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해관계자 참여 공간으로서 지속가능발전 공론장의 쟁점과 과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수립 과정을 사례로
정연경,윤희철,박차옥경 한국거버넌스학회 202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issues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ublic sphere on sustainable development by the local government, taking the case of public sphere on the establishment of an implementation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eodaemun-gu. The public deliberation operation process was analyzed by applying 8 criteria: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the public deliberation process, and the results and effects of public deliberation by applying eight criteria: representativeness, expertise, inclusiveness, democracy, openness, deliberation, and influence and effectiveness on polici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recruiting enough participants to sec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region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articipa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appropriate number of meeting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so that sufficient deliberation can take place.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the public sphere at the planning stage, and strengthen accountability for the results by notifying the participants in advance about the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the public debate. 본 연구는 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수립 공론장을 사례로 지방정부 지속가능발전 공론장 설계・운영의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론장 운영 과정을 참여자 구성, 공론화 과정, 공론장 결과와 효과로 분류하여 대표성, 전문성, 포괄성, 민주성, 개방성, 숙의성, 정책에 대한 영향력과 효과성 8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구성에 있어 지역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참여 인원 모집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또한 주민자치회 등 주민자치 조직과의 연계를 통해 참여자의 대표성을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전 교육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 정보・자료 제공, 그룹 세미나 등 참여자간 사회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공론장을 기획・운영해야 한다. 셋째, 숙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적절한 회의 횟수와 시간, 참여 인원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공론장 결과의 이행과 반영에 대해 기획단계에서 부터 고려하고, 참여자들에게 공론장 결과 반영에 대하여 사전에 공지함으로써 결과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한국십진분류법 적용 현황 및 이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정연경,최윤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focused on KDC 4th edition for children's materials. For the study, literature study, KDC application and user survey in 51 libraries for childre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classification for children's materials is proposed to improve in two ways: classification system itself and arrangement in the shelf.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scatter the subjects that are centered on specific numbers and to allow various types, characteristics and literature genre of children's materials to be classified in KDC. KDC also should provide specific notes and classification guidelines for interdisciplinary subjects. In the shelf arrangement, it is propos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user-friendly call number and arrangement principles by ages or titles.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compose various collections that represent users' needs, and the user education program is needed. 본 연구는 KDC 4판을 중심으로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 자료 분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국내 51개 어린이도서관의 KDC 적용 현황 조사와 부모 및 어린이 이용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현황과 이용자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KDC 개선 방안을 분류체계 부문과 배가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우선, 분류체계 부문에서는 특정 기호에 집중되는 주제를 분산시키고, 어린이 자료의 다양한 유형과 특성, 다양한 어린이 문학 장르를 KDC 상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제적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주기 및 분류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배가 부문에서는 첫째, 이용자 친화적인 청구기호 구성과 배열 방법을 도입하고, 둘째, 이용자의 다양한 관심 분야를 반영한 컬렉션 구성과 어린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이용교육을 실시하도록 제언하였다.
정보의 접근점으로서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 표목에 관한 연구
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sefulness of the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LCSH) for librarians as an information access point. Sixty four librarian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UW) and 67 librarians from the Council on East Asian Libraries(CEAL) participated through web surveys about LCSH and 9 librarians from UW and 10 librarians from CEAL joined in-depth interviews and e-mail correspondences. It was concluded that LCSH was very useful for finding other related materials as a subject access point. However, there were two necessary improvements recommended for the LCSH. First of all, in aspect of terminology, subject headings should be more familiar to the public with currency and show clear definitions and relationships. Second, with regard to the structure of LCSH, it should have simplicity, ease of use, and consistency when using combinations of subject headings. Since many other countries are using or adapting LCSH, its effect can be very strong. Therefore, the meaning of “Tok Island (Korea)” in LCSH is very important.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results in a Google search, which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publications in the world, diplomatic and research activities relating to “Tok Island(Korea)” were important factors for listing in LCSH as authorized subject headings. So there should be a great deal of efforts in studying and publishing materials related “Tok Island(Korea)” as well as diplomatic and scholarly efforts with sensing movements of other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주제 접근 도구로서 LCSH의 유용성을 실무 사서들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웹서베이를 통해 University of Washington(UW)의 64명의 도서관 사서들과 Council on East Asian Libraries(CEAL) 회원 도서관 67명 사서들의 LCSH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고 9명의 UW 사서들과 10명의 CEAL 도서관 사서들과는 직접 만나 심층 면담과 전자 우편 교환을 통해 자세한 의견을 받았다. 조사 결과, LCSH는 주제 접근점으로서 여전히 가치가 있었으며 주제에 관한 다른 관련 자료를 찾을 때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LCSH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개선 사항으로는 첫째, 용어와 관련해서 주제명 표목은 좀 더 이용자에게 익숙하고 최신성을 반영해서 주제명 표목간의 명확한 정의와 관계를 보여주어야 하며, 둘째, 구조와 관련해서는 주제명 표목 조합에 있어서 단순성, 용이성, 일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많은 다른 국가에서 LCSH를 실제로 사용하거나 변형하여 활용하고 있어서 그 파급 효과가 상당히 크므로 LCSH에서 주제명 표목으로 사용되고 있는 “Tok Island(Korea)”가 갖는 의미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검색할 때, 결과 레코드의 수나 국제적으로 나오는 관련 문헌의 수, 외교적인 연구 활동 등이 주제명 표목의 변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 앞으로 독도 주제명표목과 관련 자료에 관한 학술적인 노력을 배가하고 다른 주요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움직임도 유의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정연경,이미화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4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s based upon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assify for Internet resources due to its lack of up-to-datedness and practicality. Especially, heading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need to reflect practical aspects and it should be also developed for classification of web based resour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directory classifications in Internet resources and to suggest additional headings of KDC as a practical library classification as well as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et resources. Directory classification systems of Naver, Yahoo, Kyobo Internet book store, Amazon were selected and their food and culture subjec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headings of KDC were compared to them and new possible headings were suggested with reference of NDC and DDC in the area of food and culture. This study provided a way of developing KDC for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et resources as well as library materials. 듀이십진분류법(DDC)은 문헌분류체계로 도서관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을 분류하는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DDC가 주기적이며 지속적인 용어 확장을 통해 최신성과 실용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십진분류법(KDC)은 비정기적인 개정 주기로, 용어의 최신성과 실용성이 떨어진다. KDC가 도서관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 분류에도 활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분류 항목명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와 KDC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KDC에 추가할만한 분류항목명을 확장 제안하였다. 네이버, 야후, 교보문고, 아마존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에서 음식문화 분야의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KDC로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DC에 추가적인 분류항목명이 필요한 분야는 식품위생, 음료기술, 식품공학, 식품과 음료, 식사 및 식탁차림, 주방, 식당 공간이었으며 부족한 항목명은 음식 관련 용어 및 한식 관련 요리명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KDC의 부족한 항목명과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KDC가 도서관과 인터넷자원 분류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정연경,장윤미,Chung, Yeon-Kyoung,Chang, Yun-M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areas of environmental studies; to compare and analyze environmental studies in research classifications and Korean societies from Korea Research Foundation(KRF) as well as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KDC, DDC, NDC and to suggest several modifications for environmental studies in KDC for the next edition. First of all, environmental philosophy, environmental sociology,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toxicology, environment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geography are suggested to add to the main schedule in KDC and -0276 green technology(environmental technology) is suggested to add to Table 1. Standard subdivision. And new classification numbers for environmental law and environmental public administration are suggested in law and public administration.
정연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한국근대미술사에서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로 다수의 여성인물화 제작을 들 수 있는데 근대기 사회변혁과 여성운동, 그리고 교육과 여성의 사회진출에 의해 여성에 대한 전통적 사회통념과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바느질이나 육아로 대표되는 전통 여성상과 함께 새로운 형식인 여성누드화와 개량한복과 양장을 입은 신여성에 이어 후반기로 갈수록 근대적인 풍물이나 소재와 관련된 근대적인 여성상이 등장한다. 즉 1920년대부터 등장하는 침선이나 육아에 관련된 여성상은 그 이후까지도 꾸준하게 제작되지만 1930년대 중반부터 여성교육의 결과로 교양과 미를 겸비하며 독서와 음악 감상, 스포츠를 즐기는 여성상이 증가하고 지적 능력을 갖춘 전문직 인텔리 여성상이 출현한다. 또한 여성상은 당시 빠른 속도로 이행되어가던 근대화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장르로서 재봉틀이나 축음기 등의 다양한 첨단 제품들을 통해 경제와 문화예술의 단면을 재현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근대사회의 여성관과 여성들의 자기인식의 변화, 여성교육과 여성운동의 영향에 의한 한국근대여성상의 성격과 특징 그리고 후반기로 갈수록 여성상의 변화를 통해 근대여성교육 및 여성운동과 긴밀한 상관관계와 발달 양상을 연구, 분석할 수 있다. One distinctive fe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t is the production of various female figure painting. Owing to the social revolution, the women's movement, and increasing social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during the modern period of Korea, changes started to occur in the traditionally-accepted ideas about and perception of women. As a result, traditional paintings of women, who were portrayed in their tasks of needling or child-rearing, were gradually replaced with female nude paintings or images of modern women wearing modernized hanbok(traditional Korean clothing) or Westernclothes. Toward the late modern period, the paintings of modern women related to modern cultures or materials started to appear. That is, the painting of women doing needling and child-rearing, which started to appear from the 1920s, was steadily produced until later, but from the mid-1930s, owing to the increase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the painting of beautiful, refined women who enjoy reading, music, and sports, or the painting of professional, intellectual women, started to appear. Female figure painting is a genre of art which clearly reflects the fast-moving modernization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changes in women's perception of themselves in an era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widespread availability of technological products, such as sewing machines or gramophones, which represent modern society's economy, culture and ar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paintings of modern Korean wome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and the women's movement, as well as their development patterns, through tigure paintings.
정연경,김성진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3
There has been significant movements in the provision of equal acces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e and needs of library services of disabled people with a survey. The survey dat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disabled persons did not visit library and not experience library services. The main reason was reported that they had poor information about the library services. Also, they did not satisfy the variety, sufficiency, accessibility, up-to-dateness of the materials in general. And there were difference of favorite programs and needs among different kinds of the disabled. Therefore, active guidance and public relations about library services,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by building digital collection, resource sharing and extension of services by building library cooperation network, and the arrangement of librarians for the disabled and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back up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등한 정보접근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흐름에 발맞추어 장애의 여부나 장애의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실태 및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 이용 경험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었으며 그 원인은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장애인들은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다양성, 충분성, 접근성, 최신성 등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 도서관에 희망하는 프로그램과 개선사항에 큰 차이를 보였다. 결국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 전자자료 구축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협령망 구축을 통한 자원공유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장애인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사서의 배치 및 직무교육 제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행태 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2001년-2010년)를 중심으로 -
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rend of ci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 of each citing and cited reference that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2001-2010. One hundred and seventy one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by keyword, language, and research collaboration. Three thousand and eight hundred and ninety three cited references were analyzed by type of material, language, country of publication, research collaboration, citing age and the most frequently cited literature. Finally, those results of source literature and cited referenc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 better direction for the future of the field with further studie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국내 대표 학술지를 중심으로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학술 논문과 그 논문의 참고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연구자들의 인용 행태와 특성 및 변화를 밝힌 것이다. 조사대상 학술지는 『한국기록관리학회지』로 선정하였고, 조사 대상 기간은 2001년~2010년(창간호-제10권 제2호)으로 하였다. 총 1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언어, 연구 형태를 조사, 분석하였고, 논문에 실린 참고문헌 3,893편에 관해서는 자료유형, 언어, 발행국, 연구 형태, 수명, 최다 피인용 자료를 조사하여 원문헌과 피인용 문헌에 관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고 향후 기록관리학의 발전 방향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듀이십진분류표의 인쇄형과 전자형 비교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정연경 한국정보관리학회 1996 정보관리학회지 Vol.13 No.2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o building number technique applied by a sample of novice students using Electronic Dewey(ED). For control purposes, a second sample used the same classification schedule but in print format. In this experiment, the DDC 20 in print had a higher success rate than ED. While the searches in ED took shorter time than DDC in print, students using DDC 20 in print were able to build more correct numbers than ED. Novice users did not take full advantage of system features of 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e overall difficulty with which users could build numbers from the ED after little training. Howe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students in the CD-ROM group were more interested in building numbers than their colleagues in the Print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 of English course and the score in experiment was negative in Print grou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GPA and the score in experiment was a little positi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and the score in experiment was quiteneg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