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정조하,노재현,강정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Taking the three Wuyi-Gugok Drawings, 『A Picture Showing the Boundary Between Mountains and Rivers: A』,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B』 and 『Eighteen Sceneries of Wuyi Mountain: C』, which were produced in the mid-Qing Dynasty as the research objects and after investigating the names recorded in the painting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scenic spots, scene types and images in the literature survey. Also, based on the number of Scenic type and the number of Scenic name in each Gok, landscape richness(LR) and landscape similarity(LS) of the Gugok scenic spot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in the 18th century were carefully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tatistics of scenic spot types in Wuyi Mountain Chronicle, there were 41 descriptions of scenery names in the three paintings, among which rock, peak and stone accounted for the majority. According to the data, the number of rocks, peaks and stones in Wuyi-Gugok landscape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landscape such as Danxia landform in Wuyi-Gugok landscape. Secondly,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九曲溪) was diverse and full of images. The 1st Gok Daewangbong(大王峰) and Manjeongbong(幔亭峰), the 2nd Gok Oknyeobong(玉女峰), the 3rd Gok Sojangbong(小藏峰), the 4th Gok Daejangbong(大藏峰), the 5th Gok Daeeunbyeong(大隐屏) and Muijeongsa(武夷精舍), the 6th Gok Seonjangbong(仙掌峰) and Cheonyubong(天游峰) all had outstanding landscape in each Gok. However, the landscape features of the 7th~9th Gok were relatively low. Thirdly, according to the landscape image survey of each Gok, the image formation of Gugok cultural landscape originates from the specificity of the myths and legends related to Wuyi Mountain, and the landscape is highly well-known. Due to the specificity, the landscape recognition was very high. In particular, the 1st Gok and the 5th Gok closely related to the Taoist culture based on Muigun, the Stone Carving culture and the Boat Tour culture related to neo-confucianism culture of Zhu Xi.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landscape similarity of 41 landscape types shown in the figure, the similarity of A and C was very high.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the relationship of distant and near performance was very similar. Therefore, it could be judged that this was obviously influenced by one painting. As a whole, the names of the scenes depicted in the three paintings were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half of 18th century through a long history of inheritance, accumulated myths and legends, and the names of the scenes. The order of the scenery names in three Drawings had some differences. But among the scenery names appearing in all three Drawings, there were 21 stones, 20 rocks and 17 peaks. Stones, rocks and peaks guided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s in Wuyi Mountain. Fifthly, Seonjodae(仙钓臺) in A and C was described in the 4th Gok , but what deserved attention was that it was known as the scenery name of the 3rd Gok in Korean. In addition, Seungjindong(升真洞) in the 1st Gok and Seokdangsa(石堂寺) in the 7th Gok were not described in Drawings A, B and C. This is a special point t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 · 봉(峰) · 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 · 봉 · 석의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 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 · 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钓臺/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真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 · B · 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정조하,노재현,강정,Cheng, Zhao-Xia,Rho, Jae-Hyun,Jiang, Cheng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봉·석의 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 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 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釣臺/태(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眞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B·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Taking the three Wuyi-Gugok Drawings, 『A Picture Showing the Boundary Between Mountains and Rivers: A』,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B』 and 『Eighteen Sceneries of Wuyi Mountain: C』, which were produced in the mid-Qing Dynasty as the research objects and after investigating the names recorded in the painting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scenic spots, scene types and images in the literature survey. Also, based on the number of Scenic type and the number of Scenic name in each Gok, landscape richness(LR) and landscape similarity(LS) of the Gugok scenic spot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in the 18th century were carefully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tatistics of scenic spot types in Wuyi Mountain Chronicle, there were 41 descriptions of scenery names in the three paintings, among which rock, peak and stone accounted for the majority. According to the data, the number of rocks, peaks and stones in Wuyi-Gugok landscape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landscape such as Danxia landform in Wuyi-Gugok landscape. Secondly,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九曲溪) was diverse and full of images. The 1<sup>st</sup> Gok Daewangbong(大王峰) and Manjeongbong(幔亭峰), the 2<sup>nd</sup> Gok Oknyeobong(玉女峰), the 3<sup>rd</sup> Gok Sojangbong(小藏峰), the 4<sup>th</sup> Gok Daejangbong(大藏峰), the 5<sup>th</sup> Gok Daeeunbyeong(大隱屛) and Muijeongsa(武夷精舍), the 6<sup>th</sup> Gok Seonjangbong(仙掌峰) and Cheonyubong(天游峰) all had outstanding landscape in each Gok. However, the landscape features of the 7<sup>th</sup>~9<sup>th</sup> Gok were relatively low. Thirdly, according to the landscape image survey of each Gok, the image formation of Gugok cultural landscape originates from the specificity of the myths and legends related to Wuyi Mountain, and the landscape is highly well-known. Due to the specificity, the landscape recognition was very high. In particular, the 1<sup>st</sup> Gok and the 5<sup>th</sup> Gok closely related to the Taoist culture based on Muigun, the Stone Carving culture and the Boat Tour culture related to neo-confucianism culture of Zhu Xi.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landscape similarity of 41 landscape types shown in the figure, the similarity of A and C was very high.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the relationship of distant and near performance was very similar. Therefore, it could be judged that this was obviously influenced by one painting. As a whole, the names of the scenes depicted in the three paintings were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half of 18<sup>th</sup> century through a long history of inheritance, accumulated myths and legends, and the names of the scenes. The order of the scenery names in three Drawings had some differences. But among the scenery names appearing in all three Drawings, there were 21 stones, 20 rocks and 17 peaks. Stones, rocks and peaks guided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s in Wuyi Mountain. Fifthly, Seonjodae(仙釣臺) in A and C was described in the 4<sup>th</sup> Gok, but what deserved attention was that it was known as the scenery name of the 3<sup>rd</sup> Gok in Korean. In addition, Seungjindong(升眞洞) in the 1<sup>st</sup> Gok and Seokdangsa(石堂寺) in the 7<sup>th</sup> Gok were not described in Drawings A, B and C. This is a special point t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대영도서관 소장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로 본 중국 무이구곡의 문화경관상

        정조하,노재현,강정,Cheng, Zhao-Xia,Rho, Jae-Hyun,Jiang, Cheng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대영도서관 소장의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무이산구곡계전도」을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경물의 명칭을 분석하는 한편 산세, 포구(浦口)와 선박, 건축요소, 토목요소, 인물, 석각 등으로 경물명을 유형화한 후 곡별 문화경관적 속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등장하는 건축요소는 총 28 건으로 정자(亭)가 7개소(25%), 사묘[廟]가 4개소(14.3%), 서원과 관(觀)이 각각 3개소(10.7%), 도원(道院)과 마을(村)이 각각 2개소(7.1%)로 집계되었으며, 토목요소는 총 29건으로 동(洞)이 9개소(31%), 고적(古跡)이 6개소(20.7%), 대(臺)가 3개소(10.3%), 도(渡)·교(橋)·지(池)가 각각 2개소(6.9%), 원(園)·문(門)·갱(坑)·정(井)·유지(遺址)가 각각 1개소(3.4%)로 나타났다. 이들 형체요소와 토목요소는 18C 중반 무이산 구곡계의 문화경관적 속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유적이다. 각 곡별 형체요소는 1곡이 12개소(21.1%), 5곡이 11개소(19.3%), 4곡이 9개소(15.8%), 9곡이 8개소(14%), 3곡이 7개소(12.3%), 6곡이 4개소(7%), 2곡이 3개소(5.3%), 7곡이 2개소(3.5%) 그리고 8곡이 각각 1개소(1.8%)로 정리되어 1곡과 5곡 그리고 4곡이 갖는 문화경관적 특성이 한층 부각되었다. 한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된 경물의 묘사는 총 38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이는 무이구곡의 벽수단산의 경색을 보이는 단하지모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되었거나 내포된 무이산의 문화적 함의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 무이산 구곡계에는 이학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 차문화, 기타문화 등 5개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시된 총 171곳의 경물 명중에는 현장 바위글씨[石刻]와 일치되거나 동일한 의미를 보이는 석각은 찬경제각(贊景題刻) 3방, 철리제각(哲理題刻) 3방, 길어제각(吉語題刻) 1방 등 총 7개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림과 석각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보이는 중요한 근거로 보인다. Taking the painting,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as the study object, which was produced in the middle of Qing Dinasty and collected by the British Library, this paper analyzes the scenery names recorded in the painting, and describes the landscape of the mountain, port and ships, architectural elements, civil elements, character, stone inscription and other scenery in the painting.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cultural landscape properties of each Gok are as follows: According to statistics, there are 28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painting, including 7 pavilions (25%), 4 temples (14.3%), 3 Colleges and Taoist temple (10.7%), 2 Dowon(道院) and villages (7.1%); 29 civil elements, including 9 holes (31%), 6 Historical Sites (20.7%), 3 Stations(臺) (10.3%), 2 Ferries, 2 Bridges, and 2 Ponds (6.9%), 1 Garden, 1 Gate, 1 Mine(坑), 1 Well and 1 Remains(3.4%). These physical factors and civil factors are the important relics reflected the cultural landscape attributes of Wuyi-Gugok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mong the shape element in each Gok, the 1<sup>st</sup> Gok have 12 shape elements(21.1%), the 5<sup>th</sup> Gok 11(19.3%), the 4<sup>th</sup> Gok 9(15.8%), the 9<sup>th</sup> Gok 8(14%), the 3<sup>rd</sup> Gok 7(12.3%), the 6<sup>th</sup> Gok 4(7%), the 2<sup>nd</sup> Gok 3(5.3%), the 7<sup>th</sup> Gok 2(3.5%), and the 8<sup>th</sup> Gok 1(2%). Through collation, it is found that the 1<sup>st</sup> Gok, 5<sup>th</sup> Gok and 4<sup>th</sup> Gok have more prominent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scenic spot types in 『Muisanji(武夷山志)』, there are 38 types of scenery description in the painting, of which, the three scenery of big rock, peak, small rock occupy the vast majority. This reflects the Danxia(丹霞) landform characteristics of Wuyi-Gugok. The cultural connotation of Wuyi Mountain expressed and contained in the painting is analyzed and interpreted, and it is found that the Jiuqu(九曲) River in the Wuyi Mountain has Neo-confucianism culture, Taoism culture, Buddhism culture, Tea culture and so on. In addition, among the 171 scenery names shown in the painting, there are altogether 7 stone inscriptions that are consistent with or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rock inscriptions site, including 3 for inscriptions praising the landscape, 3 for philosophical inscription and 1 for auspicious language inscription, which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basis for the mutual textuality between the pictures and the stone inscri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