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날씨정보표현 보조조명 개발

        박주용(Park, Joo Yong),엄영식(Um, Young Sik),정인혁(Jung In Hyuk),정유진(Jung You Ji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인간의 불의 발견 이후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조명은 없어서는 안 되는 도구가 되었다. 최초 불로 시작했다고 보는 인공조명의 역사는 발열이 많이 되는 연소방식의 조명에서 전기방식의 조명으로의 전환과 전자방식의 조명으로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조명의 사용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조명의 이런 역사적,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현대의 조명의 역할은 단순히 특정 공간이나 위치를 광원을 통해 밝게 해주는 기능에서 멈추지 않고 확장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확장되기 시작했으며, 실내용 조명에 있어서는 특정 장소를 밝히는 목적을 넘어서 조명의 효과가 주는 매력감, 압박감 등의 감성적 특성을 통해 공간에 대한 개성을 부여하고 감정을 유발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런 조명에 대한 개념적 확장은 조명의 용도와 역할을 넘어서 그 자체로 미적인 부분 등의 추가적 목적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특히 미학적인 관점에서는 조명이 유휴상태일 경우 조명 자체의 미적인 감성을 충족시키는 부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명의 개념적 확장의 부분에서 조명 자체의 기능을 넘어서 조명이 유휴상태일 때에도 다른 기능, 즉 정보전달을 해주는 매체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는 가능성에 대해 고민하였다. 정보의 출처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정보가 유통되는 플랫폼인 웹으로부터 얻는 방법을 구상하였으며, 대표정보로는 날씨정보를 선택하였다. 특히 정보제공업체에서 제공해 주는 API1)를 활용하였는데, 날씨 정보 API를 활용한 방법은 최근 유행하는 SNS나 여타 인터넷 프로그램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활용방법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SNS등의 다양한 방법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며, 이것은 날씨표시 보조조명의 가능성을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런 가능성을 현재의 조명이 광원, 배광형태, 설치위치에 따라 어떤 특성을 갖는지 조사 후, 조건에 맞는 조명의 형태와 특징을 유추해 내었으며, 이 결과를 이용해 실제 프로토타입 제작을 하여, 인터넷 정보표시 보조조명의 가능성에 대해 확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단하지만 다양한 방식의 정보표현이 가능한 조명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접근을 해보았으며,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정보표현의 내용은 그 제공 데이터에 따라 무한한 확장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표현 방식과 다양한 정보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조명제작에 기여할 것이다. Lighting has been essential to human life since the discovery of fire. Since the history of artificial lighting was initially derived from fire, it has been switched from combustion lighting systems generating high heat to electric lighting system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lighting has changed human light usage radically. The historic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lighting has kept expanding the role of modern lighting. That is, the functionality of simply lighting up a particular area or location has been expanded for a wide variety of purposes. Therefore, indoor lighting fixtures have begun to express individuality and to induce feelings for space through lighting effects beyond the purpose of illuminating a particular place because lighting effects can bring about emo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ttractiveness and pressure. The extended concept of lighting focuses on meeting additional purposes such as aesthetic aspects beyond its basic purpose and role.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to meet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the lighting itself in the idle state.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extend the concept of lighting to support other lighting functions such as information delivery even in its idle state beyond its own capabilities. In particular, we have implemented the prototype by using weather API on the Web platform which distributes most information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sing weather information API to create a series of prototypes and using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recently popular SNS and other internet programs. Therefore, the approach using weather information is also expected to be extended in other various wa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structural implementation in many different ways. In particular, we have tried to keep the emotional aspects through the dynamic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with the surface light source rather than the efficiency aspects through the detailed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with the point light source matrix. However, the proposed view and approach can be reconfigured in other various ways. In this study, the potential lighting system is expected to be actualized in order to support the simple but multiple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KCI등재

        한국인 볼굴대의 위치

        안희준(Hee-Jun Ahn),조호정(Ho-Jung Cho),남용석(Yong-Seok Nam),한승호(Seung-Ho Han),정인혁(In-Hyuk Chung),김인범(In-Beom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6 No.4

        볼굴대는 입꼬리 가쪽에서 얼굴의 여러 근육들이 얽혀 덩어리진 곳으로 나이, 성별, 인구집단, 개인에 따른 차이가 있다. 한국인의 경우 시신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볼굴대가 입꼬리사이선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나이가 들면서 얼굴의 표정근육이 처지는 경향이 있는데, 의과대학에서 사용하는 대부분 시신은 나이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아있는 젊은 사람의 볼굴대 위치를 확인하고 시신을 이용한 연구와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평균나이 24 (21~29)세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학생 100명이었으며, 연구자가 직접 손을 이용하여 볼굴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실험대상자의 입꼬리를 기준으로 가쪽으로 수평거리와 위?아래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볼굴대는 입꼬리를 기준으로 평균 가쪽으로 14.4 mm, 아래쪽으로 1.6mm에 위치하였으며, 200쪽 중 124쪽(62%)은 입꼬리점보다 아래에 위치하였다. 남녀 간의 수평거리와 오른쪽, 왼쪽의 수직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유형에 따라 양쪽 볼굴대가 대칭인 경우가 6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나이든 한국인 시신에서 볼굴대 위치를 확인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다수의 한국인에서 볼굴대는 입꼬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odiolus is convergence of the facial muscles at the angle of the mouth, and its shape and size varying with individual, age, sex and ethnicity. In the previous study, the modiolus was usually located under the horizontal line at the mouth angle. In most medical schools, the cadavers are of later ages and their facial muscles have lost their elasticity as they got ol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modiolus in live young Korean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Korean cadavers from the previous study. Participants were one hundred students of the catholic medical school with a mean age of 24 years. Experimenter palpated the modiolus of each student with thumb and index finger. The average young live Korean modiolus was located at 14.4 mm lateral to mouth angle and 1.6 mm below the horizontal line of the mouth angle. Commonly, it is located below the mouth angle in 124 sides (62%).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horizontal distance of female and of male, and vertical distance of right and of left. The location of the modiouls was symmetric in 67%.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using Korean cadaver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ation of the modiolus is below to the mouth angle in large number of Koreans.

      • SCOPUSKCI등재

        펠턴 터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계수에 관한 이론적 분석

        정인혁(In Hyuk Jung),박주훈(Joo Hoon Park),김영수(Young Soo Kim),신유환(Youhwan Shin),정진택(Jin Taek Chung)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펠턴 터빈의 성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기존 이론식을 검토하고 분석에 적합한 이론식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론적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케이싱 형상 및 체적에 따른 펠턴 수차의 성능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케이싱 형상은 직사각형과 원형 케이싱에 대해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고, 제시된 이론 방법을 통해 길이와 폭, 반경 등에 따른 케이싱 내 풍손실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케이싱 체적 및 형상은 풍손실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며 케이싱 체적이 작아질수록 풍손실이 감소되고 효율은 증가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펠턴 터빈에서 발생하는 여러 손실에 대한 분석 및 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풍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싱 설계에 유용할 것이다.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elton turbines theoretically, the conventional loss models were examined and the theoretical formula suitable for the analysis was selected. A theoretical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according to casing shape and volume to verify the theoretical analysis method. The performance test was performed for rectangular and circular casing, and the amount of windage loss in casing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y casing design parameters through the proposed theoretical method. It is considered that the casing volume and shape have a dominant influence on the windage loss. As casing volume decreases, the windage loss decreases, and the efficiency increases invers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losses occurring in Pelton turbines. Especially, the study will be useful for casing design that minimizes windage loss.

      • KCI등재

        한국인 경골 근위부분의 형태계측

        정민석(CHUNG Min Suk),신정기(SHIN Jung Ki),조희중(Cho Hee Jung),주강(JOO Kang),정인혁(CHUNG In Hyu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2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5 No.2

        한국인 경골 188개(남자 146개, 여자 42개)를 대상으로 근위부분에서 여러 구조들의 크기를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골 윗면의 가로길이는 73.4㎜(남자)와 67.8㎜(여자)였다. 2 내측관절융기의 가로길이는 29.8(남자)와 27.6㎜(여자)였고 앞뒤길이는 48.1㎜(남자)와 43.6㎜(여자)였으며, 외측관절융기의 가로길이는 30.7㎜(남자)와 27.2㎜(여자)였고 앞뒤길이는 39.7㎜(남자)와 35.9㎜(여자)였다. 3 내측과 외측 결절 사이 길이는 11.3㎜(남자)와 10.6㎜(여자)였으며, 내측결절의 높이는 9.8㎜(남자)와 8.9㎜(여자)였고 외측결절의 높이는 7.5㎜(남자)와 6.2㎜(여자)였다. 4 경골기친면의 중심에서 경골의 중간선까지의 길이는 11.9㎜(남자)와 10.5㎜(여자)였고, 외측관절융기의 윗면까지의 길이는 37.4㎜(남자)와 34.4㎜(여자)였다. 경골기친면의 중심 높이에서 경골의 가로길이는 48.8㎜(남자)와 45.1㎜(여자)였고, 앞뒤길이는 41.3㎜(남자)와 37.9㎜(여자)였다. 5 비골관걸면의 최대지름은 16.6㎜(남자)와 16.0㎜(여자)였고, 최소지름은 14.4㎜(남자)와 12.8㎜(여자) 였다. 6 이상의 계측치 들은 모두 오른쪽과 왼쪽의 차이가 없었으면, 경골 윗면의 가로길이는 내측과 외측 관절융기의 가로길이, 앞뒤길이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