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연 : 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

        정지성,손동균,조돈현,김형근,이영석,양진모,조세현,한준열,박수헌,김재광,정규원,선희식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경변환자에서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가 흔하며, 영양실조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또한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증 간성뇌증 환자의 경우, 단백질 제한이 필수적이지만, 장기간 단백질 제한을 하는 경우 영양실조가 악화될 뿐아니라 예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상태의 평가 지표로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간질환 환자 7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간염 환자 28명을 제1군, 식도정맥류나 복수 등의 간경변증의 합병증의 기왕력이나 현증이 있지만 간성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 27명을 제 2군, 현증 간성 뇌증이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4명을 제3군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환자의 영양상태 분석을 위하여 lymphocyte수, 혈청 알부민치 등의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냉동보관된 혈청을 이용하여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GH)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MELD score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총 lymphocyte 수는 1군 1956±658 (×106/L), 2군 1800±797(×10(6)/L), 3군 1256±704(×10(6)/L) (P<0.001)로 세군간에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albumin은 1군이 3.61±0.58 g/dL, 2군이 3.11±0.68 g/dL,3군이 2.63±0.53 g/dL으로 세 군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01) 2) retinol binding protein은 1군에서 40.5±31.93 mg/ml, 2군에서 41.4±65.59 mg/mL, 3군에서 41.84±53.75 mg/mL로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99) 3) 1군 환자 28명의 IGF-1치는 128.1±49.9 ng/mL, 2군은 70.9±37.8 ng/mL, 3군은 40.2±22.8 ng/mL이었고,성장 호르몬은 1군이 67.8±3.1 ng/mL, 2군이 158.8±7.2 ng/mL, 3군이 126.1±5.7 ng/mL로, IGF-1치는 세 군 환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1) 성장 호르몬은 2군 환자가 1군 환자와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01) 2군과 3군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0.77) 3) MELD scale은 1군이 6(-2-16), 2군이 12(-5-35), 3군이 17 (-14-48)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간성 뇌증 환자에서 간성 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보다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이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 level이 간성 뇌증 환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공급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중심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서로 다른 세 가지 약물의 단기 효과 비교

        정지성,이동우,김병선,유웅선,정인영,박종문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11

        Purpose: To report the short-term effects of intravitreal bevacizumab alone, low-dose bevacizumab combined with low-dose triamcinolone injection, and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Ozurdex®, Allergan, Irvine, CA, USA) injection in patients with macular edema following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70 patients (70 eyes) with macular edema secondary to CRVO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Of these, 25 eyes (IVB group) were injected with intravitreal bevacizumab, 23 eyes (intravitreal low-dose bevacizumab and triamcinolone injection [IVB+IVTA] group) were injected with low-dose bevacizumab (0.625 mg/0.025 mL) combined with low-dose triamcinolone (1 mg/0.025 mL), and 20 eyes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IVD] group) were injected with an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of treated eyes were measured before injection and at 1 month and 3 months after injection. Results: Groups were similar in age and gender distribution. At 1 month, the CMT of all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he BCVA of all group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tients with CRV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p = 0.246, p = 0.974). At 3 months, the CMT and BCVA had improved significantly only in the IVD and IVB+IVTA groups; the short-term effect was comparable to the IVD group. IO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t 3 months after injection for all groups. Conclusions: Considering various clinical variables in the treatment of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CRVO,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low-dose bevacizumab combined with triamcinolone, and dexamethasone implants may be used selectively. 목적: 중심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환자에서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저용량 베바시주맙-트리암시놀론 혼합물, 덱사메타손삽입물주입술의 단기간 치료 효과 및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중심망막정맥폐쇄환자 총 70명 70안 중,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단독 주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 25안, 유리체내 저용량의 베바시주맙 0.625 mg/0.025 mL와 트리암시놀론 1 mg/0.025 mL를 혼합하여 유리체내 주입한 23안, 유리체내 덱사메타손삽입물을 시행 받은 환자 23안을 대상으로 시술 전, 시술 후 1개월, 3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 안압을 비교하였다. 결과: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저용량 베바시주맙-트리암시놀론 혼합물, 덱사메타손삽입물 주입술 시행 후 모든 군에서 1개월째 중심망막두께의 감소 및 시력개선을 보였으며,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46, p=0.974). 유리체내 덱사메타손삽입물군에서만 3개월까지 시력개선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였으며(p=0.032), 저용량 베바시주맙-트리암시놀론 혼합물군에서도 단기간의 효과는 덱사메타손삽입물에 비교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p=0.052). 안압은 모든 군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진 않았다. 결론: 중심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의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임상적 변수를 고려하여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저용량 베바시주맙-트리암시놀론 혼합물, 덱사메타손삽입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Vacuolar Myelopathy가 동반된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 환자 1예

        정지성,김상일,조유경,최수미,위성헌,김양리,이광수,최규호,강문원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5

        The spinal cord is a commonly affected site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Even though the most common disease of the spinal cord is vacuolar myelopathy, there is no case report yet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suspicious vacuolar myelopathy in a 33 year-old male patient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The patient presented with progressive paraparesis, gait disturbance, urinary difficulty, and the loss of sensation below thoracic spine 6∼7 dermatome. Cerebrospinal fluid showed mild pleocytosis, increased protein level, and normal glucose content. The spine MRI showed extensive ill defined areas of increased signal intensity through the visualized lower cervical and thoracic spinal cord. Steroid therapy with antiretroviral drugs appeared to be ineffective to improve the symptoms of the patient. (Korean J Infect Dis 33:350∼353,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