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龜尾 眞坪洞 磨崖尊佛에 대하여

        鄭永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9 學術論叢 Vol.3 No.-

        서두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이곳 낙동강 유역은 오래 전부터 신라불교의 초전지역으로 주목하여 오던 중, 1968년도에 본격적인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그러하여 선산 도개동의 모례가유적지를 중심한 주륵사지 보천사지 등의 대가람지와 도리사를 확인하고 낙산동삼층석탑 원동삼석탑 교동삼층석탑 죽장삼층석탑 금오산마애보살입상 등 거대한 통일신라성대의 제 유물을 발견 조사한 바 있다. 그래서 당시 신라 사람들은 승려 신도 할 것 없이 모두 불교의 발상지인 이곳을 다투어 찾아와서 순례하였을 것이니 이곳은 곧 불교성지로서의 역사적 의의를 지니게 하는 동시에 이러한 현상은 마치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성지 「예루살렘」을 찾는 것과도 같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당시 신라의 승려들은 이곳에 모여들어 도개동 모례가유지와 도리사 등 그들의 성지를 순례하면서 많은 사원을 일으키고 불도를 널리 폈던 것이니 그때의 유적 유물로 위에 열거했듯이 많은 성보가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선산과 접해 있는 낙동강유역의 구미와 성주지역에서도 근년에 몇 가지의 새로운 불상조각이 발견 조사되어 낙동강유역의 불교문화연구에 더 한층 박차를 가해주고 있다. 즉 구미시 인동에서 전고 7.15m인 거대한 마애여래입상이 발견 조사되어 통일신라시대의 조성으로 추정된 바 있다. (윤용진 : 「칠곡인동 마애불」 고고미술 제사권 제삼호 참조, 고고미술동인회간, 1963년 3월) 이 마애불(도7 참조)은 인동에서 선산 해평 쪽으로 가는 첫고개인 석현 남쪽 10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낙동강에서 불과 500m도 안 될 것이다. 그리고 1977년 12월 성주군 선남면 노석동에서 필자에 의하여 발견조사된 마애삼존불예과 여래좌상이 있다. (정영호 : 「성주 노석동 도고산 마애삼존불상과 여래좌상」 고고미술 136·137참조, 한국미술사학회간, 1978年 3月) 이곳 도고산의 마애불상들은 모두 통일신라성대의 조성으로 추정되는바 행정구역은 비록 성주군이라 하더라도 바로 왜관읍의 낙동강 철교가 바라보이는 곳으로 도고산 중턱의 마애불 앞에서 내려다보면 바로 동쪽 밑으로 낙동강이 흐르고 있음을 본다. 그런데 작년에 또 이곳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간 구미 진평동에서 마애삼존상이 발견 조사되어 지금 여기에 새로운 자료로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성주 노석동의 마애불은 통일신라의 소작으로 추정(도8 참조)했으나 진평동의 마애불은 삼국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것은 낙동강유역의 요소요소에 개창한 대소사암이 시대적으로 다르기 때문인데 선산지역의 낙동강연안유적 유물은 대부분이 통일신라시대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그러나 위에 소개한 진평동 마애불만은 삼국기 신라로 추정하였는바 이렇게 생각해 보면 일선군의 불교성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비로소 찾은 것이 아니라 삼국기에도 불교가 공인된 후에는 이곳을 찾았었던 것으로도 풀이할 수 있겠다. 한편 삼국기 불교유적의 흔적으로 1976년 3월에 선산군 고아면 봉한이동에서 발견조사되어국보로 지정된 금동여래입상(제182호)과 금동보살입상 2구(제183호, 184호)가 있는데(강인구 : 「선산 봉한이동출토 금동여래·보살입상발견시말」 고고미술 129·130 참조, 한국미술사학회간, 1976년 6월) 이들 금동불보살의 발견지와 원출토지 등이 모두 낙동강변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임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렇듯 속속 나타나는 제 유적 유물은 모두 불교성지인 선산지역의 불교문화연구의귀중한 자료들인 것으로 볼 때 앞으로 선산의 불교미술, 나아가서는 낙동강중류의 불교문화권 설정을 위한 연구에 더욱 귀한 자료로 주목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鏡花緣》과 한글 역본 《第一奇諺》의 비교 연구

        鄭榮豪 한국중국소설학회 2007 中國小說論叢 Vol.26 No.-

        通??《?花?》和?文?本《第一奇?》?行比??究,可以得出以下四???. 第一,《?花?》是100回本,而[第一奇?]流?至今的只有78回,79回以后的?容不可而知.?者???不是由於?者故意中?了飜?,而?有可能是逸失. 第二,《第一奇?》以直??主,意???,各回不同程度地?用了??,添?,改?,省略,音借?等方法,?常使用?字?.?是由於?者?合考?了?文的活用和?者的情?之后采用的手法. 第三,?者在飜??程中力求采用?原典不同的新形式,改?和破?了章回小?原有的形式,有??2回合成1回飜?,去除回目,弱化了原典小?的?造.??容上?看,增加了一些强化?者自身?作性的?容,而?才?特性方面的?容-?音??和各?民俗等方面的?容?行了大量??,?原典相比更具小?的趣味性. 第四,?合以上?果,《第一奇?》幷非?粹照搬原典,其中溶入了?者大量的?作,可以?是一?接近於??的飜?小?.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인제재 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식 :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정영호,엄영욱 한국중국소설학회 2005 中國小說論叢 Vol.22 No.-

        本文將古代中國人對韓國的認識和近現代中國人的韓國觀, 與中華思想連繫起來進行了分析,幷以此爲依據, 考察了中國作家對韓國的認識. 在古代中國人的頭腦中, 韓國包含在天下的槪念之中; 到了中世, 由於宗藩關係, 韓國被看作是中國的附屬國; 而近代, 韓國有時被當作爲中華的一個支流, 有時被當作邊夷, 有時又被當作第三者意義上的弱小國中的一個民族. 近代中國作家對韓國和韓國人的認識正如韓中近代史上出現的殖民和民族, 近代和超近代同時存在一般, 互相뉴合, 複雜多樣. 1919年以後的現代文學作品主要描寫的是抗日運動, 朝鮮民衆的悲慘生活, 韓中兩國人民的友誼等, 因爲都是屬於被壓迫的民族, 自然産生同病相憐的感情, 所以作品中隱含著國際主義聯合的意向. 而當代文學, 49年以後出現了大量的韓國人和韓國題材的作品, 其韓國觀仍然擺脫不了認爲韓國是中國蕃屬或中華的一個支流的觀念. 這個時期形成的中國人的韓國觀一直持續到實行改革開放政策的1978年. 78年的改革開放政策成爲中國人重新認識韓國的契機. 但是, 中國的自尊心和中華思想隨著經濟的發展隨時都有膨脹的可能, 東北工程就是一個證據. ‘東北工程’, ‘愛國主義’, ‘中華主義’等等, 用語雖然各各不同, 但却存在著一定的指向, 隱含著中國通過加强精神武裝占居21世紀亞洲和世界盟主地位的覇權主義意識. 中國的愛國主義以傳統中華思想爲基柱, 可以說是一個現代版的新中華主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