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적 창의성과 사랑유형 및 상호이해, 관계만족의 관계

        정은이(Jeong, Eun-I)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2

        본 연구는 일상적 창의성과 사랑유형, 상호이해 및 관계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상적 창의성과 사랑 유형 및 상호이해, 관계만족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일상적 창의성과 열정적 사랑, 실용적 사랑, 헌신적 사랑 그리고 상호이해, 관계만족과 비교적 높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일상적 창의성의 하위 요인들이 사랑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열정적 사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안적 해결력과 독창적 유연성이었고, 실용적 사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안적 해결력과 개성적 독립성 그리고 헌신적 사랑에는 이타적 자아확신과 대안적 해결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호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창의성 하위 요인은 관계적 개방성과 이타적 자아확신이었고 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관계적 개방성과 탐구적 몰입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적 창의성이 높은 사람들이 낭만적이며 이성에 대한 몰입을 보이는 사랑과 상대방의 조건을 고려하고, 비요구적이며 이타적인 사랑을 많이 함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또한 일상적 창의성이 높은 사람들은 연인과의 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더 많이 하고 관계 자체를 긍정적으로 지각하여 만족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 of everyday creativity to love attitud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surveyed 234 college students from Seoul,Gyeonggi,and Chungnam. There 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everyday crea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romantic love, pragmatic love, possessive love, altruistic love,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the subcomponents of everyday creativity were studied in relation to love attitud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al satisfaction. Romantic lov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alternative solvability and original flexibility among the subcomponents of everyday creativity. Pragmatic love was predicted by alternative solvability and characteristic independence predicted pragmatic love, while altruistic love was predicted by altruistic self-confidence and alternative solvability. In addition, mutual understanding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concerned openness and altruistic self-confidence, and relational satisfaction was predicted by concerned openness and exploratory flow. These results imply that people with high everyday creativity experience moreromantic and flowing love and more unconditional and altruistic love. Also, they tend to more understand their partners and tend to perceive their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with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 주도성과 대학 적응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도 및 진로 역량의 매개 효과

        정은이(Jeong Eun I)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 주도성이 다양성 수용도와 진로 역량을 매개로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정한 가설 모형인 완전 매개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 자기 주도성, 대학 적응, 다양성 수용도, 진로 역량 간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매개 분석 결과, 다양성 수용도, 진로 역량이 대학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자기 주도성이 다양성 수용도와 진로 역량에 의해 완전 매개 되는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 주도성이 다양성 수용도 및 진로 역량을 매개로 하여 대학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자기 주도성이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다양성 수용도와 진로 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진로 발달 및 대학 적응과 관련하여 교육적 개입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apt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areer competency and diversity accept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0 college students using a survey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Fit indices of the proposed path analytic model were goo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rimary variables of interest such as self-directedness, college adaptation, career competency, and diversity acceptability. Second, diversity acceptability and career compet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adaptation andalso they ha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ollege adaptation. That is, self-directedness indirectly influences college adaptation through diversity acceptability and career compet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reer competency and diversity acceptabilit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where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self-directedness affects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 KCI등재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정은이(Jeong Eun I)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과 교수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좋은 수업의 특성으로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재미있는 수업,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자유롭고 개방적인 수업, 다양한 수업 자료 활용,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한 수업, 유용한 지식 전달, 토론식 수엽, 깨달음을 주는 수업, 이해하기 쉬운 설병, 적절한 예 제시, 학생 수준에 맞는 수엽, 몰입할 수 있는 수업,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수엽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수들은 좋은 수엽의 특성으로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깨달음을 주는 수업, 학생이 참여하는 수엽, 유용한 지식을 전달하는 수엽, 동기유발을 시키는 수업, 이해하기 쉽게 설명, 재미있는 수업, 장의적 문제 해결력을 키워주는 수업, 적절한 예 제시, 철저한 사전 준비, 다양한 수업 자료 활용, 학생 수준에 맞는 수엽, 토론식 수업, 자유롭고 개방적인 수업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생과 교수들은 공통적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재미있고 유용한 지식을 전달해 주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대학생들은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수업을, 교수들은 학생들을 동기유발시키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워주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좋은 수업을 설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or courses that college students and professors perceived. The results from qualitative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that students perceived included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terestingness, opportunity for student participation, openness/flexibility, use of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ethods, provision of useful knowledge, use of discussion, insightfulness, clear explanation, use of appropriate examples, consideration of student ability-level, engagingness, attainment of class objectives, and so on. Second, professors responded that good teaching would involv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sightfulness, opportunity for student participation, provision of useful knowledge, motivating students, clear explanation, interestingness, creative problem-solving, use of appropriate examples, well-preparedness , use of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consideration of student ability-level , use of discussion, flexible and open atmosphere, and so on. Third, the common key elements of good teaching perceived by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ducement of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provision of useful knowledge with fun. Finally,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ir perceptions about good teaching was that professors put importance on motiva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while students emphasized use of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These results form a basis for implementing good teaching and provide an implication for future direction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상담경험 유무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에 대한 신념과 회복탄력성 차이

        정은이(Jeong Eun 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상담경험 유무에 따라 상담신념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의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기초통계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신념과 하위 요인 모두 상담경험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상담경험이 있는 대학생에 비해 상담경험이 없는 대학생이 회복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 관계성, 커뮤니케이션능력, 공감능력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상담 경험자에 비해 집단상담 경험자가 상담신념의 하위 요인 중 상담의도와 전문성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상담 경험자에 비해 집단상담 경험자가 회복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원인분석력, 감정통제력,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 관계성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담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경우 상담횟수와 상담만족도, 상담신념, 상담의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회복탄력성과 상담만족도 및 상담신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담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경우 상담신념과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과 상담신념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상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and resilience depending on whether college students’ counseling experience or not. Data were collected from 223 students in a C college located in Chungnam. Results from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and factors depending on whether counseling experience or not. Second,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no experience in counseling had higher scores on resilience and cause analysis ability, impulse control ability, thankful attitudes, life satisfaction, optimism, relationships,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ability than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ounseling. Third,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in group-counseling had higher scores on counseling intent and expertness than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in individual-counseling. Fourth,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in group-counseling had higher scores on resilience and cause analysis ability, emotional control ability, thankful attitudes, life satisfaction, optimism, relationships than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in individual-counseling. Fifth, in case of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ounseling, counseling sess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unseling satisfaction, belief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counseling intent and resilie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unseling satisfaction, beliefs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In case of college students with no experience in counseling, belief about psychological servic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resilience and resilie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unseling intent, expertness, stigma tolerance.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counseling service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교사창의성에 대한 암묵 이론적 접근

        정은이(Eun I Jeong),박용한(Yong han Park)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 창의성에 대해 생태학적으로 타당하며 우리나라 학교 문화를 반영한 개념을 확인하고자, 일선 중?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들의 암묵이론을 파악하여 이 둘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 검토하고 명시적 이론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258명과 중?고등학교 학생 350명이었다.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한 진술문을 동일한 내용의 특성들끼리 묶어 범주화하였고, 빈도수로 정리하였다. 먼저, 교사 창의성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은 학생의 개인차를 인정하는 융통성, 학생 이해, 자유허용, 학생을 참여시킴, 유창성, 유머,적용력, 개방성, 격려, 재구성력, 존중, 수용력, 탈고정관념, 발견 판단력, 의사소통력, 인내, 신념, 전문성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 창의성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은 독특한 수업 방식 등과 관련된 독창성, 다양한 수업 자료 및 질문 등과 관련된 유창성, 재미있는 수업과 관련된 유머, 학생의 참여기회 제공, 학생과의 의사소통력, 학생을 이해, 발견 판단력, 체계성, 고정관념 탈피, 적용력, 존중, 노력, 격려, 자유허용, 신념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교사들은 학생들의 차이를 인정하고 학생을 배려하며 학습에 참여할 기회와 자유를 제공하는 것 등이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는 결국 교사들은 학생들이 창의성을 스스로 발휘하며 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학생들은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으로 수업관련 요소들을 많이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진행할 때 다양한 자료를 준비해 독특한 방식으로 재미있게 수업하며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교사가 가장 창의적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교사창의성이 창의적인 수업과 직결되며, 학생들은 수업이라는 행위를 통해서 교사의 창의성이 발현된다고 생각함을 나타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보다 발전적인 교사 창의성 연구를 위한 탐색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tested the ecological validity of teacher creativity and its conceptual plausibility in the context of our school culture. It also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ir implicit theory of teacher creativity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xplicit theo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8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teachers and 3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first asked to describe freely what they thought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were like. These descriptions were then categorized and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responses by teachers,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are flexibility by accepting individua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students, acceptance of freedom, engaging students, humor, fluency, ability of application, openness, encouragement, respect, ability of reconstruction, not having stereotype, good communication, patience, belief, expertise, judgment, receptivity, and effort. According to the responses by students, on the other hand, creative teachers show originality, flexibility, humor, engaging students, goo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understanding of students, judgment, being organized, not having stereotype, ability of application, respect, effort, encouragement, acceptance of freedom, and belief.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s think creative teachers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concern about their student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y and freedom in learning. That is,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teachers’ role to have students show and develop their own creativity. On the contrary, the responses by students are more related to teacher instruction. 71% of students’ description about creative teachers is related to classroom instruction. That is, students think that creative teachers prepare various instruction materials, give interesting instruction, and engage students in their instruction. It implies that students generally want creative instruction and they think teacher creativity is embodied through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eacher creativity.

      • KCI등재

        내담자의 지혜 개발을 위한 반야통찰상담(Paññā-Based Insight Counselling)의 원리와 과정 - 반야와 사성제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은의(Jeong, Eun-Eu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6

        본 논문에서는 붓다 가르침(Dhamma)의 핵심인 반야를 개발하기 위한 통찰상담의 원리와 과정을 제시하였다. 반야통찰상담은 괴로움의 멸진으로 바르게 인도하는 심리적 기능·힘인 반야로써 ‘지금·여기에서 행복과 평화에 이르는 길’을 가르친 붓다의 상담을 현대 상담이론의 형식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러므로 붓다가 반야로써 깨달은 삶의 주도성을 확립하게 하는 사성제는 반야통찰상담의 기본 원리이다. 상담의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인간에 대한 관점은 오온에 근거하고 반야상담자의 교육은 삼학(三學)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과정이다. 상담문제는 내담자의 사적 견해로서 ‘단지 이름’이므로 상담의 초기 단계에 문제를 정상화(normalization)한다. 그리고 문제의 원인은 마음의 오염원인 욕탐의 영향이므로 문제의 해결과정은 문제와 연결된 내담자의 의도를 조건관계로 알고 보는 경험이고 상담목표는 지금·여기에서 행복과 평화로 머무름이다. 상담과정은 사성제의 삼전십이행에 기초하여 4수준에서 약 12~20회기를 권장하고 매 회기는 입·출정1→평화적 접촉1→언어상담→입·출정2→평화적 접촉2로 구성되었다. 입·출정은 언어상담 전후에 약 5분 정도 호흡관찰과 빛에 집중하는 비언어적 상담과정이고 평화적 접촉은 몸과 마음의 균형을 위한 활동이다. 그리고 언어상담은 붓다가 실시했던 상담의 4단계에 기초하여 펼치기, 되비춤, 되새김, 머무르기로 진행된다. 언어상담 과정에서 반야상담자의 언어는 존재하지 않고 내담자의 이야기도 오직 일어난 현상과 조건의 관계만을 다루기 때문에 반야통찰상담은 ‘무아상담’이기도 하다. 상담기법은 분명하게 반야로 이어보며 머무는 알아차림을 토대로 한다. 반야상담자는 ‘조건으로서 거울’ 역할을 하며 상담관계는 지금·여기 ‘우리’로서 공명(共明)이다. 따라서 반야통찰상담은 붓다가 실시한 상담의 과정을 현대 상담이론의 형식으로 제시함으로써 붓다의 가르침이 현대의 다양한 상담 환경에서도 여전히 합리적이고 유용함을 증명한 붓다상담학파(Buddhian)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the Insight Counselling based on Panna, which is the core principle of Buddha’s teachings (Dhamma). The basic principle of Panna-Based Insight Counselling (PBIC) is the Four Noble Truths that establish the initiative of life that enlightened Buddha through Panna. In detail, the perspective toward the human being of PBIC is based on the five aggregates, and the education process of Panna-Counselor is to develop and practice the Three Supreme Learning. The Counselling issue is the client’s private opinion, which is ‘just a name’, so it gets normalized. Since the cause of an issue is the pollution of one’s mind, which is influenced by the greed, the problem-solving process is an experience of understanding the problems and the associated intention as a conditional relationship and the goal of Counselling is to remain in happiness and peace at here and now. Based on the Four Noble Truths and its Twelve Lines, the process of PBIC is divided into 4 levels, and a total of 12 to 20 sessions are recommended. Each session is consisted of getting into calm → peaceful contact → verbal course → getting out of calm → peaceful contact. Getting in and out of the calm are a non-verbal course that focuses on breathing observation and light for about 5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verbal course, and peaceful contact is an activity for a balance between body and mind. The verbal course is proceeded based on 4 stages of the Buddha Counselling The verbal course is the ‘Selfless Counselling’ because the language of the panna-Counselor does not exist, and the story of the clients is treated as the conditional relationship of just happened phenomenon. A Panna-Counselor has a role of ‘mirror as a cond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resonates as ‘we’ at here and now. Therefore, PBIC presents the process of Counselling conducted by Buddha in the form of modern Counselling theory, and it is the Buddhology, Buddhian, which proved that the great intellectual heritage of ancientry is still reasonable and useful today.

      • KCI등재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 역량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은이(Jeong Eun 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everyday creativity,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Also,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ose variables between the students of two countries and pursued their im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21 Korean students in a college located in D city, Korea and 104 American students in a college located in S city in Washington State, USA. Results from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American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competency than Korean students. But as regard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is no mean difference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Second, for both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operative career competency. In addi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rrelated positively with everyday creativity as well as with career competency. Third, in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everyday creativity were the positive predi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in case of American college students only career competency was the positive predict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이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 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 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경우 대전 광역시의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21명을, 미국의 경우 워싱턴 주 시애틀의 W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5년 10월과 11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t 검증,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 역량은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대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일상적 창의성 및 진로 역량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은 일상적 창의성 및 진로역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 역량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고 예언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 역량과 일상적 창의성이 정적 영향력이 있었고, 미국 대학생의 경우 진로 역량만이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대학생 진로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업 방해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 및 학습자의 수업 방해 요인과 수업 참여, 만족도와의 관계

        정은이 ( Eun I Jeong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있어서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수업 방해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교수의 인식을 살펴보고 수업 방해 요인이 수업 참여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수업 방해 요인으로 교실 내 소음을 가장 많이 언급했으며, 그 다음으로 부적절한 교수 방법, 피곤함과 졸음, 외부 소음, 고민과 스트레스 순으로 응답했다. 수업 방해 요인을 학습자, 교수, 환경 요인을 분류한 결과 학습자 요인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교수 요인, 환경 요인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들은 수업 방해 요인으로 기자재 미비를 가장 많이 언급했으며, 그 다음으로 외부 소음, 학생들의 불성실한 태도와 학습 동기 부족, 수업 준비를 안 해 오는 것 등을 언급했다. 수업 방해 요인을 학습자, 교수, 환경 요인을 분류한 결과 환경 요인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학습자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관련 요인은 언급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방해는 수업 참여 및 만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수업 방해 하위 요인들이 수업 참여 및 만족을 설명하는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수업 참여에는 학습자 요인이, 수업 만족에는 교수 요인이 유의미한 부적 설명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교육의 수월성을 확보하고 보다 질 높은 대학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college students` and professors` perception about disturbing factors in class and examined their effects on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college students, the most disturbing factors in class were noises within classroom, in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s, physical fatigue and sleepiness, noises from outside, and personal worries and stresses in the order. When thes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learner factor, instructor factor, and contextual factor, learner factor was perceived as the most critical, followed by instructor factor and then contextual factor. Second, for professors, the most disturbing factors in class were lack of instructional equipment, noises from outside, students` lack of attitudes and motivation to learn, and students` lack of preparedness for class in the order. For professors, contextual factor was perceived as the most critical, followed by learner factor while instructor factor was not mentioned. Third, class disturbance correlated negatively with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lass disturbance, learner factor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lass participation while instructor factor was a significant factor of class participation. Thes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to establish excellence and improve instructional qua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셀프리더십과 전공 몰입의 관계에 대한 진로적응의 매개 효과

        정은이(Jeong Eun I)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 between everyday creativity, self-leadership, and major commitment and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among them. For this purpose, I surveyed 231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path analytic model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veryday creativity, self-leadership, career adaptability, and major commitment. Second, the results from path analyses revealed that all of everyday creativ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adapt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major commitment. In particular, the full mediation model via career adaptability was appropriate in the prediction of major commitment by everyday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That is,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indirectly predicted their major commitment through career adaptability. These result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셀프리더십, 전공 몰입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진로적응이 일상적 창의성, 셀프리더십과 전공몰입 간에 매개 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경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일상적 창의성, 셀프리더십, 진로적응, 전공 몰입 가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매개 분석 결과, 일상적 창의성, 셀프리더십, 진로 적응이 전공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일상적 창의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적응에 의해 완전 매개 되는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적 창의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 적응을 매개로 하여 전공 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진로 적응 및 전공 몰입의 실제와 관련지어 논의한 후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