teaching and learning as a result of open communication. Also, more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s become available, leading to personality-centered education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Personality type theories can help learners to have their preferences and inclinations recognized and promot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Furthermore, they can practice life based on care and sharing. Selbst establishes one's own identity further from self through these theories and forms more solid indicators of life. This will help learners develop dreams and visions while cultivating self leadership which leads them to spontaneously and independently develop and tend their life. This will continuously give the strength for self-initiated learning. This paper describes efficien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nsider types of personality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on the very sites where teaching and learning take place. 한 개인의 본래의 자기(Selbst)1)는 존중되어야 하고, 인간의 다양함은 상호간에 이해되고 배려 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교육이고 학습하는 자의 신념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인정되지 않는 곳은 차별과 경쟁, 비교와 소외가 가득할 것이다. 교육이 진행되는 현장이나 학습의 장소에서 효 율적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지려면 교육자와 학습자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다름을 인정하는 방법 중 객관적 지표로 사용되는 성격유형의 MBTI를 알고 핵심 내용인 심리 유형의 역동과 주기능을 이해함으로써 가르치고 배우려는 학습동기에 대한 개별적 차이를 보다 심층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교사는 성격심리를 이해함으로 학습자와 효율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되고, 열린 소통의 결실 로 교수-학습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관계지향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여 교사와 제사, 교육자와 학습자 상호간의 인성 중심교육을 추구할 수 있다. 학습자는 성경유형이론을 통해 자신의 선호경향을 인정받고 자기이해와 더불어 타인이해를 추 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할 수 있다. 성격유형 이론을 통한 자아를 넘어선 자기 는 정체성을 확립시켜주고, 보다 확고한 삶의 지표를 형성하게 되어 꿈과 비전이 있는 존재자가 되며, 나아가 스스로 자신의 삶을 인도하고 성장해 나가는 성격유형 셀프리더십을 형성하여 자기 가 주도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힘을 자아에게 끊임없이 제공해준다. 본 글에서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교육자와 학습자 상호간의 성격유형과 학습동 기의 심리적 차이점을 고려한 효율적인 교수와 학습방법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예술 자아와 창의성 관계 연구

        정철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인성과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형식에 의존하 는 생활양식 보다는 새롭고 다양한 창조적 활동에 의존하는 방식이 미래사회의 흐름에 적합하다는 선호 심리가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을 주도하는 하나의 양식으로써 예술관련 분야에서는 인성과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대에서 창의성과 창조적 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개인적인 활동과 다양한 문화예술 의 활동에서 드러나는 조형물들에서 예술성과 재능성은 독창적인 창의성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심리 유형과 창의성에 대한 이해로 예술 활동 주체자의 자아 정체성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하여 탐구할 수 있 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유형의 역동성, 감각과 직관의 심리적 주기능을 중심으로 유 형별 창의적 활동의 관련성을 다루어 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AI시대에서 인간의 창조적 활동의 유형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기능수행의 기계에 비하여 인간의 독창적이면서 가치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인간의 문화 예술 활동세계에서 창의적 활동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예술적 활동과 창의성에 대한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드러난 것은 인간의 성격적 요소에서 창의적 활동의 가능성으 로서 직관이 해당되며, 성격유형의 심리구도에서 주기능의 직관은 외향과 내향으로 창의적 활동과 관련 된다. 또한 창조적 활동의 동기는 주기능, 부기능, 생활태도의 외향성과 내향성의 조화로운 구조로 교류 한다. 예술 자아의 창조적 활동은 주로 직관유형이 대체로 많고, 직관을 주기능으로 소유하고 있는 성향 의 유형들의 특성 다루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예술 자아의 인지와 창의성의 관계에 대하여 C. G. Jung 의 분석심리와 H. Gardner의 지능심리의 이론에 기반하고 문헌간의 비교분석의 기법을 사용한다. 분석 심리의 유형역동 개념과 성격유형 이론의 감각과 직관의 주기능의 선행 연구들을 재구조화하여 예술과 창조적 활동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중지능의 공간지능과 자연지능을 중심으로 창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impression and creativity is relatively increasing.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eference that a new and diverse way of relying on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a lifestyle that relies on existing forms is suitable for the flow of future society. As a style that leads culture and art, in the art-related field, creativity and creative activities are sensitive to creativity and creative activities in an era when personality and creativity are emphasized. This is because artistry and talent are understood as original creativity in sculptures revealed in personal activities and activities of various cultures and arts. Understanding the type of psychology and creativity requires the ne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fication and creativity of the subject of art activities. In this work, we are working on the relevance of creative activities by type, focusing on the dynamics of psychological types and the psychological periodic functions of senses and intuition. The discussion of the types and possibilities of human creative activities in the AI era is both human ingenuity and valuable compared to the machines of functional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relevance of artistic activities and creativity was studi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reative activities in the world of huma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What is revealed through research is intuition as a possibility of creative activities in human character elements, and intuition in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personality types is related to creative activities in outward and inward directions. In addition, the motivation for creative activities is to exchange with a harmonious structure of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of the main function, sub-function, and lifestyle.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art self mainl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intuitions, which are largely intuitive and possessive of intuition as a main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