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구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 및 발전

        정승현(Seung Hyun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30 No.-

        본 논문은 서구에서 선교적 교회론이 어떻게 탄생했는지에 관해 네 명의 유럽 신학자의 교회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호켄다이크, 크래머, 보쉬 그리고 뉴비긴은 모두 각각 다른 지역에서 사역을 하였지만 그들 모두는 기독교세계(Christendom)에서 형성된 교회론을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선교가 교회의 본질이며 절대로 여러 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전락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호켄다이크는 교회가 복음전도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의구심을 제기하였고, 만약 그것이 몰락해가는 서구의 기독교세계를 재건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것을 멈추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선교란 세상과 교회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세상과 하나님 사이에서 진행되는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또한 선교는 교회개척을 넘어서 종말론적인 샬롬공동체를 구체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크래머에게 교회는 선교를 소유하고 있는 곳이 아니고 그 자체가 선교이다. 다시 말해 교회는 선교를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크래머가 정의하는 바람직한 교회는 교회-중심(church-centred)적이 아니라 세상-중심(world-centred)적인 교회이며, 특별히 거대한 이슬람이 지배하는 인도네시아에서 사역하였던 그는 세상 속에 살아가는 평신도의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 보쉬는 교회와 선교는 영속적인 관계에 있으며 이 둘은 절대로 나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교회는 언제나 세상 안에 존재해야 하지만, 절대로 세상의 공동체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남아공의 인종차별정책 가운데 있었던 보쉬는 교회가 세상과 구별되지만 반드시 세상에 존재하면서 대안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를 위해 평신도들은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삶의 장소에서 날마다 현현해야 한다. 뉴비긴은 선교의 주체는 언제나 삼위일체 하나님이고,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도구이자 선취라고 주장하였다. 성경에서 하나님은 언제나 사람을 보내시기 위하여 부르셨다. 그러나 기독교세계의 영향을 받은 교회는 보내심의 소명을 선택의 문제로 축소시키는 잘못을 범하였다. 특별히 급속도로 세속화되어 가고 있는 서구사회에서 평신도들은 날마다 자신들의 삶의 자리에서 제사장의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이러한 네 명의 선교학자의 교회론은 오늘날 GOCN이 주도하고 있는 북미의 선교적 교회론의 핵심근간을 이루고 있다. 선교의 주체는 하나님이고, 교회는 그 선교를 위한 신실한 도구이며, 교인 모두는 자신들이 세상에 보냄을 받기 위해 부름받은 자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그들 모두는 자신의 삶의 현장이 바로 선교지임을 깨닫고 날마다 복음을 증거하는 일에 매진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origin of missional ecclesiology through four European missiologists, including Johannes C. Hoekendijk, Hendrik Kraemer, David J. Bosch, and Lesslie Newbigin. Although they performed missions in different places, they all insisted that ecclesiology derived from Christendom should be overcome. They all claimed that mission is the nature of Church and it cannot be one of the church’s programs. Hoekendijk was curious about the motivation of evangelism and if Church carries out evangelism for restoring Christendom which is collapsing in the West, Church has to stop doing that. For Hoekendijk, mission is supposed to be accomplished between God and World rather than Church and World. In addition, mission is a much bigger and deeper term than simple church planting. It should embody Shalom Community in eschatological term. For Kraemer, Church does not have missions, but she is mission. In other words, Church does not accomplish the mission of God in a certain time and place, but Church always carries out His mission in anywhere and anyplace. In that sense, Kraemer argued that appropriate church model should be ‘world-centered’ instead of ‘Church-centered.’ Especially, he emphasized a crucial rule of lay people in Indonesia, which is dominated by Islamic power. Bosch believ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mission is permanent. And Church should be in the World, but not of the World. In South Africa pervaded by Apartheid, Bosch stressed that Church should be an ‘alternative community.’ Every single Christian should proclaim the gospel in their context and keep challenging injustice rules in society. Newbigin claimed the subject of mission is the triune God who are missionaries. And Church is an instrument of His mission and a foretaste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Bible, God always calls someone for sending them. Yet Church which got influences from Christendom has diminished this matter as one of options. Lay people should engage in mission in their daily lives. These theories have become the found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which is being carried by GOCN in the North America.

      • KCI등재

        ‘이슬람을 향한 사도’ 사무엘 즈웨머의 선교이론 탐구

        정승현(Seung Hyun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8 No.-

        19세기 후반 학생자원운동의 승리주의와 낙관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개인적으로 보수적인 네덜란드 목회자 가정에서 성장하였던 즈웨머는 1890년 이슬람선교를 시작할 시점에는 이슬람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시각은 이슬람현장에서 계속해서 사역하면서 점차적으로 건설적인 방향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그는 한 번도 이슬람의 문제점을 용인하지는 않았으며 무슬림을 향한 복음전파의 열정이 약해지지도 않았다. 1916년을 기준으로 즈웨머의 사역 전반부 문헌들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그의 관심사를 네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다. 그것들은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와 조사; 이슬람의 신, 선지자 그리고 꾸란을 포함한 이슬람신학의 심도 있는 분석; 무슬림의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하는 이슬람의 윤리; 그리고 기독교선교의 역사와 방향이다. 1916년에 즈웨머는 어느덧 이슬람현장에서 26년을 보낸 시니어 선교사가 되어 있었다. 그는 그 기간 동안 많은 이슬람현장을 방문하였고, 국제적인 선교대회에서 발제와 행정으로 참여하였으며, 심도 있는 문헌연구를 지속하였다. 특히 즈웨머는 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서구의 식민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해서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경험을 통하여 즈웨머는 저술에서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는 후반기에도 배교(apostacy)와 숨은 제자들(Hidden Disciples),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그리고 기독교선교의 당위성과 같은 주제들을 논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이슬람선교에 공헌하였다. 즈웨머는 무슬림에게 필요한 것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임을 믿었고, 그래서 선교사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삶으로서 그분의 십자가를 전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즈웨머는 무슬림들을 적으로 간주하지 말고 친구로서 그들을 하나님나라로 초청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즈웨머는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십자가의 사랑만이 영원히 변하지 않는 강력한 힘이며 무슬림을 향해 전할 수 있는 유일한 메시지임을 각인시켜 준다. Samuel Marinus Zwemer was born in 1867 in a Dutch Reformed minister’s family. Zwemer left America as a missionary for Islam in 1890. He began his mission in the Middle East with the spirit of triumph in the 19th century Protestant missions, but his perspectives to Muslims had been modified during his 40 years of mission. This change should not be overstated because Zwemer never abandoned his belief that Islam was fatally flawed. In the first half of his ministry(until 1916) he focused on four different issues; general understanding of Islam and muslim; Islam theology included Allah, the Prophet, and the Quran and traditions; moral issues related to women and children; and mission to Islam. Zwemer often criticized Islam at that time. “Like all other non-Christian systems and a philosophies Islam is a dying religion.” “Moslems have long realized that the dead weight of formality called tradition, the accumulation of many centuries, is an intolerable burden.” In the second half of his mission, Zwemer dealt with the law of apostacy in Islam. It is one of major issues that Christian missions struggled. And he introduced ‘Hidden Disciples’ who were the followers of Jesus, but did not reveal their conversion in public. In any given context, Zwemer always emphasized that “The Moslem heart and the Moslem world have only one great need-Jesus Christ.” For doing that, Zwemer insisted that the missionary among Moslems is driven daily to deeper meditation on the Cross, so that it become the very heart of Christians’ message and mission. He understood the difficulties of mission in Islam context, but he boldly claimed all Christian should not draw back. It is because “The battle is the Lord’s, not ours; we are but instruments to carry out His purposes.” Zwemer encouraged all Christians to participate in His mission in Islam context.

      • KCI등재

        크리스텐덤의 이해와 선교적 교회론

        정승현(Seung Hyun Chung)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3 No.-

        크리스텐덤을 이해하는 것은 선교적 교회를 실천하는 데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선교적 교회는 크리스텐덤 시대의 교회와 그 정체성을 차별화하는데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크리스텐덤은 서구에서 주후 4세기 이후 적어도 1,500년 이상 존재하였고, 서구에 존재하였던 그 크리스텐덤 방식의 기독교는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중남미에 이르는 방대한 지역에도 존재하게 되었다. 크리스텐덤 이전에 철저히 사회에서 주변인이었고 비주류였으며 세상의 권력과는 거리가 멀었던 기독교는 크리스텐덤 시대에는 사회 중심부에서 정치세력의 절대적인 비호를 받으며 존립하게 되었다. 이런 크리스텐덤 시대의 신학과 교회의 세 가지 대표적인 특징은 선교의 부재, 이분법적인 지역 구분, 그리고 교권주의(clericalism)다. 오늘날 서구세계는 이미 후기-크리스텐덤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곳의 주된 문화는 기독교가 아니고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며 상대주의와 종교다원주의가 혼합되어 있는 선교현장이다. 기독교는 계속해서 일반 사회에서 주변화되고 있지만, 크리스텐덤의 유산은 실용적인 크리스텐덤의 형태로 남아 있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그 패러다임 영향력 안에서 지내고 있다. 후기-크리스텐덤 시대에서 는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을 회복하는 선교적 신학과 교회가 요청된다. 선교적 신학은 교회로 하여금 신학이론을 습득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서구 본토의 선교현장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게 하는 실천적인 학문이 되어야 한다. 선교적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결과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가 일상에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것을 본질로 이해하는 교회이다. In order to perceive Missional church wholl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hristendom. It is because of this reason that Missional Church took off from differentiating it’s identity from Christendom church. Christendom had taken place in the fourth century up until at least the next 1,500 years in the western world. The legacy of Christendom can be found in around the world in places like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through the colonial era. Christianity that was an alienated and marginalized religious sect in the Roman Empire had become mainstream and been closely protected by political power.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Christendom are the absence of mission, dichotomous territorial distinction, and clericalism. The mainstream of culture and thought in the Post-Christendom era is not a Christianity but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old Christendom area is a mission field that takes place in relativism and pluralism. Christianity is again becoming more and more marginalized from the mainstream, however, the remains and the vestiges are still present in the wider society. In such a post-christendom context, we need a missional church and mission theology that focuses on the missionary nature of the triune God. Missional theology is a practical discipline which encourages all the church members of the West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in their daily lives. Missional church acknowledges her identity as the result of the mission of the triune God and both pastor and lay people understand their calling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 KCI등재

        샤리아와 순니 4대 법학파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

        정승현(Seung hyun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본고는 샤리아의 정의(定意)와 법원(法源), 그리고 형성과정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어서 순니의 4대 법학파(하나피, 말리키, 샤피이, 그리고 한발리 학파)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들의 다양성과 동일성에 내포되어 있는 선교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아랍어 샤리아는 문자적으로 물이 있는 곳으로 가는 길, 혹은 은총과 구원을 명확히 찾는 길이다. 샤리아의 법원(法源)으로는 꾸란과 더불어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을 기록한 하디스가 중요하다. 그리고 꾸란과 하디스에서 규정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서는 이즈마(합의)와 끼야스(유추)를 통해서 무슬림들의 삶을 규정한다. 샤리아는 인간의 모든 행위를 와집(의무), 만둡 혹은 무스타합(장려), 무바흐(허용), 마쿠르흐(기피), 그리고 하람(금지)의 다섯 가지 범주로 분류한다. 순니 4대 법학파는 주후 8-9세기에 하나피, 말리키, 샤피이, 그리고 한발리 법학파 순서로 형성되었다. 이성을 사용하는 하나피 법학파와 메디나 전통을 중시하는 말리키 법학파가 초창기 법학파의 주류였고, 그것을 통합한 것이 샤피이 법학파였으며, 그 뒤에 가장 보수적인 학파로 한발리 법학파가 형성되었다. 정복전쟁을 통해 이슬람이 아랍지역을 넘어가면서 각 법학파는 특정한 지역에 위치하게 되었고, 각각 창시자의 경험과 사상에 따라 샤리아를 해석하는 자신들만의 방식을 발전시켰다. 그로인해 자연스럽게 법학파 간에 특정한 사안들에 대해 이즈마(합의)와 이크틸라프(차이)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샤리아 해석의 다양성과 통일성은 두 가지의 선교적 함의를 발견하게 한다. 첫째, 이슬람은 절대로 획일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이 이슬람 선교를 온전히 감당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지역의 문화와 더불어 샤리아와 그 지역의 주도적인 법학파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부분의 무슬림들에게 샤리아는 실제적인 면에서 교리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그들이 먹고 마시고 입고 씻고 예배하는 모든 것은 그들의 신에게 순종하는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샤리아를 따르는 무슬림보다 그리스도를 삶에서 더욱 신실하게 증거하는 일이 이슬람 선교를 여는 열쇠이다. This paper is 1) to examine Sharia’s definition, resources, and formation process, 2) to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unni schools of Islamic law (Hanafi, Maliki, Shafii, and Hanbali), and then 3)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ir implications in their diversity. Christians who want to fully witness Jesus Christ to Muslims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hariah and diversity between four school of Islamic law. Arabic Sharia means law, which literally means a path to a place of water, or a way to clearly seek grace and salvation. In Sharia’s resources, the hadith of the Prophet Muhammad, along with the Quran, is important. And for matters that are difficult to define in the Quran and Hadith, we define the Muslims’ lives through Ijma (consensus) and Qiyas (analogy). Islam classifies all human actions into five categories: wajib (mandatory), mandub or Mustahab (encouragement), mubah (permissive), makruh (avoidance), and haram (prohibition).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AD, the four Sunni schools of law were formed in order of Hanafi, Maliki, Shafii, and Hanbali. The Maliki school emphasized Medina tradition and the Hanafi School emphasized reason were the mainstream of the early law school. And it was the Shafii school that integrated it, followed by the Hanbali school which most conservative school of four schools. As the Muslims crossed the Arab region through the conquest war, each jurisprudence was located in a specific area, and each developed their own way of interpreting Sharia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heir founders. As a result, it is natural to get ijma (consensus) and Ikhtilaf (difference) on certain issues between the law schools. This diversity of Sharia interpretations allows Christians to discover at least two missional implications. Firstly, Islam is by no means uniform. Therefore, if certain Christians are to fully dedicate Islam mission,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Islam in a specific region, as well as the dominant law school of Sharia. Secondly, for most Muslims Sharia is far more important than doctrine in practical terms. Everything they eat, drink, wash, and worship is directly linked to their obedient life to Allah. If we think about Islam mission, Christians must be more faithful in daily lives than Muslims who follow Sharia.

      • KCI등재

        현대 문화와 하나님의 선교

        정승현(Seung Hyun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7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문화 상품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선교를 감당할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미디어가 존재한다. 고문서에서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미디어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사람들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던 지역은 그 어느 때보다도 미디어를 통해서 가까워지고 있으며 물리적 거리로 인해 느낄 수 있는 이질감은 감소하고 있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급속하게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매스 미디어와 연관하여 세계화를 원심적 세계화(Centripetal Globalization)와 구심적 세계화(Centrifugal Globalization)로 구분할 수 있다. 원심적 세계화는 각 개인이 인터넷 등을 통해 스스로 세계화에 참여하는 방식이고 구심적 세계화는 주로 서구의 미디어 기업들이 문화 상품을 제작하여 비서구 국가들에게 판매하면서 이루어 진다. 미디어를 통해 개인과 기업, 서구와 비서구 양방향에서 진행되는 세계화는 독특한 현대 문화를 창출하였다. 먼저는 비주얼(Visual) 문화이다. 현대인들은 갈수록 활자보다는 다양한 화면이 움직이는 동영상 미디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그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최근에는 미디어가 입체 영상 (3D)을 제공하는 시대에 이르게 되었다. 아울러서 일반인들은 재미를 최우선으로 추구한다. 복잡한 논리보다는 전세계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문화 상품을 통해 자신들의 관심 분야에서 최고의 재미를 맛보기 원한다.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는 갈수록 하나의 순수한 전통 문화는 사라져 가고 있으며 각 미디어는 개체로 존재하기보다는 다른 미디어들과 연합하여 하이브리드(Hybrid)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대 문화의 복잡다단한 상황 가운데 매일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선교를 감당하기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초점을 맞춘다. 그는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이 땅에 보내심을 받고 유대인으로서 일평생을 살았다. 그는 죄에 물들어 있는 인간의 문화를 배척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것들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였다. 특별히 예수는 동시대에 대중적인 대화 방식인 비유를 사용하여 하나님 나리를 증거함으로 유대인들로 하여금 집중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예수의 선교는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떻게 현대 문화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 할지에 대한 열쇠를 제공한다.

      • C1-C6 스펙트럼과 내부자 운동에 관한 비평적 이해와 선교적 함의 모색

        정승현(Seung-hyun Chung) 중동아프리카연구소 2018 아랍과 이슬람 세계 Vol.5 No.-

        The origins and founders of the Insider Movement are difficult to clarify, but in general, the debate began when John Travis classified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Islamic region in 1998 on the C1-C6 spectrum. It seems that indigenous groups of insiders have existed for quite some time. Samuel Zwemer deals with ‘Hidden Disciples’, similar to insiders, in The Law of Apostasy in Islam, which was published in 1924. The insider movement is conducted in the field where the vast majority of the people are Muslims while Christian communities are often marginalized and oppressed. There are quite a few disagreements over the assessment of those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this movement. The majority of Christians never heard of it or are not well-informed about it, let alone,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ise a comprehensive method to evaluate insider movements properly, and to determine the personnel who are qualified to conduct such assessment. The assessment of insider movements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is prioritized between the official and religious ‘proselytization’ of Muslims to Christians and true ‘conversion’ in Jesus Christ. The biggest concern for the insider movement is the syncretism. However, Travis argues that the danger can be minimized by an ‘alongsider’, a person who will walk with insiders to help them understand and practice the whole gospel through a continuous relationship. In addition, 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of insiders through the use of recent technologies can help overcome syncretism.

      • KCI등재후보

        이슬라모포비아의 이해와 선교학적 함의

        정승현(Seung Hyun (Nathan) Chung)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2016 Muslim - Christian Encounter Vol.9 No.2

        The prejudice of Islamophobia did not suddenly appear after the terrors of 9/11 2001. It has had long and deep historical roots. In November 1997, the Runnymede Report, Islamophobia: A Challenge for Us All launched in the UK launched discussions in public and studies in academic level as well. According to Runnymede, “Islamophobia refers to unfounded hostility towards Islam. It refers also to the practical consequences of such hostility in unfair discrimination against Muslim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to the exclusion of Muslims from mainstream political and social affairs.” Chris Allen insists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components of Islamophobia; 1) Islamophobia is an ideology, 2) it operates and functions in the public and privates spaces through a vast range of different actions, and 3) it performs as exclusionary practices against Islam and Muslim, including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vandalism and so on. One of prejudices of Islamophobia is monolithic view towards Islam and Muslim, although there are huge diversities among them. Muslims in Europe and the US have lived in different social and economic settings. Terrorists based on Islam like IS kill many Muslim themselves. In South Korea, the diversity of Muslims is growing as the population of them is increasing caused by the influx of immigrated labor population. Like the case of tragic accidents in France in 2015, most media only focus on religion of people who committed terror or massacre rather than deal with fundamental issues like discrimination which Muslims have to face daily lives. They are excluded and marginalized in a wider society of Europe. The sense of Islamophobia is increasing in Korea in relation to growing immigrant workers, terrors in the globe, and prejudice of the mass media. Since Christians experiences the unconditional love and grace of Jesus Christ, we need to view them in different ways compared to ordinary people. Like Jesus who talked to a woman in Samaria called Sychar, Christians should talk with them without prejudice so that they may get an opportunity to be introduced to the Kingdom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