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정정애,박영숙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우리의 전통사상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생활화하여 다문화사회에 뿌리내리고 자리매김하는 것은 우리가 마땅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인데 다문화사회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에너지와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스스로에 대한 성취감과 기대감이 충족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다문화시대에 우리의 소중한 전통생활양식인 효의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갈 수 있는 방법과 여성들의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하였다. 통계를 통해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은 결혼이민여성들의 효의식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효의식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근거이므로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에 대한 회복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여성들이 효의식에 대한 모범을 보이지 못할 경우 현재 보다 더 심각한 가정의 문제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의 아름답고 고유한 전통윤리인 효의식을 한국여성들이 모범을 보일 때 결혼이민여성들이 지니고 있는 효의식이 사라지지 않고 그들의 생활양식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더라고 효의식이 높아질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교육과 연습 및 학습을 통한 효의식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연구분석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온 결과는 이들의 성취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신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요구되고 이들이 한국생활에 작 적응하여 자신감있는 여성으로서 가정생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앞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우리의 소중한 생활양식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현대사회와 미래사회에 걸맞는 효의 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가도록 하고 여성들이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취시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힘써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who are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I analyzed that how korean's Hyo consciousness different through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And we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and analyze a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I wish to recover the Hyo consciousnes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keep it that is suitable to today's and future society. Also we are looking forward to inspire the efficiency about themselves. This shows through the statistics that Korean women's Hyo consciousness is lower than the marriage immigrant's women. It means Korean's Hyo consciousness is threatened. So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at consciousness. It is because if Korean women isn't became the model about the Hyo consciousness, it can be caused the serious problem of family in multicultural society. Consquently, we must prevent this problem and Korean women must model to Hyo consciousness. Then the marriage women will have Hyo consciousness and will preserve it and can be their life.

      • KCI등재후보

        대학생활만족의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 효의식과 자기분화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정애 한국효학회 2018 효학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만족스럽게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보호요인에 중점을 두고 효의식과 자기분화 및 대학생활만족 간 상관관계와 효의식과 자기분화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대학생활만족을 위한 보호요인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지역 소재의 대학생 121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효의식과 자기분화 및 대학생활만족도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척도의 신뢰도인 Cronbach‘α를 재확인하였다. 빈도분석 등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효의식과 자기분화, 대학생활 만족도 세 변인 간 정적상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위해 효의식과 자기분화를 독립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하위변인별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식은 약 18.2%의 설명력을, 자기분화는 약 17.0%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의 보호요인으로 효의식과 자기분화의 고취가 요구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tection factors that can keep University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or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 differentiation, efficacy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provide a protection factor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by verifying the effects of self - differentiation and efficacy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1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 area.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self - differentiation, efficacy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Cronbach 'α,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variables were analyzed as static correlation. The effect of self - differentiation 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was about 17.0%, and the effect of the consciousness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as about 18.2%. As a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self - differentiation and HYO Consciousness as a protection factor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효 의식을 매개로 자존감이 변화전략에 미치는 영향

        정정애,이삼여,임미영,김재숙,이정숙,임종윤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의 수강명령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교육생들이 의식하는 효의식과 자존감,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자존감이 변화전략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효의식의 두 변인 간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효의식의 중요성을 고취시킴으로써 수강명령 교육생의 자존감과 변화전략 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등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법원으로부터 수강명령 교육을 선고 받은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존감과 효의식 및 변화전략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각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정적상관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과변화전략 간 효의식의 매개효과분석에서도 유의미한 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변화전략의 각 하위영역(인지평가, 행동전략)에서도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호관찰소의 수강명령 대상자인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등 법규위반 수강명령 교육생에게는 효의식이 자존감과 인지정서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유의미하고, 인지평가전략과 행동평가전략에서도 효의식이 높을수록 법규를 위반하지 않을 가능성과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결과이다. 한 개인의 위법행위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전반에 문제를 확장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행위의 개선을 위해서는 긍정적 행위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교육생들의 자존감과 변화전략 변인의 중심에는 효의식이 부정적 행동을 감소시키는 완충적 역할을 한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므로 교육생의 개인적인 변인들이 효의식과 연관성을 갖고 교육하고 연구된다면 교육생들의 자존감 향상 및 인지평가와 행동전략 향상에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olves trainees who receive an order to attend a lecture and covers HYO consciousness, self-esteem and strategy for change which trainees are aware of.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wo factors about HYO consciousness was analyzed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trategy for chang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data which is necessary for self-esteem of trainees and instruction of change strategy by inspiring the importance of HYO consciousness. The study results for 208 adults who broke traffic rules such as drink-driving, unlicensed driving and received an order to attend a lecture from court are as in the following.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esteem, HYO consciousness and strategy for change showed th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among each sub-factors. There are the meaningful effect of complete mediation and partial mediation i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HYO consciousness between self-esteem and strategy for change, also there are the meaningful mediating effect in the each subordinated area (cognitive-appraisal, action strategy). As the trainees break traffic rules such as drink-driving, unlicensed driving and receive an order to attend a lecture, the effect of HYO consciousness on self-esteem and cognitive strategies is very meaningful. It is the result that the higher HYO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not breaking regul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cognitive assessment strategies and behavioral assessment strategies. It is apprehended that the personal illegal act extends the problem in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family, local community and the society at large. In order to improve the negative action, we need awareness about positive action. The study result is that HYO consciousness functions as the buffer to reduce negative action in the center of factor about self-esteem of trainees and strategy for change. Therefore, if individual factor of trainees is instructed and studied in the condition of linkage with HYO consciousness, we can look forward to more desirable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trainees’ self-esteem, cognitive assessment and behavioral strategie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와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정애,손영철,이정화 통일연구원 2013 統一 政策 硏究 Vol.22 No.2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egree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upon their defecting motive and the relations between those two factors. The researchanalyzed 226 mail response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who graduated fromthe Hanawon and resettled in South Korea.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environmentaladaptation of NK defectors upon defecting motive. Psychological adaptation,however, shows meaningful difference upon defecting motive. According to the defectors’defecting motiv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is different while environmentaladaptation is not. On more specific analysis on psychological adaptation, there were meaningfuldifferences in economic type and future type defectors. This means that future and economictype defectors have better psychological adaptation than political, social typedefectors. Also ther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upon their resilience. Defectors of high level of resilience show better environmental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social adjustmentwith resilience and defecting motive while there’s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higher psychologicaladaptation is observ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e provided as basis tofind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 to help NK defectors’ social adjustment in South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에 따른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차이와 상관관계를 적응유연성과 관련하여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하나원 출신의 남한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총 226명에게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탈북동기에 따른 남한사회 환경적 적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탈북동기에 따른 남한사회 심리적 적응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나타났다. 즉 탈북동기에 따라서 환경적 적응은 달라지지 않지만, 심리적 적응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심리적 적응에 한해, 구체적으로 각각의 탈북동기에 따른 심리적 적응의 차이가있는지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제형과 미래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미래형 동기를 가지고 탈북한 사람과 경제형 동기를 가지고 탈북한사람이 정치형과 사회형의 동기를 가지고 탈북한 사람에 비해 심리적 적응이 높음을 알게 해주는 결과이다. 적응유연성에 따른 남한사회적응에서는 환경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환경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고 할 수 있다. 탈북동기와 적응유연성에 따른 남한사회적응의차이를 알아본 결과 적응유연성과 탈북동기에서는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한사회적응의 두 하위요인인 환경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간에 어떠한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이것은 환경적 적응이 높아짐에 따라 심리적 적응도높아짐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을증진하기 위한 실제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 제공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후보

        효의식과 군생활적응과의 관계 연구

        정정애,강태윤,최애련,박경자 한국효학회 2014 효학연구 Vol.0 No.19

        본 연구는 병사들의 효의식과 군생활적응에 관한 연구이다. 효의식과 병사들의 군생활적응의 관계를 분석함 으로써 효의식 고취의 필요성과 신세대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군생활적응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 ‘충효’사상을 다시 일깨우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육군 병사 총 210명이며 실증적 연구를 위해 병사들의 효의식과 군생활 적응의 차이분석과 상 관관계 분석 및 영향력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효의식과 군생활적응의 계급별 차이분석에서 하위요인별로 병장 집단이 일병 집단보다 효의식이 높 았다. 두 변인간 상관분석에서는 대부분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향력분석에서는 순종의 효의 식과 사후의 효의식이 높을수록 군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성한 의무를 수 행하고 있는 신세대 병사들의 정신건강과 군생활적응을 위한 효의식 고취의 필요성을 일깨워 주는 중요한 자 료로 기대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YO consciousnes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It's specifically mea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O consciousnes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 an effort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spiring solders with HYO consciousnes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o awaken a sense of loyalty and HYO conscious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0 army soldiers. In order to make an experimental study,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soldiers in HYO consciousness and military adjustment was analyz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was analyzed as well. As a result of analyzing any possible differences in HYO consciousness and military adjustment according to rank, the sergeant group had a better HYO consciousness than the private group. When the correlation of the two variables was analyzed, the two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most part. Concerning analysis of influence, the soldiers whose HYO consciousness related to obedience were better and whose post-death HYO consciousness were better were better at military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of great use for proving the necessity of inspiring soldiers of the younger generation with HYO consciousness as a way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nd military adjustment.

      • KCI등재후보

        아동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자기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효의식의 매개효과

        정정애,민주희,이성희,최승숙,김지현 한국효학회 2019 효학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효의식을 매개변인으로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자기표현에 어떻게 영향을 미 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올바른 인격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자료 제공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대상은 강원지역 소재의 아동 청소년 614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효의식, 부모자녀의사소통. 자기표현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척도의 신뢰도인 Cronbach‘α를 재 확인하였고 빈도분석 등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및 매개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교급별 효의식, 부모 자녀의사소통, 자기표현의 세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상관과 부적상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급별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효의식의 매개효과 를 분석한 결과 학교급별 부분적으로 초등 모의 개방형에서 완전매개와 중등 부,모의 개방형과 고등 부의 폐쇄형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학교급 별 학생들의 자기표현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효의식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며 자기표현과 관련하여 부모자녀의사소통과 효의식의 고취가 요구됨을 실천적 함의로 제 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help children to develop their personal growth by analyzing how efficacy consciousness affects as assertiveness a parame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14 students in the Gangwon area.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parents' communication, efficacy and assertiven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21.0 program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Cronbach's alpha. Th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ree variables of school children 's parental communication, HYO consciousness and assertiven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YO consciousness on the assertiveness of the influence of the parent - child communication on the school level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elementary mothers' open type, full mothers, middle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ssertiveness of students in school class is influenced by the communication of parents and the HYO consciousness and it is suggested that parents' have.

      • 학교폭력과 가정폭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정정애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12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7 No.1

        건전한 삶을 유지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영유하는 가정과 평화롭고 친화적인 학교를 지향함은 사회의 목표이다. 그런데 학교폭력은 조직화되고 반인륜적인 모습으로 집단폭력의 고통에 시달리다가 자살을 하는 학생이 있을 정도로 심각성이 큰 사회문제이다. 인과관계가 있는 가정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정책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가정폭력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정부의 가정폭력상담소 등 시설 숫자나 피해 지원 실적은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문화일보-2010.5.20).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폭력과 가정폭력의 학문적 이론을 파악하고, 학교폭력과 가정폭력의 상관관계와 가정폭력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근 3년간 신문보도 자료를 참고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효의식과 관련된 청소년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정정애,임안숙,김명희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3

        본 연구는 발달의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효의식과 관련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의식의 중요성을 고취시킴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과 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두었으며 고등학교 1, 2학년 남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인중에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보호요인으로, 부모양육행동에서 애정이외의 하위요인은 위험요인으로, 또래관계에서 갈등과 배신은 위험요인으로, 학교생활적응은 보호요인으로 본 결과 이들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부모양육행동과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에서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등의 보호요인이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부모양육행동의 보호요인 중 애정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여향을 주었으며 위험요인에서는 비일관성, 학대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보호요인으로 인정과 돌봄, 갈등해결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이는 변인들의 중심에는 효의식과 관련이 있는 부모와의 관계가 부정적 행동을 감소시키는 완충적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므로 청소년의 개인적 · 환경적 변인들이 효의식과 연관성을 갖고 연구된다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of adolescents self esteem and parenting behaviors, peer relationships on school adjustment by examining the impact on school adjustment factors to be identified, as well as the academic basis and students to engage in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be performed to al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ckground variables first in the self esteem, parenting behaviors, peer relationships, School Life Adjustment did not differ. In other words, one high school, two grade boys' self esteem, parenting behaviors, peer relationships, school life adjustment by the background variables did not differ. Second, self esteem, affecting school life adjustment. Self esteem in school life adjustment analysis of the impact of high school, two grade male students with low self esteem factor of a hypothetical self esteem, social self esteem, school self estee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general, however, self este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third parenting behaviors affected school life adjustment. Parenting behaviors in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alysis of the impact of high school, two grade male students with lower factor of parenting inconsistency, abuse, affectionate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justment can be interpreted. However, director, reasoning, excessive expectations, excessive interference, harassment, did not affect the affections. The fourth peer relationships affected school life adjustment. Peer relationships in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alysis of the impact of high school, two grade male students with lower factor of peer recognition and caring relationships, conflict resolu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justment. Conflict and betrayal, books and entertainment, help and patience, mutual intima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of high school, two grade boys were conducted with 178 people. Thus, the research scope is somewhat biased hagieneun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ertain limitations. The future of the country that the data can be generalized to apply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s and methods are expected to be further studied. To increase the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student self esteem, parenting behavior, and the impact of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 will have to be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more satisfied the students to engage in school policy is hoped to be taken.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내현적자기애 성향과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정정애,이삼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bullying and covert narcissism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mode of anger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school interven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0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ree scales that respectively dealt with school bullying, covert narcissism and mode of anger expression. As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9.0 was employed.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the scales were calculated to test their reliabil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the mediator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ffending and victimiz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school bullying.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 expression and anger-i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t and anger control. Second, concer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on narcissism and school bullying(offending and victimization), anger expression, anger-in and anger control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offending of school bullying. Anger-i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victimization of school bullying, but anger expression and anger control had no mediating effects on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every high school is required to offer more intensive support including appropriate interven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lead a healthy, sound school life and improve their peer relationship.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 내 집단따돌림과 내현적자기애의 두 변인 간 상관관계와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적절한 개입방법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과 경기지역의 고등학교 재학생 280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집단따돌림과 내현적자기애 및 분노표현양식의 세 가지의 척도이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은 SPSS Window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해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α를 확인하였고 빈도분석 등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매개변인으로서의 효과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통하여 모형 검증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내현적자기애는 집단따돌림의 하위요인인 집단따돌림 가해와 피해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자기애와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분노조절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내현적자기애, 집단따돌림(가해와 피해)에서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서는 내현적자기애와 집단따돌림 가해와의 관계에서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현적자기애와 집단따돌림 피해와의 관계에서는 분노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나 분노표출, 분노조절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건강하고 바람직한 학교생활과 교우관계를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적절한 개입방법등 학생지원체계 강화가 요구됨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효의식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정정애 한국효학회 2012 효학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청소년의 효의식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사회는 매우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정내 가족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는 가족제도 안에서 우리나라의 전통윤리인 효의식이 희박해져 가는 원인이 되고 있다. 가족유형의 변화는 청소년들의 성장과정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는 과도기로서 내적 불안정과 정신적 부조화를 경험하고 모든 면에서 변화가 큰 시기이다.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은 생활환경의 모든 장면에서의 인간관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바람직한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그리고 그 밖의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가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건강한 청소년 시절을 보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청소년시기의 효의식은 이들의 정신건강에도 많은 상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청소년의 정신적 건강은 가정내 부모와 관련된 효에 대한 의식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효의식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현대적 효에 대한 효의식을 고취하고 건강한 심신을 유지하며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중․고․대학생 총 437명(남 216명, 여 221명)이며 SPSS/WIN 13.0 Version으로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실증적 연구를 위해 청소년의 효의식과 정신건강의 차이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효의식과 정신건강의 성별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의식 수준은 대부분 건전한 상태를 보였다. 정신건강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부정적인 정신건강 상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간 차이에서는 효의식과 정신건강 모두 하위요인 중 부분적으로 고등학생들의 평균이 중학생, 대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의식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효의식과 정신건강의 하위요인 대부분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의식의 하위요인 중 생육의 효가 정신건강의 모든 하위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공경의 효에서 정신건강의 적대감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을 뿐 거의 대부분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가정에서의 현대적 효의식에 대한 교육 및 학습과 실천은 가정내 기능과 역할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며 청소년의 건전한 정신건강의 유지와 청소년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of possibly contributing to which the adolescents encourage HYO consciousness on modern HYO (filial piety), maintain sound body and mind, and proceed with making healthy life, by analyzing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mental health targeting middle-and-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 of research showed that there is no gender-based difference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mental health. Female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more negative mental health status than male students. In the difference by school level, both HYO consciousness and mental health were indicated to be partially higher level in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among sub-factors.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mental health, the HYO((filial p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and all sub-factors among sub-factors of HYO consciousness. The HYO(filial piety) of dutiful respect was indicated to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other factors except hostility. Hence, seeing it from this perspective, the education, learning, and practice on modern HYO consciousness based on traditional HYO consciousness at modern home is expected to be likely to be greatly helpful for supplementing insufficient point of function and role within home and for adolescent's maintaining sound mental health and forming ow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