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권기철 ( Ki Cheol Kwon ),한성안 ( Sung An Han ),이돈구 ( Don Koo Lee ),정인권 ( In Kwon Jung ),서용진 ( Yong Jin Seo ),홍의표 ( Eui Pyo Hong ),최환석 ( Hwan Suk Choi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inus densiflora is an essential tree species native to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covers most of the total natural forest areas in the RO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 densiflora forests distributed at sites where P. densiflora covered over 50% of the stand basal area during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period from 2016 to 2020. P. densiflora dominated 3,665 circular sample plots (400 ㎡). P. densiflora forests predominated at elevations less than 600 m above sea level (a.s.l). However, most P. densiflora forests were distributed at the slopes facing south and west over 800 m a.s.l. At altitudes below 800 m, they were distributed at all slopes but dominated at the southern and western slopes. P. densiflora grew mainly in the soils of sandy loam, loam, or silt loam with relative infertility. Dominant tree species distributed with P. densiflora were Quercus mongolica, Q. variabilis, Q. serrata,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and Castanea crenata by the descending order. P. densiflora, P. thunbergii, and P. rigida were grown in large DBH classes, Quercus species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 middle DBH classes, while Juniperus rigida and Styrax japonicus in small DBH classes. Dominant tree species distributed mainly at the lower layer of P. densiflora stands were Rhododendron mucronulatum, Q. serrata, Lindera obtusiloba, Fraxinus sieboldiana,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by the descending order.

      • KCI등재

        한국 신갈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신구택,전창석,Kwon, Ki Cheol,Han, Sung An,Lee, Don Koo,Jung, In Kwon,Seo, Yong Jin,Shin, Ku Taek,Jeon, Chang Seok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Quercus mongolica is an important deciduous tree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it covers most of the total natural deciduous forest area in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Q. mongolica forests were investigated at sites where Q. mongolica occupied >50% of the total basal area during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period (2016-2020). The total number of circular sample plots (400 m<sup>2</sup>) of Q. mongolica forests was 1,421. These forests were mainly dominant at >800 m above sea level (a.s.l). However, they were also distributed on north-facing slopes at <600 m a.s.l. and gradually on southern slopes with ascending altitudes. Quercus mongolica forests were distributed in silt loam, loam, or sandy loam soils with relatively high fertility. Dominant species distributed with Q. mongolica included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cer pseudosieboldianum, Fraxinus rhynchophylla, and Quercus serrata. Pinus densiflora and Q. variabilis grew in large DBH classes, Q. serrata grew in middle DBH classes, and A. pseudosieboldianum and F. rhynchophylla grew in small DBH classes. The dominant species distributed at the lower layer of Q. mongolica forests were Sasa borealis,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Q. mongolica, and Fraxinus sieboldiana.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중요한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에 대한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출현임목의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신갈나무가 50% 이상 우점하고 있는 임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신갈나무림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형조사구(400 m<sup>2</sup>) 수는 총 1,421개소이다.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신갈나무림은 해발 800 m 이상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평균 35%)을 보이고 있어 해발고가 높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고 있었다. 사면방향을 보면, 해발 600 m 이하에서는 주로 북사면에서, 그 이상부터는 남사면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토성은 주로 미사질양토(34%), 양토(33%), 사양토(26%)이며, 토양양분 수준은 보통이었다. 신갈나무림에서 신갈나무 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소나무, 굴참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와 굴참나무는 신갈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졸참나무는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당단풍나무와 물푸레나무는 소경급으로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조릿대,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건샛줄멸의 식품성분 특성

        허민수(Min Soo Heu),이재형(Jae Hyoung Lee),김형준(Hyung Jun Kim),정인권(In-Kwon Jung),박용석(Yong-Seok Park),하진환(Jin-Hwan Ha),김진수(Jin-S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7

        제주특별자치도의 특산품으로 개발한 마른샛줄멸의 효율적 이용, 마케팅 및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마른샛줄멸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이를 동해안산 및 남해안산 멸치의 식품성분과도 비교, 검토하였다. 자건샛줄멸의 수분함량 및 염도는 각각 27.2% 및 7.0%로 한국산업규격에 적합하였다. 자건샛줄멸의 지질은 근육(건물 당 5.8%)에 비하여 내장(건물 당 15.2%)에 다량 존재하였으며, 이를 구성하는 지방산 중 DHA의 경우 조성비가 28.5%로 상당히 높았다. 자건샛줄멸의 지질산화 정도는 고품질 남해산 자건멸치와 유사한 정도이었다. 자건샛 줄멸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자건멸치에 비하여 약간 낮았으나, 칼슘과 인의 경우 약간 높았다. 자건샛줄멸의 맛은 강도에 있어서는 자건멸치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나, 전체적인 경향은 유사하였다. 이상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및 관능적 평가 결과 자건샛줄멸은 고유의 색이 명확하고 표면의 비늘이 유지되어 있어 자건멸치의 고품질 대용품으로 충분히 이용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For the effective use of under-utilized resources, silver-stripe round herring (SSRH), the boiled-dried SSRH was investigated on the food component and sensual characterization. Moisture content and salinity of the boiled-dried SSRH were 27.2% and 7.0%, respectively, which were in the range described in Korean Industrial Standards. In the lipid content of the boiled-dried SSRH, viscera was higher in viscera than muscle.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boiled-dried SSRH were 16:0 (23.9%), 18:1n-9 (9.5%), and 22:6n-3 (DHA, 28.5%). The degree of lipid oxidation of the boiled-dried SSRH was similar to that of the boiled-dried anchovy caught in the southern sea. When compared to the boiled-dried anchovies, the boiled-dried SSRH was lower in total content of amino acid, while was higher in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The boiled-dried SSRH was higher in taste strength, while was similar in the taste pattern to the boiled-dried anchov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emic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boiled-dried SSRH could be substituted for boiled-dried anchovy classified into special grade.

      • KCI등재

        수입식품 부적합정보 및 글로벌식품 위해정보를 활용한 우리나라 수입식품 안전관리 방안

        백서준 ( Seo Jun Baek ),정인권 ( In Kwon Jung ),이병곤 ( Byoung Gon Lee ),김정민 ( Jung Min Kim ),안창준 ( Chang Jun Ahn ),정희석 ( Hee Seok Jung ),최준호 ( Joon Ho Choi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23 산업 식품공학 Vol.2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zard factors based on imported food non-compliance and global food hazard information for the last 4 years to suggest imported food safety management. Food safety management on utensils or packaging containers is appropriately managed for the compounds derived from them. Food safety management on health-functional foods, processed foods, and agricultural products is concentrated on ingredient contents, food additives, and pesticide residuals. Additional hazards are illegal compounds, mycotoxins & pesticide residuals, hygiene-indicator microorganisms and food-borne pathogens in health-functional foods, processed foods, and agricultural products, respectively. The continuous increase in hazards related to safety and hygiene in global food hazard information needs additional attention. To reduce the hazard factors, this study proposes that imported food be limited to products certified by HACCP or an equivalent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because registering foreign food facilities for processed and health-functional foods is mandatory. Additionally, the customs clearance inspections should focus on the hazard factors derived from the global food hazard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suggests a global food hazard information system that could derive frequently issued hazard factors at a given period and newly issued hazard factors in aspects, such as food items, subcategories, and exporting countries.

      • KCI등재

        시판 소건 샛줄멸의 식품성분 및 관능 특성

        김형준(Hyung Jun Kim),윤민석(Min Seok Yoon),박용석(Yong-Seok Park),하진환(Jin-Hwan Ha),정인권(In-Kwon Jung),허민수(Min Soo Heu),김진수(Jin-S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1

        제주특별자치도의 특산품으로 개발한 소건 샛줄멸의 효율적 이용, 마케팅 및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소건 샛줄멸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이를 자건 샛줄멸 및 자건 멸치의 식품성분과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함량 및 염도는 소건 샛줄멸이 각각 31.9% 및 7.6%로, 자건 샛줄멸(각각 27.2% 및 12.3%) 및 자건 멸치(각각 22.8% 및 15.4%)에 비하여 수분함량의 경우 높았고, 염도의 경우 낮았다. 과산화물값, 지방산 조성, 황색도 및 갈변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지질의 산화정도는 소건샛줄멸이 자건 샛줄멸 및 자건 멸치에 비하여 높았다. 소건샛줄멸이 자건 샛줄멸 및 자건 멸치에 비하여 총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낮았으나, 칼슘과 인 함량의 경우 높았다. 열수가용성 질소,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및 taste value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소건 샛줄멸의 맛은 강도 및 경향에서 모두 자건 샛줄멸뿐만이 아니라 자건 멸치에 비하여도 우수하였다. 소건 샛줄멸은 자건 샛줄멸에 비하여 맛 및 형상에서 우수하였으나 반드시 비린내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or the effective use of under-utilized resources, silver-stripe round herring (SSRH), the plain-dried SSRH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boiled-dried SSRH and boiled-dried anchovy on the food component and sensual characterization. Moisture content and salinity of the plain-dried SSRH were 31.9% and 7.6%,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 of the plain-dried SSRH was higher, while the salinity was lower than those of boiled-dried SSRH and anchov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eroxide value, fatty acid composition, Hunter b value, and browning index, the rancidity was higher in plain-dried SSRH than in boiled-dried SSRH and anchovy. When compared to the boiled-dried SSRH and anchovy, the plain-dried SSRH was higher in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while lower in total content of amino aci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ot-water soluble-N, trichloroacetic acid-N, free amino acid, and taste value, the taste of plain-dried SSRH was superior to those of the boiled-dried SSRH and anchovy. The results of chemic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plained-dried SSRH could be substituted for boiled-dried anchovy classified into special grade, if fish odor of SSRH can be improved.

      • SCOPUSKCI등재

        폴리아미드6/반응성 포리프로필렌 블렌드계에서 SEBS-g-MA의 충격개선효과

        고재송,윤태성,정인권,최형기,장윤호,Koh, Jae Song,Yoon, Tae Sung,Jung, In Kwon,Choi, Hyeong Ki,Jang, Yoon Ho 한국공업화학회 1999 공업화학 Vol.10 No.8

        PA6/PP-g-MA 블렌드계에 상용성 충격개선제로서 SEBS-g-MA를 첨가하여 용융혼합하였고 기계적 물성과 모폴로지 변화를 조사하였다. SEBS-g-MA의 첨가에 의해 인장강도는 약간 감소하지만 파단신율은 증가하였다. 충격강도는 PP-g-MA와 SEBS-g-MA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는 무수말레산의 카르복시기와 아마이드의 반응에 의해 계면접착력과 상용성의 개선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zer(DMTA)를 이용한 tan ${\delta}$의 변화에서도 전형적인 고분자 블렌드의 상용화거동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이 블렌드물의 상구조를 관찰한 결과에서도 SEBS-g-MA의 첨가에 따라 분산상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상용성과 계면접착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Melt blend of PA6/PP-g-MA system containing SEBS-g-MA as a compatible impact modifier was prepar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ies. The tensile strength slightly decreased, but the elongation at break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SEBS-g-MA in the blend. Also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P-g-MA and SEBS-g-MA. It is attributed to improved compatibilization and interfacial adhesion by reaction of the amide of PA6 with maleic anhydride of SEBS-g-MA and PP-g-MA. The result of dynamic mechanical analysis(DMA) showed a typical behavior of the compatibilization in the polymer blends. Finally, in the phase structure observed by the use of SEM, we confirmed improvement of the compatibilization and interfacial adhesion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SEBS-g-MA and PP-g-M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내시경점막절제술로 치료한 출혈을 보인 위 융모샘종 1예

        손혁수 ( Hyuk Su Son ),김성욱 ( Sung Uk Kim ),손종원 ( Jong Won Sohn ),정인권 ( In Kwon Chung ),전성우 ( Seong Woo Jeon ),정민규 ( Min Kyu Jung ),김성국 ( Sung Kook Kim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6

        위 샘종성 용종은 과형성 용종 다음으로 흔하며 대부분관상샘종이다. 하지만 융모샘종은 결장에서는 흔히 발생하지만 상부위장관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급성 또는 만성 출혈을 흔히 동반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가 없다. 이번 증례에서는 활동성 출혈을 보이는 위 용종을 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치료 후 융모샘종으로 확인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Villous adenomas of the stomach are rare, although they more frequently occur in the colon and rectum. Clinical symptoms are similar to gastric polyps, but acute or chronic bleeding with anemia occurs frequently. The size of tumors varies between 4 and 6 cm, and the malignant potential is greater when the tumor is larger. Complete resection with surgery or endoscopic resection is the treatment of choice. Endoscopic findings revealed a dome-like or pedunculated appearance. Microscopically, the tumor was composed of long fronds and papillations covered by columnar epithelia with a reduced number of goblet cells. We report a case of polyps with chronic intermittent and acute bleeding for 6 months, which was alleviated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was confirmed as a villous adenoma. (Korean J Med 2011;80:703-707)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