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역축제 프로그램이 참여도 및 효율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종원(Jeong, Jong Won),김정호(Kim, Jeong H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축제 분석 자료에 따르면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하면서 폭발적으로 늘어나 1990년 70여개에서 2008년 926개를 정점으로 자율적으로 통폐합 및 발전을 통해 2013년 752개, 2017년 733개로 하루에 2건 이상 개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및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하여 지역축제에 대한 학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중복과 지역축제 비관련 논문을 제외하고 971개의 논문을 발견 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971개 논문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성공요인 도출 및 문제점 파악, 경제적 파급효과 및 지역축제에 대한 목적과 기대효과 달성여부에 대한 평가연구 등의 3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대부분 주체자의 성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 주체인 축제 참여자에 대하여 착안하였고, 이렇게 진행되는 지역축제의 핵심인 참여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축제는 어떠한 차별성이 있고, 4차 산업혁명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인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활용하면 지역축제의 참여도 및 효율성에 성과를 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유형에 대한 선행 사례연구를 통해 축제지향성, 축제 운영방식, 축제 개최목적, 축제 소재를 독립변수에 대한 하위변수로 설정하였다. 축제성과를 종속변수로하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매개변수로 하여 모형을 설계 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전체 모형의 입장에서 분석, 평가할 수 있고,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주는 기법인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적합성을 검정 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지역축제에 대한 참여도 및 효율성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지역축제를 참여한 일부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러나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다소 소외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으로 지역축제에 모바일 결제 및 관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 한 것에 대해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ccording to the regional festival analysis data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implemented in 1995, and the number of festivals increased from 70 in 1990 to 926 in 2008, 752 in 2013 and 733 in 2017 More than two cases were held. The research trends of regional festivals were searched through KERIS and RISS, and 971 papers were found except duplication and festival related papers. In the 97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there are three main directions for finding the success factors, identifying the problems, evalua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and attaining the purpose and the expectation effect for the local festival.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centrate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festival participant, who is the main subject of the festival. In order to raise the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which is the core of the local festival,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estival, I started with an inquiry. In addition, we will investigate whether the mobile payment service, an axi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achieve the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of local festivals. In this study, festival orientation, festival operation method, festival purpose, and festival material were set as sub - variables for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precedent case study on the type of local festival. The model is designed with the festival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mobile payment service as the parameter.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 which can analyze and evaluat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whole model, And the suitability was verifie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mobile payment servi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in local festivals, but it is rather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it analyzed some people participating in local festivals. However, it is meaningful to suggest mobile payment and related programs to local festival as an axi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mobile payment service may be somewhat alienated.

      • KCI등재

        배지의 종류와 부피가 절화 장미 ‘Red Sandra’와 ‘Little Marble’ 삽목시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정종운(Jong Woon Jeong),김경희(Gyeong Hee Kim),황승재(Seung Jae Hwang),박수민(Su Min Park),정병룡(Byoung Ry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배지의 종류 및 부피가 절화 장미의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은 유리온실의 철재 베드에 높이 1.5m의 아치형 터널을 설치하고 습도유지를 위하여 fog(200sec./5min. or 100sec./5min) 가습하고, 삽목초기에 차광률 55%의 한랭사로 차광하였다. 실험재료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r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배지의 종류에 따른 발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0가지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 perlite, vermiculite, 또는 perlite와 peatmoss 1 : 1, perlite와 coir 1 : 1, perlite와 rockwool 1 : 1, rockwool과 peatmoss 1 : 1, rockwool과 coir 1 : 1, v/v)를 준비하여 삽목하였다. 발근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 및 생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의 배지(토실이 상토, 암면큐브, phenolic foam)를 각각 3가지 부피(3 × 3 × 3cm, 5 × 5 × 5cm, 7 × 7 × 7cm)에 삽목하였다. 배지의 종류를 달리한 실험은 두 품종 모두에서 Rockwool 1: Peatmoss 1 배지에서 발근과 생육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배지의 부피에 따른 발근율과 모든 생육은 배지의 용적이 커질수록 좋았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rooting and growth of rose cuttings as affected by medium composition and volume. Rosa hybrid a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were used as test plants. For medium composition test, rockwool, phenolic foam, perlite, vermiculite, peatmoss, coir and a commercial medium (Tosilee medium) were applied in single or mixed forms on the propagation bed with fog (200 sec./5 min.) installed to control the humidification time. 'Red Sandra' and 'Little Marble' cuttings were planted in 16-cell plastic pots and 72-cell plug trays, respectively. For the medium volume test, 72-cell plug trays and 16-cell or 9-cell plastic pots were used. Cuttings with an uniform node with a five-leaflet leaf was soaked in a 500 ㎎ㆍL?¹ IBA solution for 30 sec. A fogging system installed on the propagation bed was used for (100 sec./5 min.). Rockwool 1 : peatmoss 1 (v/v) was the most effective on growth and rooting for both cultivars and high volume of Tosilee medium and rockwool were most effective media for both cultivars.

      • KCI등재

        삽수 길이, 소엽수 및 삽수 채취부위에 따른 절화장미 ‘Red Sandra’와 ‘Little Marble’의 발근과 생장

        정종운(Jong Woon Jeong),황승재(Seung Jae Hwang),박수민(Su Min Park),정병룡(Byoung Ry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2

        본 실험은 장미 삽수의 조제방법이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r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삽수 길이를 달리한 실험은 ‘Red Sandra’는 4, 7, 10 ㎝, ‘Little Marble’ 은 3, 5, 7 ㎝로 처리하였다. 소엽수를 달리한 실험은 삽수당 소엽 5매엽을 0, 2, 4, 또는 5매 남겼다. 삽수 채취부위를 달리한 실험은 꽃봉오리로부터 소엽 5매엽을 첫 마디로 하여 마디별 1~2, 3~4, 5~6, 7~8마디로 4처리하였다. 발근과 생장에 있어 삽수 길이는 두 품종 모두 7 ㎝가 좋았다. 발근률에 있어 소엽을 5매 모두 남기고 1~2마디를 삽수로 이용시 두 품종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rooting and growth of cuttings of rose as affected by cutting length, number of leaflets and cutting position. Test plants were two cultivars of Rosa hybrid a ‘Red Sandra’(standard) and ‘Little Marble’(miniature). Cutting length was 4, 7 or 10 ㎝ for ‘Red Sandra’ and 3, 5 or 7 ㎝ for ‘Little Marble’. The number of leaflets left on the five-leaflet leaf was 0, 2, 4 or 5. The cutting position on the stem was between 1~2, 3~4, 5~6 or 7~8 nodes from the shoot tip, which have five leaflet leaves. The most efficient cutting length was 7 ㎝ in both cultivars. Treatment with all leaflets left and cutting position at 1~2 nodes resulted in good rooting ratio for both cultivars.

      • KCI등재

        대학생의 e-Book 이용실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

        정종원(Jeong, Jong-Won)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1

        이 연구에서는 2005년 실시한 전자책 수용자 조사 결과와 2010년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해 전자책 이용실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전자책 이용경험 유무가 전자책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밝혀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전자책에 대한 인지정도’나 ‘전자책 이용 경험’이 2005년 조사 결과보다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자책 이용 매체’, ‘이용 빈도’, ‘이용 사이트’, ‘이용장르’, ‘전자책 적정가격’ 등에 대한 응답도 지난 조사 때보다 낮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여 전자책 이용 실태가 많이 퇴보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전자책 이용 경험 유무’와 ‘전자책에 대한 인지정도’는 2005년 조사보다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이책에 대한 호감정도’와 ‘전자책에 대한 호감정도’도 전자책을 이용한 경험이 많은 사람일수록 더 호의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자책의 적정한 가격’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앞선 조사 결과와는 달리 전자책 이용의 경험 유무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e-book audience surveys conducted in 2005 and in 2010 so as to determine the current trends in the use of e-books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with e-books and the use of e-boo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observed a great decline in the ‘awareness of e-books’ and ‘experience with e-books’ compared to the 2005 results. Such a decrease was also observed in the responses regarding the ‘media for use of e-books’, ‘frequency of use of e-books’, ‘web sites to get e-books’, and ‘reasonable prices of e-books’, which suggests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use of e-books. With regard to the ‘experience with e-books’ and ‘awareness of e-books’, there was witnes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rrelation coefficients compared to the 2005 results. With regard to the ‘attitude towards paper books’ and ‘attitude towards e-books’, it was noticed that people with more experience with e-books have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e-book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reasonable prices of e-books’, didn’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xperience with e-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