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순신 정론Ⅳ : 거북선 구조, 철갑문제

        정진술(Jeong Jin Soo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7

        거북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아직도 학자들 간에 그 의견이 일치되지 않는 몇가지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로 여러가지 이견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접근하기 위하여 이해의 출발점으로 거북선의 인원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16세기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은 이순신과 나대용의 장계에 의해서 125~130명으로 알려졌다. 임란 당시 거북선의 승조원 직무는 명확히 나와 있지 않지만 이순신의 장계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승조원의 직무에는 사부(射夫), 격군(格軍), 방포장(放炮匠)이 있었으며, 이들 세 직무는 임란기 거북선의 구조 해석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17세기에는 조총의 도입에 따라 포수 직무가 추가되고, 18세기에 이르면 거북선 승조원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정원은 148명으로 책정되었다. 또한 임란 때의 방포장 명칭이 화포장으로, 격군의 명칭이 노군으로 변화되었다. 이들 네 직무 즉 사부, 화포장(방포장), 포수, 노군(격군)은 조선 후기 거북선의 구조 해석에 중요한 고려 요소이다. 거북선의 승조원 명칭에 나타나는 무상(舞上, 無上)이 지금까지 범주(帆柱)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 등으로 다양하게 주장되어 왔으나, 필자는 통영에서 발견된 조선 후기 수군문서와 임수간(任守幹)의 『동사일기(東槎日記)』 에 나타나는 통신사선의 선원 명칭을 분석하여 ‘무상’의 우리말 뜻이 ‘물래를 작동하는 선원’의 명칭이며, 조선시대의 군선에서는 대개 닻만을 다루는 정수(碇手)와는 별도로 선수에서 닻물래를 다루는 선원을 일컬었음을 밝혔다. 두 번째로 임란기 거북선의 포 설치 위치가 2층인가 3층인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거북선이 2층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보는 이들은 2층에, 3층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보는 이들은 3층에 포가 설치되었다고 보는데, 어느 주장이 올바른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이것을 밝히기 위하여 임진년 해전에서 거북선의 사상자 통계를 조사하였는데, 격군의 사상자가 23명인데 반하여 사부는 부상자 1명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명백히 방패로 보호된 2층에서 활동하는 거북선의 격군들이 적의 탄환 및 화살에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은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격군들의 이러한 피해는 그 원인이 방패에 뚫린 포 구멍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임란기 거북선은 격군의 노질 공간과 화포의 발사 공간이 동일한 2층에 위치하였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사부와 격군의 피해 정도가 현저하게 다른 것으로 보아 그들의 활동 공간도 서로 달랐으며, 2층에 위치한 격군과는 달리 사부는 3층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1795년에 발행된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의 포 구멍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하겠다. 참고로 조선 후기의 판옥선 즉 『각선도본(各船圖本)』 의 전선도에는 2층 방패에 포혈이 나타나 있지 않다. 판옥선의 방패에 포혈의 유무는 화포의 발사 위치가 2층인가 3층인가 하는 의문을 일으킨다. 그런데 1633년에 경기 수사 최진립이 작성한 해유문서와 1778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풍천유향(風泉遺響)』 에는 포판과 상포판에서 모두 대포를 발사하였다고 했다. 또한 조선 후기에 그려진 수군조련도에도 판옥선의 2층 방패에 포혈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판옥선의 포혈이 2층 방패와 3층 여장에 설치되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임란이 끝난 후 조총의 사용이 보편화되므로서 판옥선에는 포를 다루는 화포장 외에 조총을 다루는 포수가 새롭게 편성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판옥선의 2층 포혈은 화포를, 3층 포혈은 조총을 발사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었을가 추정된다. 세 번째는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거북선 그림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관해서이다. 오늘날 거북선에 관한 논란은 상당 부분이 그 그림에 대한 해석이 잘못된데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 거북선 그림들에는 2층 방패와 3층 개판에 포혈이 각각 배열되어 있으므로 그것은 3층 구조가 확실하다. 그런데 귀선도설의 거북선이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2층은 물론이거니와 3층도 전통(全通) 갑판이라면, 2층의 높이가 4. 3자(약 129cm)라는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의 기록은 이해될 수 없다. 동양식 노는 노군들이 서서 노질을 해야 하며, 조선 말기에 남자들의 평균 신장 실측치 163.8cm를 고려해 볼 때, 4. 3자 높이에서는 노군들이 자유롭게 노질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어려움 때문에 필자는 귀선도설 거북선의 3층 갑판이 전통 갑판으로 되어 있지 않고 노군들이 노질을 하는 머리 위 부분은 갑판이 비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네 번째는 거북선의 철갑 유무에 관한 문제이다. 거북선이 철갑선이었다고 주장하는 편의 주요 근거는 안골포 해전을 기록한 일본측 문헌인 『고려선전기(高麗船戰記)』 에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urtle Ship, I have reviewed several issues about it, which were controversial among historians and researchers. First of all, I took the personnel system of the Turtle ship as the starting point. It is known that there were 125 to 130 crew members of the Turtle Ship in those days of the Im-jin-wae-ran (壬辰倭亂) which was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upon Korea during 1592-1598. It was not clearly mentioned about the duties of all the crew positions of the Turtle Ship, bu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report written by Admiral Yi Sun Sin, there were three main positions which are important to understand its structure at the time. They are arrow-shooters who were called ‘Sa-bu(射夫)’, rowers who were called ‘Gyeok-gun(格軍)’ and gunners who were called ‘Bang-po-jang(放炮匠)’. In the 17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matchlocks created new shooters who were called ‘Po-su(砲手)’to the Turtle Ship, so the total number of crew members reached 148 in the 18th century. Therefore these four positions, ‘Sa-bu’, ‘Gyeok-gun’, ‘Bang-po-jang’ and ‘Po-su’, are important in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diverse opinions regarding the job ‘Mu-sang(舞上 or 無上)’, mentioned in the personnel system, including a claim that it could mean the one working on the ship mast, but I found that it was named for the crew running a spinning wheel by collating and analyzing the naval documents written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Mu-sang’ was the crew that played a spinning wheel to weigh or drop anchor on the bow, unlike the job ‘Jeong-su(碇手)’, generally handling only the anchor in the battleship at the time. Secondly, I looked into the location of the cannons in the Turtle Ship used during the Im-jin-wae-ran. Some historians insisted that the Turtle Ship had been built two stories and fired its cannons placed on the second floor but others believing three-story Turtle Ship claimed that cannons had been installed on the third floor. Checking into the statistics of casualties of the Turtle Ship during the Im-jin-wae-ran in order to clar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cannons, it is found that while twenty-three ‘Gyeok-guns’ were killed and wounded, the total casualty of ‘Sa-bu’ was only one. It definitely shows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Gyeok-guns’ were damaged from gunshots and arrows even though they stayed on the second floor which were covered with the board wall. It is assumed that the damage was caused by the cannon crenels on the board wall. Therefore, both where ‘Gyeok-gun’ rowed out and cannons went off are considered to be located on the second floor of the Turtle Ship. From the noticeable difference on the extent of the damage between ‘Sa-bu’ and ‘Gyeok-gun’, it is presumed that the working spaces for ‘Sa-bu’ and ‘Gyeok-gun’ are different: the third floor for ‘Sa-bu’ and the second floor for ‘Gyeok-gun’. It also means that the locations of the cannon crenels of the Turtle Ship during the Im-jin-wae-ran are identical according to the Gui-seon-do-seol(龜船圖說) of the Yi-chung-mu-gong-jeon-seo (李忠武公全書) written in 1795, which included pictures of both the Tong-je-yeong Turtle Ship(統制營龜船) and the Jeolla-jwa- su-yeong Turtle Ship(全羅左水營龜船). The third issue is abou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drawing of the Turtle Ship found in the Gui-seon-do-seol of the Yi-chung-mu-gong-jeon-seo. I think that many of controversies about the Turtle Ship are derived from the misinterpretation of this drawing. Based on it, it is obvious that Turtle Ships found in the Gui-seon-do-seol have three stories as there are crenels on its board walls of the second floor and third floor. If it is a three-story Turtle Ship and both second and third floors are perfect decks, however, it is not convincing at all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floor is 4.3 feet(about 129cm) mentioned in t

      • KCI등재후보

        백서 심근에서 plasmid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 및 VEGF 유전자 발현의 특성

        정진옥 ( Jin Ok Jeong ),박선진 ( Sun Jin Park ),허정은 ( Jeong Eun Huh ),정은아 ( Eun Ah Jung ),오주현 ( Ju Hyeon Oh ),권현철 ( Hyeon Cheol Gwon ),이영주 ( Young Joo Lee ),김선영 ( Sun Young Kim ),박정의 ( Jeong Euy Park ),이원로 대한내과학회 2001 대한내과학회지 Vol.60 No.1

        N/A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ene expression among newly designed eukaryotic expression vectors, and to characterize the patter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expression using the most potent plasmids DNA vector. Methods : After exposure of a beating rat heart (Sprague-Dawley, 250-300g), 5 different types of plasmid DNA was injected directly into the myocardium. Reporter protein was analyzed by ELISA in the extracted heart. Results : The vector harboring cytomegalovirus (CMV) promoter and enhancer induced the strongest expression of reporter gene (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CAT) compared to those of pC3.1, pEF1a, RSV, pActin in the rat heart via direct injection of plasmid DNA into the apex (p<0.001). Using pCN-CAT, gene expression showed a dose-dependent response over a range of 0.3-10 ㎍. CAT expression could be detected up to 30 days after 10 ㎍ of pCN-CAT injection with the maximal expression on day 5. In X-gal staining of injected pCN-lacZ gene, β-galactosidase was found only around the needle track in the apex. The expressed hVEGF121 had biologic activity with vascular permeability assay (Miles assay) in guinea pigs. After injection of pCN-hVEGF121 into the apex of the rat heart, the expression of VEGF protein was dose-dependent over the range of 25 and 500 ㎍. VEGF expression was detected up to 14 days with its peak on day 2 after injection of 250 ㎍ of pCN-hVEGF121. When plasmid was injected into the apex of the rat heart, the expression of VEGF in the heart showed concentration gradient from the apex to the base. However, the expression of CAT was detected only in the apex. Conclusion : Plasmids vector with hCMV IE promoter/enhancer will provide clear advantages over other previously developed plasmids 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behaviors of VEGF expression may be useful in angiogenic gene therapy of the heart.(Korean J Med 60:3-15, 2001)

      • 부력 개념 수업에서 교사의 비계설정 분석

        정진우 ( Jin Woo Jeong ),김현정 ( Hyun Jeong Kim ),임청환 ( Cheong Hwan Lim ),김진국 ( Jin Kuk Kim ),정진표 ( Jin Pyo Jeo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5 No.1

        이 논문은 초등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비계설정 사례를 12가지의 비계설정 요소로 분류하여 비계설정의 경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과학 수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마다 12가지 비계설정요소가 나타나는 비율은 교사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흥미나 개인차, 일상적 개념을 고려한 비계설정은 교사와 아동의 상호 주관성을 높게 형성함으로써 과학적탐구 학습을 위한 여건을 조성한다. 셋째, 같은 비계설정 요소를 사용하는 교사일지라도 교사의 학문적 배경,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 관점, 아동 이해의 관점 등에 따라 비계설정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of scaffoldings as dividing the examples of teacher`s scaffolding into 12 elements of scaffolding on teaching practice about buoyancy in elementary sci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teacher`s scaffolding gave science teaching some important implications like these: Firstly, Percentage emerging 12 elements of scaffolding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haracters of teacher, equally showed each elements of scaffolding. Secondly, if teacher considers children`s interest or individual differences or everyday concept in using scaffolding, the conditions of learning for scientific inquiry would be well-formed by the intersubjectivity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irdly, no matter how similar elements of scaffolding teachers use, the tendencies of scaffolding brought different results by teachers` learning backgrounds or view of science teaching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 KCI등재

        보험수익자의 지정과 보험수익자의 권리

        정진옥(Jin-Ok Jeong) 한국재산법학회 2023 재산법연구 Vol.39 No.4

        세계적으로 생명보험계약상의 권리에 관한 자본적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이에 관한 법리적 검토는 일천하다. 생명보험계약상의 권리에 대한 거래와 관련된 법률문제에서는 보험수익자의 지정과 관련된 보험수익자의 지위 문제가 먼저 논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최근 대법원 판례를 계기로 보험수익자 지정변경과 이에 따른 보험수익자의 지위 문제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보험계약자가 보험수익자를 지정 또는 변경하는 의도를 중시하여 보험수익자의 지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으로는 상법 규정을 바탕으로 보험수익자의 확정 문제와 보험수익자의 수익권에 관하여 현재의 통설적 견해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즉 보험수익자 지정의 유형을 철회가능한 경우와 철회불능의 경우로 구분하고, 철회가능한 경우에는 보험수익자는 지정과 함께 보험사고 발생시 구체적 보험금청구권을 취득한다는 기대(권)을 가지고, 철회불능의 경우에는 지정 즉시 확정적 수익권을 취득한다고 보았다. 특히 보험수익자의 수익권의 범위와 관련하여 철회불능의 수익자 지정에서는 해지환급금청구권을 포함한 다른 수익권에 대한 귀속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생명보험계약상의 권리는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이고, 양도 또는 처분할 수 있는 권리이다. 이 권리에 대한 귀속 및 처분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은 생명보험계약상의 권리에 대한 거래에 관한 법률관계를 명확히 하는 전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논의는 입법론적 해법 없이는 한계가 있지만, 이를 계기로 향후 보험수익자의 수익권 뿐만 아니라 생명보험계약상의 권리의 양도 또는 보험계약자의 채권자와 보험수익자간의 관계에 관한 논의로 확장되기를 기대해 본다. Although capital transactions on the rights under life insurance contracts are active worldwide, legal review on them in Korea is meager. In legal issues related to the transaction of rights under a life insurance contract, the issue of the status of the beneficiary related to the designation of the beneficiary should be discussed first. As issues related to the designation of beneficiaries were discussed in recent Supreme Court precedents,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designation/change of beneficiaries and the status of the beneficiaries. In this paper, the policyholder's intention to designate or change the beneficiary was emphasized, and the status of the beneficiary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esignation/change of beneficiaries. Basically, I took a critical approach to the issue of how to determine the insurance beneficiary and the current prevailing views on the beneficiary's rights. In other words, the types of beneficiary designation are divided into revocable cases and irrevocable cases, and in the revocable case, the insurance beneficiary has the expectation (right) to acquire the specific death benefit in the event of an insurance accident along with the designation, and in the irrevocable case, It was assumed that the definite benefit right was acquired immediately after designation. In particular, regarding the scope of rights of insurance beneficiaries, the irrevocable beneficiaries may have other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claim the cash surrender value. The Right under a life insurance contract is a right that has property value and is a right that can be transferred or disposed of. Clarifying the attribution and disposition of this right is also a premise for clarifying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the transaction of rights under life insurance contracts.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is discussion without a legislative solution, it is hoped that it will be expanded to discussions on the transfer of not only the beneficiary's benefit but also the right under the life insurance contrac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holder's creditor and the beneficiary.

      • KCI등재

        공간정보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산업 간 융합 방안 연구

        정진도 ( Jin Do Jeong ),사공호상 ( Ho Sang Sakong ),이재용 ( Jae Yong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2

        포화상태인 국내 공간정보산업시장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이 필수적이나, 현재의 공간정보산업 해외 진출 방식은 시장 확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산업 간 융합을 통한 공간정보산업해외 진출은 인접 ODA 재원을 활용한 해외 진출을 가능하게 하고 국제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선진국 진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확장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연구는 이러한 산업 간 융합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먼저 복수의 해외 국가에 대한 상세 현황 조사를 수행하여 개발도상국 및 선진국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수요 분석 결과 산업 간 융합을 위해서는 융합 용이성, 표준에 기반한 정보의 보안성, 열악한 인프라 극복, 다양한 수요 대응체계, 유지.보수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적/방법론적/법제도적 융합 기반을 모색하였다. The overseas expansion is essential to expand domestic geospatial industries in a state of saturation. But current overseas expansion method has be limited to expand global market. Inter-industry convergence strategies may be the most resonable alternative to expand global market through raising the expansion possibility to developing countries with ODA funds and to developed countries with converging global competitive industr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various foreig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o draw each demand. As a result, easiness of convergence, confidentiality of information, complementarity of poor infrastructure, responsiveness of various demands and sustainability of system are needed to successful convergence on multiple industries. This research seeks convergence framework to meet this demands, and suggests each component. This convergence framework is consisted of geospatial convergence common framework, inter-industry convergence model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system for overseas expansion.

      • KCI등재
      • KCI등재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 나타난 향유의 환상과 궁지, 그리고 남성 가부장중심주의

        정진만(Jeong, Jin-Ma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현대정신분석 Vol.23 No.2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서 상실의 견딜 수 없는 현실로부터 도피해 환상에 의존하는 병약한 블랜치와 대조적으로, 스탠리는 의문의 여지없이 강건한 현실주의자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이 글은 향유를 다루는 데 있어서 스탠리가 블랜치보다 크거나 같은 환상을 품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새로운 해석은 우리가 주이상스(향유)에 대한 라캉의 개념을 염두에 둘 때 가능하다. 라캉에게 있어서 주이상스는 상징계 안에서 주체의 지위를 떠맡는 대가로 금지된 것으로서 실재계에서는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다. 충만하고 완벽한 주이상스는 불가능한데도 불구하고, 역설적이게도 주체는 장애물만 제거하면 그것에 도달할 수 있는 것처럼 위장하기 위해 그 주이상스에 대한 장애물(금지)을 고안해 낸다. 따라서 장애물은 주이상스에 접근하는 데 필수적이게 된다. 여기에 주이상스의 환상과 궁지가 존재하며,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스탠리가 그런 점을 예시하고 있다. 스탠리는 블랜치(주이상스와 남성 지배에 대한 장애물)를 자신의 남성중심적, 가부장적 영역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블랜치의 달갑지 않은 개입으로 인해 잃게 된 것으로서 스텔라와의 결혼관계에서의 이전의 주이상스를 되찾을 수 있다는 환상에 빠진다. 이런 라캉적 접근은 나약한 블랜치가 패배하고 스탠리의 강건한 마초적 세계가 다시 안정을 되찾는다는 윌리엄스의 사회진화론적 재현이 향유에 대한 대중의 환상에 호소하는 사회-심리적 전략을 통해 남성 가부장중심주의를 떠받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In Tennessee Williams’s A Streetcar Named Desire, Stanley has been unquestionably accepted as a sturdy realist, as opposed to invalid Blanche who resorts to fantasy escaping from the insufferable reality of loss. However, this essay argues that, in his treatment of enjoyment, Stanley has fantasy either more than or as much as she has. This new interpretation is possible when we are reminded of Lacan’s notion of jouissance (enjoyment). For Lacan, jouissance, banned at the price of one’s assuming the subject’s position in the symbolic, is initially impossible in the real. Notwithstanding the impossibility of a full and perfect jouissance, paradoxically one elaborates an obstacle (prohibition) to jouissance so as to believe it as reachable if only one removes the obstacle. Thus, an obstacle becomes prerequisite to access jouissance. Here lie the fantasy and stalemate of jouissance, and Stanley in A Streetcar Named Desire exemplifies them: He fantasizes that he can recover his former jouissance in his marital relationship with Stella that is lost by Blanche’s unwelcome intervention, if only he gets rid of Blanche—an obstacle to jouissance and male dominance—out of his male-centered patriarchal territory. Such a Lacanian approach to the text would illuminate that Williams’s Social Darwinist representations of fragile Blanche’s defeat and the re-stabilization of Stanley’s robust macho world sustain male patriarchism through the socio-psychological strategy appealing to the public’s fantasy of enjoy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