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iMedia를 위한 멀티홉 라우팅 프로토콜 개발 및 성능분석

        정진욱,이승진,진교홍,황민태,전영애,Jung, Jin-Uk,Lee, Seung-Jin,Jin, Kyo-Hong,Hwang, Min-Tae,Jeon, Young-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7

        WiMedia는 다른 WPAN 기술에 비해 빠른 전송률을 제공하지만 전송 범위가 10미터로 제한되어 있어 그 이상의 거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iMedia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전송 범위를 극복하여 실시간(Real-Time)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멀티홉 QoS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은 Table-Driven 라우팅 알고리즘과 On-Demand 라우팅 알고리즘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 라우팅 프로토콜로 2홉 이내의 거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경로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이웃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한 후 Table-Driven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하며 3홉 이상의 거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경로는 On-Demand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과 AODV, 그리고 DSDV간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처리율과 지연시간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Though WiMedia supports the higher data rates than other WPAN technologies, a WiMedia device cannot reach other devices which are apart from it more than 10 meter; the limited transmission range of the WiMedia protoc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hop QoS routing protocol to enable WiMedia devices to transmit real-time data to devices that is located out of transmission range. The proposed routing protocol is a hybrid routing protocol, which is the mixed protocol of table-driven and on-demand routing algorithm. In the proposed protocol, a route for a device within 2-hop is established by using the table-driven routing algorithm and a route for the device beyond 2-hop is established by using the on-demand routing algorithm. We perform ns-2 simulation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routing protocol with AODV and DSDV.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tocol's performance is better than AODV and DSDV in terms of the throughput and delay.

      • KCI등재

        ns-2에서 IEEE 802.11 확장 모듈의 오류 수정과 Error Rate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및 성능분석

        정진욱,진교홍,Jung, Jin-Uk,Jin, Kyo-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9

        Ns-2는 유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검증된 시뮬레이터이다. Ns-2.33 버전은 IEEE 802.11의 PHY 계층과 MAC 계층의 핵심 기능들이 구현된 모듈들을 포함하는 확장 버전을 제공하고 있지만, 만약 이 확장 버전에 무선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의 중요한 성능 평가 파라미터 중의 하나인 Error Rate가 적용되면 몇몇 치명적인 오류로 인해 시뮬레이션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패킷 에러는 실제로 MAC 계층에서 감지되고 폐기되어져야 하지만 이 버전에서는 PHY 계층에서 패킷 에러를 처리함으로써 에러가 발생된 패킷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IEEE 802.11 확장 버전을 수정하였으며 IEEE 802.11p 기반의 차량 에드-혹 네트워크상에서 수정된 버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Error Rate가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Ns-2 is a proven simulator which is widely utiliz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 Ns-2.33 version introduced the extended version including the modules which the core functions of existing 802.11 PHY and MAC layer are implemented. However, if the error rate, one of most important parameters to evaluate a performance of wireless network, is applied to the extended version, the simulation is ceased with several fatal errors. Furthermore, a packet error is detected and discarded on MAC layer in the traditional protocol architecture, but there is the problem which can't identify information about a packet with error by processing packet error on PHY layer in this version. In this paper, we modify the extended version to resol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And also we perform ns-2 simulation using the modified version on the IEEE 802.11p based vehicular ad-hoc networks, and then analyze effects of error rate.

      • KCI등재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가전기기의 에너지 저감을 위한 SEP 2.0 기반의 자동수요반응 시스템 개발

        정진욱,김수홍,진교홍,Jung, Jin-uk,Kim, Su-hong,Jin, Kyo-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9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utomatic demand response systems which reduce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for the period automatically distinct from the existing passive demand response that a subscriber directly controls the energy consumption. The proposed systems are based on SEP 2.0 and consist of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program, the demand response server, and the demand response client. The demand response program shows the current status of the electric power use to a subscriber and supports the function which the administrator enables to creates or cancels a demand response event. The demand response server transmits the demand response event received from the demand response management program to the demand response client through SEP 2.0 protocol, and it stores the metering data from the demand response client in a database. After extracting the data, such as the demand response the start time, the duration, the reduction level, the demand response client reduces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for the period.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입자가 직접 전력량을 조절하는 수동수요반응과는 달리 정해진 시간에 자동적으로 전력량 소모를 줄이는 자동수요반응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SEP 2.0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과 수요반응 서버,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은 가입자에게 전력사용현황을 알려주고 관리자에게는 수요반응 이벤트를 생성 및 취소할 수 있게 한다. 수요반응 서버는 수요반응 관리 프로그램에서 수신한 수요반응 이벤트를 SEP 2.0을 통해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수요반응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미터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수요반응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수요반응 이벤트에서 수요반응 이벤트 시작시간과 지속시간, 감소레벨을 추출한 뒤, 특정 기간 동안 전력소모를 감소시킨다.

      • KCI등재

        하악에 발생한 중심성 거대세포육아종의 치험례

        정진욱,오득영,서제원,문석호,이중호,이종원,안상태,김창현,Chung, Jin-Wook,Oh, Deuk-Young,Seo, Je-Won,Moon, Suk-Ho,Lee, Jung-Ho,Rhie, Jong-Won,Ahn, Sang-Tae,Kim, Chang-Hyun 대한성형외과학회 201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7 No.5

        Purpose: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is a rare, benign giant cell tumor which commonly develops in areas near the teeth. It accounts for approximately less than 7% of benign tumors of the mandible. Clinically,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is classifed into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type, and usually requires surgical treatment. There has been no report of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in plastic surgery field of the country, and we report a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Methods: A 23-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hard, non-tender, growing mass with the size of $4.0{\times}3.0\;cm$ on mandible for several months.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a solid mass within thinned outer cortex on mandible. The thinned outer cortex was excised with the mass and the inner cortex was partially removed burring. After the tumor removal, mandible was fixed by reconstruction plate. Results: Pathologic report showed numerous large multinucleated giant cells, diffusely distributed in a background of ovoid-to-spindle-shaped mononuclear cells.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after 1 year follow up. Bony defect was regenerated and we removed the reconstruction plate. Conclusion: Removal of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results in defect of outer cortex, which can be reconstructed by using reconstruction plate, autologous bone graft or bone cement. We used reconstruction plate as a conservative method to induce secondary healing of the outer cortical defect area, which resulted in normal mastication and occlusion with no recurrence.

      • KCI등재

        감염된 만성창상에서 국소음압세척치료의 이용

        정진욱,김준형,정영진,박무식,손대구,한기환,Jeong, Jin-Wook,Kim, Jun-Hyung,Jung, Yung-Jin,Park, Mu-Sik,Son, Dae-Gu,Han, Ki-Hwan 대한성형외과학회 201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7 No.3

        Purpose: Continuous irrigation method is an important step in managing wound infection. V.A.C. devices have been used in intractable wounds for reducing discharge, improving local blood flow, and promoting healthy granulation tissue. We expect synergistic effects of reduced infection and more satisfactory, accelerated wound healing when using both methods simultaneously. This study evaluated continuous irrigation combined with V.A.C. appliance for treatment of infected chronic wounds. Methods: We reviewed data from 17 patients with infected intractable chronic wounds. V.A.C. device (Group A) was used in 9 patients, and V.A.C. with antibiotics irrigation (Group B) was used in 8 patients. We placed Mepitel$^{(R)}$ on the surface of wound and placed an irrigation and aspiration tube on each side. A sponge was placed on the Mepitel$^{(R)}$ and covered with film dressing. The wound was irrigated continuously with mixed antibiotics solution at the speed of 200 cc/hr and aspirated through the wall suction at the pressure of -125 mmHg. V.A.C. applied time, wound culture and wound siz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No complication were seen in two groups. Compared with Group A, in the Group B, V.A.C. applied time was shortened from 32.7 days to 25.6 days and showed efficacy in the reduction rate of wound siz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shown in bacterial reversion. Conclusion: V.A.C. appliance with continuous irrigation is an effective new method of managing infected chronic wounds and useful to reduce treatment duration and decrease wound size. Moreover it could be applied more widely to infected wound.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노드와 인접한 노드의 균등한 에너지 소모를 위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정진욱,진교홍,Jung, Jin-Wook,Jin, Kyo-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6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링(Clustering)기법은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Network Lifetime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보인다. 기존의 클러스터링 기법들은 센서 노드들이 CH(Cluster Head) 역할을 교대로 수행함으로써 각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균등하도록 하여 Network Lifetime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지만, 싱크(Sink) 노드와 인접한 노드들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싱크 노드의 POS(Personal Operating Space)내에 존재하는 인접 노드들의 일부를 클러스터의 멤버(Member) 노드로 가입시키지 않고, 직접 싱크 노드와 통신하게 함으로써 싱크 노드와 인접한 CH의 에너지 소모를 줄여 Network Lifetime을 연장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Clustering techniques, which are algorithm to increase the network lifeti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s developed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of nodes. Existing clustering techniques by to increase the network lifetime with equalizing each node's the energy consumption by rotating the role of CH(Cluster Head), but these algorithms did not present the solution that minimizes the energy consumption of neighboring nodes with sink.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lustering algorithm that prolongs the network lifetime by not including a part of nodes in POS(Personal Operating Space) of the sink in a cluster and communicating with sink directly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CH closed to sink.

      • 웹 기술 기반의 전자책 저작도구 설계 및 구현

        정진욱(Jung Jin-Uk),김판곤(Kim Pan-Gon),이광의(Lee Kwang-Eui)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1

        전자책이란 기존의 종이 서적의 내용을 디지털 매체,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가공하고 컴퓨터 파일형태로 저장된 출판물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전자책의 저작을 수행할 수 있는 웹 기술 기반의 전자책 저작도구를 객체지향기법에 따라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웹서버와 DB서버가 필요하므로 이를 통합한 웹 솔루션을 제안했다.

      • 자율주행자동차 교통사고의 민사책임에 관한 법제 및 개선방안: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과 제조물 책임법을 중심으로

        정진욱(Jung, Jin-Wook)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19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12 No.1

        국·내외 유명 자동차·IT기업은 물론 대학교와 스타트업들이 자율주행자동차의 본격적인 상용화와 관련기술 고도화를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자율주행지동차산업의 선도국가인 미국에서는 ‘테슬라’에 의해 부분적 자율주행(오토파일릿 기능)이 가능한 승용차 모델이 이미 수년전에 출시되었고, 지난 12월에는 구글의 자회사인 ‘웨이모’에 의해 무인택시 서비스가 최초로 상용화되었다. 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경우, 일반적으로 운전자에게 책임을 물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데,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에는 과연 누가 책임을 져야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다. 차량의 조향이나 속도 등 운행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율적으로 통제되는데 운전자에게 고의·과실 등을 이유로 책임을 묻는다는 것에 반감이 있을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교통사고 손해배상 책임과 관련된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이나 「제조물 책임법」 등의 법제개편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에 자율주행자동차의 의의와 전망 및 교통사고 발생 시 민사적 책임을 물을 수 있는 현행법으로서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과 제조물 책임법을 살펴보고, 해외법제와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자율주행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의 손해배상책임 관련 법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과 관련, 중요개념인 운행자, 자동차보유자에 대해 알아보고 자율주행자동차 운행과 관련해 운행자(운전자)-자율주행시스템 간 책임귀속, 운행자(운전자)의 타인성 인정여부 등을 검토했다. 제조물책임법에선 자율주행자동차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도 제조물로 볼 수 있는지, 제조물 책임법상의 결함기준으로 자율주행자동차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결함여부를 판단할 경우에는 어떤 기준을 적용할지 등을 찾아보았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 손해배상책임 등과 관련해 우리나라보다 법령정비 면에서 앞서고 있는 미국·독일·일본의 입법사례를 참고해,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및 제조물 책임법의 개선사항 등을 검토했다. Universities and start-ups as well as renowned automakers and IT companies both home and abroad are devot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for the full-blown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nd the advancement of their related technologies. In the US.A, the leading n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s industry, Tesla launched a car model years ago that is capable of partial autonomous driving. Last December, Waymo, a subsidiary of Google, succeeded in the first commercialization of a driverless taxi service. In traffic accidents, it is the general practice to hold the drivers accountable for the compensation for damage. In traffic accidents involving an autonomous vehicle, it is not clear who should be held accountable. In such a case, vehicle operations including steering and speed are controlled autonomously by software. If drivers are held accountable for their intention or negligence in such a case, it may rouse their antipathy. For this reason, there are a variety of opinions raised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legislative system including the Act to Guarantee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s and the Product Liability Act related to liability for damage in traffic acciden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prospect of autonomous vehicles and also the Act to Guarantee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s and the Product Liability Act as the current laws applied to hold one for civil accountability in traffic accidents. It also reviewed overseas legislative systems and previous studies and searched for ways to improve the legislative systems related to liability for damage in traffic accidents involving an autonomous vehicle. After looking into the important concepts of operators and automobile owners related to the Act to Guarantee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s, the investigator reviewed accountability between the operators (drivers) and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nd the recognition of otherness of the operators (drivers). Based on the Product Liability Act, the study examined if software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could be regarded as a product and which cliteria should be applied to assess defects in software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defects in the Act. In addition, the study consulted the legislative cases of the U.S.A, Germany and Japan, which have advanced ahead of South Korea in legislative arrangement regarding liability for damage in traffic accidents involving an autonomous vehicle, and reviewed what should be improved in the Act to Guarantee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s and the Product Liability Act.

      • KCI등재

        산업용 냉동기의 원격 제어 및 운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구현

        정진욱(Jin-uk Jung),진교홍(Kyo-hong Jin),황민태(Min-tae Hw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냉동기는 얼음을 만드는 기계이다. 이를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는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판매 후 사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후관리의 어려움은 대부분 구매처의 불필요한 고객 서비스 요청에 기인하며, 이 요청은 결국 판매처와 구매처의 불필요한 비용 지출로 이어진다. 하지만 재정적으로 열악한 냉동기 제조 기업은 이 비용을 최대한 줄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국외에 냉동기를 판매하고 싶어도 사후 관리 때문에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냉동기 제조업체는 직접 방문없이 원격지에서 냉동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에서 냉동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냉동기 원격 제어 및 운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냉동기 제조업체와 냉동기 구매업체는 냉동기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즉각적으로 고장에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판매 후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ice machine is the machine for making ice. As most of the companies that manufactures and sells the ice machine a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y have been they have been experiencing the trouble for the after-sales service after selling the machine. The difficulties of the after-sales service are mostly caused by unnecessary customer service requests of the purchaser,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unnecessary expenditure of the seller and the purchaser. However, financially, the poor ice machine manufacturers want to reduce this cost as much as possible. Furthermore, even if they want to sell their products overseas, they are hesitating because of the after-sales service. For this reason, the companies making the ice machine need a system which checks the status of the ice machine and takes the proper actions without the visiting service.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the remote control and operational status monitoring systems which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ice machine in the remote area and control it as needed. Through the developed system, the company manufacturing the ice machine and the manager of the ice machine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ice machine and respond against the ice machine’s trouble, immediately.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o have great effects on cost reduction becaus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fter sell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