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level and stress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65 middle school students and 1,996 high school students out of the 2021 Korean Children and Youth Happiness Index survey by the Korea Bang Jeong-hwan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subjective happiness, father relationship, and mother relationship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 parental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groups, the explanatory power of subjective happiness is higher in the social relationship level than in the stress factor.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mother relationship, father relationship, academic stress, friend stress, and appearance stress.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mother relationship, father relationship, appearance stress, friend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more affected by the social relationship level, so various supports are needed to form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과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급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방정환재단의 2021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자료 중 중학생 2,765명, 고등학생 1,99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주관적 행복감, 부관계, 모관계의 수준이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친구관계, 교사관계,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두 집단 모두에서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스트레스 요인보다 사회적 관계수준이 높았다.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모관계, 부관계,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 순이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모관계, 부관계, 외모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학생,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 관계수준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예지,김문주,이수정,Yejee Jeong,Moon-Joo Kim,Soojung Lee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2000 년대 초반부터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황이 시작되면서 가장 부각되고 있는 이슈는 바로 각계 리더들의 진정성과 윤리성을 회복하는 일이다 . 본 연구는 무한경쟁의 자유 시장 체제 하에서 진정성 없이 부정을 저지르면서도 재무적 이익을 극대 화하던 조직 내 가짜 리더십 (pseudo leadership) 의 한계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 , 즉 윤리적 리더십 (ethical leadership) 과 진성 리더십 (authentic leadership) 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 기업 경영에 있어서의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공통점 , 두 리더십의 차이점과 구성 요소 , 두 리더십이 조직 및 팀에 미치는 성과 에 대한 연구들은 여전히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 십과 진성 리더십 관련 선행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두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이해 를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두 리더십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In recent years, we are witnessing a serious problem of the market-capitalist system caused by immorality and unethical practice of leaders. This research analyzes and compares the theories and constru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which emerged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but unknown field in leadership studies. Many researchers on ethic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point out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leadership theories, because they only concentrate on the skill and style of leaders. Unlike the traditional leadership approaches, ethical and authentic leaders highlight ethic-related performance like ethical decision making, moral emotion, moral identity, and employees' psychological positivity than any other type of leaders. Even though these two leadership have been based on ethicality and integrity and have concern for others, they are different concepts and constructs. Authentic leaders emphasize authenticity and need to be fully aware of themselves through the self-awareness. Ethical leaders emphasize moral management through other-awareness and ethical leadership, which is more transactional than authentic leadership. In conclusion, authors argue that they are independent leadership forms and they are the root leadership for any other kinds of leadership.

      • KCI등재

        대학 축구 팀 선수들의 공유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정예지,홍은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hared leadership, which emerges 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horizontal organizational structure, among athletes in the university soccer teams influences o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process. Particularly,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players’ resilience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175 athletes in 5 university soccer teams and a total of 166 sampl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We used SPSS 16.0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elation analysis and Lisrel 9.2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ving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among athletes in the university soccer teams had a positive effect on athletes’ resilience. Second, athletes’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thletes’ innovative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athlete’s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between shared leadership among athletes and athlete’s innovative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평적 조직의 도입과 함께 급부상한 개념인 공유 리더십이 대학 축구 팀 선수들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프로세스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공유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함을 주장한다. 연구 대상은 국내 5개 대학 축구팀의 남자 선수들이며 175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166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SPSS 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Lisrel 9.2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 축구 팀 선수들 간의 공유 리더십은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선수들의 혁신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공유 리더십과 혁신 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팀 자본이 팀 동적역량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예지,윤정구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1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팀의 성과는 성과 달성을 위한 핵심 자본을 팀이 보유하고 있는가의 여부, 그리고 그 핵심 자본을 팀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조직 자본, 지적 자본 및 무형 자본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팀 자본(team capital)의 개념을 제시한다. 팀 자본은 팀의 역량 증진과 가치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팀의 자본으로서 구조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과 인적 자본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한편 팀이 이러한 자본을 보유했을 때 이를 조직 및 팀의 목적에 맞도록 확장, 수정 및 재창조하는 능력을 팀의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이라 칭한다. 동적 역량 관련 선행 연구들은 '동적 역량이 보유 자본을 성과로 바꾸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일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즉 팀이 가지고 있는 자본을 결합, 활용 및 재구축하는 능력이 바로 동적 역량이며 이를 토대로 보다 높은 성과를 창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조직 내팀이 보유한 자본들이 팀의 동적 역량을 혁신적으로 끌어 올릴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다. 또한 동적 역량은 팀 자본과 팀이 창출하는 성과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팀 활동이 활성화 되어 있는 4개 회사의 94개 팀의 536명의 팀원들을 팀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의 구조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 인적자본 모두는 팀의 동적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설에서 예측한대로 동적 역량은 팀 자본이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해주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의미에 대해서 심도있게 논의했다.

      • KCI등재

        Z세대의 가치관이 ESG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진우준,이재철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3 지역산업연구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lues of generation Z students on ESG acts. The focus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values and ESG acts. We used SPSS 21.0 for reliability test and bootstrapping and Lisrel 9.2 for CFA, AVE, C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esting the hypothesis. The final number of surveys analysed in this study was 322.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First, egoistic value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non-significant effect on ESG act and well-being, however, social-altruistic value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s on ESG acts. Second, generation Z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SG social altruistic value and ESG acts. The study implied that maximization of well-being through increased ESG social-altruistic values can lead to pro-ESG act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제품 희소성 메시지와 메시지 색상이 소비자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윤성아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roduct scarc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advertising message colors on consumer product attitudes. In this study, scarcity is distinguished between scarcity due to insufficient supply (supply scarcity) and scarcity caused by excessive demand (demand scarcity). It is proposed that each type of scarcity evokes different concepts in consumers' minds, and when expressed in colors that match these concepts, it can lead to more favorable consumer response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upply scarcity (e.g., limited edition), when expressed in a blue color that induces an approach motivation by stimulating the desire for individual “uniqueness” or “distinctiveness,” consumers' product attitudes are expected to be more positiv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emand scarcity arising from excess demand (e.g., Best Seller), when expressed in a red color that emphasizes the concept of “safety” due to the assurance of product quality, consumers are expected to show a more positive attitude as it triggers an avoidance motivation emphasizing “safety.” To test these hypotheses, the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results confirm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 of scarcity and the color of the advertising message on consumer product attitude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requently used scarcity message of limited quantity in marketing situations and colors on consumer product attitudes.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의 AI 챗봇 활용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예지,마대성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6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humans live in close relation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ne with the rapid social change,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in the educational world. In particular, chatbot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based on the great advantage of immediate question and answer. In social studies class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uture core competencies such as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line with the AI era.In this study, we saw that AI chatbots could be used as efficient learning tool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and students decided on a topic to create and service chatbo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I chatbot-based education program improv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learning, and students gained new learning experiences and increased their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AI-based education. Through the AI chatbot utiliza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in education because they are interested and interested in social studie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