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별기고 - 유럽연합의 생명공학

        정재준,Jeong, Jae-Ju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9 과학과 기술 Vol.32 No.2

        유럽연합(EU)의 생명공학은 어디까지 와 있는가. EU는 생명공학 연구에서 미국ㆍ일본과 더불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장기프로그램을 세우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81년 연구프로그램 태동과 함께 시작된 생명공학기술개발은 생화학 및 유전공학의 연구결과를 유럽의 농업문야에 응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유럽연합의 생명공학 연구현황을 정재준 재영한국과학기술자협회장의 특별기고를 통해 알아본다.

      • KCI등재

        GIS 기반의 기후지도 제작 방안

        정재준,박가인비,최영은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2

        우리나라는 1962년과 1991년 기후표준평년값을 기반으로 한국기후도를 발간하였으며, 2001년에 이어 2012년까지 총 4회의 한국기후도를 발간하였다. 특히 2012년 발간된 한국기후도는 기존 수작업에 의해 등치선 중심으로 제작하였던 기후도의 틀을 벗어나 GIS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본 논문은 GIS를 기반으로 제작한 한국기후도의 발간과정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지도가 단순한 지도에서 GIS DB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베이스맵 구축에서 지도데이터 구축과 관측지점 위치성과 관리방안을 제시하였고, 내삽방법에서는 크리깅과 행정구역 내삽법을 제시하였으며, 범례 급간 및 색상지정에 대해서는 데이터에 맞는 급간의 분류와 색상 테이블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GIS 기반의 기후지도를 지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면서 기후지도가 단순 지도에서 GIS DB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orean government published climate atlas 4 times in 1962, 1991, a2001, and 2012. Especially, 2012 climate atlas of korea was generated using GIS-based technology replacing conventional manual contour drawing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solve some problems occurring in climate map making processes and propose some policies to convert climate maps from simple maps to GIS databases. In base map generation, base map generation methods and quality control methods of observation stations are proposed. In interpolation, kriging and polygonal interpolation methods are proposed and class intervals and color scheme are designated. Futhermore, future environments and some policies to generate climate maps are proposed.

      • KCI등재

        오피스텔 건축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이후 건립된 대구광역시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

        정재준,이근택,김주향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3

        오피스텔은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다원적인 특성을 반영한 복합건물 중 하나로 특히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피스텔이 시대에 적합한 주거형태임을 인식하고 '1인 또는 2인 가구'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도심 주거공간을 제안하고 '오피스텔'에 대한 계획방향과 지침의 근거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한 개념적 분석,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주거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소비자와 전문가들의 인식의 주거공간 수요,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양질의 만족도로 사용자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기획요소의 성향을 반영한 지역오피스텔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범위는 대구지역에 2000년 이후에 지어진 오피스텔 중 단층건물로 공간적, 시간적으로 한정되었다. 이것은 2004년 오피스텔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점을 제외하고는 규제가 완화되고 있고, 최근 신축된 시설은 현대인의 다양한 니즈를 최대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Pedobacter jeongneungensis sp. nov., Isolated from Forest Soil

        정재준,박우준 한국미생물학회 2012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0 No.4

        Strain BH45T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of Mt. Bukhan in Jeongneung, Seoul, Korea. The Gram-staining-negative strain BH45T grows at 4–30°C (optimum of 25–30°C) and between pH 5–8 (optimum of pH 6–8). Its major cellular fatty acids are C18:3 ω6c (6,9,12) and C10:0. The G+C content of genomic DNA was 40.2 mol%. The major respiratory quinone system in strain BH45T is menaquinone-7.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indicates that strain BH45T is closely related to the genus Pedobacter. Sequence similarities with P. terrae KCTC 12762T, P. suwonensis KACC 11317T, P. soli KACC 14939T, P. alluvionis DSM 19624T, P. roseus KCCM 42272T, P. yonginense KCTC 22721T were 97.5,97.1, 97.0, 97.0, 97.0, and 96.0%, respectively. DNA-DNA hybridization results distinguish strain BH45T from two Pedobacter species with high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ies. According to the phenotypic and molecular data, the strain BH45T clearly represents a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Pedobacter; thus, the name Pedobacter jeongneungensis sp. nov. is proposed for this strain. The type strain is BH45T (=KACC 15514T =JCM 17626T).

      • 이온결합 구조를 갖는 가교고분자가 외벽을 형성하는 강화 Microcapsule의 제조방법

        정재준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향기 등 기능성 물질을 가교고분자로 마이크로캡슐화 하였다.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은 불용불융성을 나타내므로, 용매 또는 고온에서 가공이 가능하다. poly (styrene-maleic anhydride)를 물에 넣고, NaOH로 가수분해하여 수용성을 갖게 하였다(Na-PSMA). 유기계 기능성물질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물과 함께 교반하여 콜로이드를 제조하였다. Na-PSMA 수용액을 넣은 후 CaCl2를 첨가하였다. Na-PSMA는 Ca++ 이온과 반응하여 침전되는 과정에서 콜로이드 입자에 부착하여 벽을 형성한다. 콜로이드 용액의 온도를 가열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콜로이드 입자를 회수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제조한 마이크로 캡슐의 구조를 TEM과 SEM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TGA오 고온에서의 질량감소를 측정하였다. Ca-PSMA는 300°C의 온도에서도 분해되지 않아, 내열성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Microbulbifer agarilyticus GP101 possessing genes coding for diverse polysaccharide-degrading enzymes

        정재준,배승섭,다운,백경화,Jung, Jaejoon,Bae, Seung Seob,Chung, Dawoon,Baek, Kyunghwa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3

        Microbulbifer agarilyticus GP101은 소라(Turbo cornutus)의 내장에서 분리되었으며 해조류 유래 다당류인 한천, 알긴산, ${\kappa}$-카라기난을 분해하는 특징이 있다. GP101 균주의 유전체는 4,255,625 bp 크기로 3,458개의 코딩 서열을 포함하며 55.4%의 GC 함량을 가진다. BLASTP 분석 결과 7개의 agarase, 5개의 alginate lyase, 10개의 glucanase, 4개의 chitinase, 2개의 xylanases, 1개의 ${\kappa}$-carrageenase, 1개의 laminarinase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M. agarilyticus GP101의 유전체 정보는 다당류의 생물전환 공정에 이용할 수 있는 유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icrobulbifer agarilyticus GP101 was isolated from the gut of a marine invertebrate Turbo cornutus and capable of degrading polysaccharide such as agar, alginate, and ${\kappa}$-carrageenan constituting algal cell wall. To obtain genomic basis of polysaccharide-degrading activity, we sequenced genome of strain GP101. The genome consists of 4,255,625 bp, 3,458 coding sequences with 55.4% G + C contents. BLASTP search revealed the presence of seven agarases, five alginate lyases, ten glucanases, four chitinases, two xylanases, one ${\kappa}$-carrageenase, and one laminarinase. The genomic data of strain GP101 will provide potential uses in the bioconversion process of diverse polysaccharide into bioenergy and biochemicals.

      • KCI등재

        우리나라 수치지형도의 도엽번호 체계 개선 방안

        정재준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4

        Maps have specific map numbers according to map scales and map boundary. Map numbers of Korean topographic maps are determined as latitudes and longitudes of map boundary. Calculating geographic locations of Korean digital maps with map numbers has some complicated process and map numbers of large scale digital maps do not contain map numbers of small scale digital maps.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wo new map numbering systems are proposed; one is 1:50,000 scale based map numbering system and the other is 1:25,000 scale based map numbering system. In new map numbering systems, map numbers of large scale digital maps contain map numbers of small scale digital maps. In newly proposed 1:25,000 scale based map numbering systems, latitudes and longitudes of Korean digital maps boundary are easily calculated with simple arithmetic operation using only map numbers. Changing map numbering systems can results in some long period confusion. Therefore, after alternative map numbering systems including proposed map numbering systems are compared, new Korean digital map numbering system has to be adopted to overcom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map numbering system. 지형도는 축척과 실제 지리적 범위를 나타내는 도곽의 위치에 따라 고유한 도엽번호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지형도는 경위도를 기준으로 도곽이 설정되기 때문에 경위도를 기준으로 하는 도엽번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수치지형도는 도엽번호 만으로 도엽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절차가 다소 복잡하고, 동일한 지역을 나타내는 축척이 다른 지도의 도엽번호 간 포섭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수치지형도 도엽번호 부여 방식으로 1:50,000을 기준으로 도엽번호를 부여하는 방안과 1:25,000을 기준으로 도엽번호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두 방식 모두 널리 사용되는 1:25,000, 1:5,000, 1:1,000 수치지형도에 대해서는 도엽번호로 도엽 간 포섭관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1:25,000 기준 도엽번호 부여방식은 도엽번호 만으로 도곽의 위치를 산술적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엽번호 체계를 변경하는 것은 상당 기간에 걸쳐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비롯한 여러 가지 대안을 면밀히 검토한 후, 현재의 수치지형도 도엽번호 체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수치지형도 도엽번호 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개발가능지 추출을 위한 물리적 측면의 도시성장 예측

        정재준,김형태 국토지리학회 2008 국토지리학회지 Vol.42 No.3

        Urbanization is worldwide phenomenon and unexceptional in Korea. It is necessary in the spatialdecision making to predict urban forms for the efficient land us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urban growthpattern of Seoul metropolitan area(SMA), we use satellite imagery and digital road map. And then, we extract thedevelop area in SMA based on allometry and cellular automata urban growth model. In the model, urban area andpopulation are used in calculating the newly urbanized area. Experiments show that western and southern area ofSMA are newly developed. Although this research is an exemplary urban growth model dealing with physical dataonly, it can be a good start to develop a more practical model having socio-economic sides for planning practices. 20세기 이후 도시화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며 우리나라 역시 급속한 도시화를 경험하고 있다. 도시와 관련된 공간의사결정과정에서 미래의 도시 형태를 객관적인 모델에 의해 예측하는 것은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대단히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도권의 도시성장 현황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하여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도시인구와 도시면적사이의 상대생장이론에 기초하여 개발지의 총량을 결정한 후, 결정된 총량을 셀룰라 오토마타에 기반한 도시성장 모델에 입력하여 수도권의 개발가능지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수도권의 경우 서부와 남부로의 도시성장이 예측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물리적 측면을 고려한 수도권의 개발가능지를 추출한 것으로 수도권 개발에 관련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