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화폐(Virtual Currency)의 세법상 분류와 과세

        정승영(Seung-Yeong Jeong) 한국국제조세협회 2015 조세학술논집 Vol.31 No.1

        기존 화폐제도에서 벗어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안에서만 존재하는 지급결제수단이자 투자대상인 비트코인(Bitcoin) 등 가상화폐에 대해서 각국별로 세제상의 대응방안이 여러 국면으로 나누어져 있는 상황이다. 다만, 미국, 캐나다, 독일등의 주요 국가들에서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활용한 거래를 교환거래의 일종으로 파악하여, 그 차익을 자본이득으로 과세를 하고자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2013년 말, 비트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추진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입장은 내놓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ICT산업과 사회환경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들의 사용이 용이한 상황이므로, 가상화폐에 대한 세법상의 분류는 물론, 과세방향에 대한 내용도 정리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지급결제수단이자 투자대상이 될 수 있는 가상화폐에 대해 그 구조를 상세하게 알아보고, 그러한 가상화폐의 자산 유형 분류에서부터 거래 관련 과세 방향과 기본적 해결방안에 이르기까지 검토해보았다. 우선 가상화폐를 세법상으로 분류할 때에는 가상화폐가 법정통화에 해당될 수 없어 새로운 유형의 무형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외화와 같이 평가대상에 해당되는 자산은 아님을 밝혔다. 또한 거래에 있어서 개인과 법인이 비트코인을 지급결제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캐나다의 경우와 같이 교환거래로 보고 과세할 수 있는 구체적인 흐름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만, 독일의 경우와 유사하게 비트코인이 사업상의 지급결제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국가에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검토하여, 과세관청이 비트코인에 대한 과세거래 정보 수집을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studied about transactions with virtual currencies, like a bitcoin, and virtual currencies themselves. Korean Tax authority has no idea to classify and treat virtual currencies in Tax law. It focused on this problem of virtual currencies in Tax law. It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1) It gives the overview of a virtual currency and a transaction with virtual currencies. (2) It considers that a virtual currency would be a legal tender or not. If not a legal tender, what kind of property is a virtual currency? It suggests to make an resolution to this question. (3) It proposes to need a tax administrative system to register an official virtual currency account for tax purposes. First, Virtual Currencies would be classified with three types. Type 1 is “no exchange”, Type 2 is “one way exchange”(a real money to a virtual currency, and no vice versa). But Type 3 is “interactive exchange”(a real money to a virtual currency, and vice versa). This paper focuses on the Type 3 virtual currency, like a Bitcoin. Therefore it explains major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Bitcoin Scheme. Second, It suggests to give an plausible answer or a feasible resolution to whether a virtual currency be treated as a legal tender or not. A legal tender has originally two features : one is an economic function, and another is the legal status designated by countries. A virtual currency does not have the latter, and so it can be a new kind of intellectual properties, instead of not being a legal tender. This chracterisation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Germany, Canada, and the People Republic of China, etc. Third, assuming some transa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 and a person, or between a self-employer and a person, the tax authority may need parties related to a transaction with virtual currencies to register their own official virtual account for tax purpose and management. Because it has the asymmetric inform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ax authority and taxpayers for tax purposes, and this unimbalance would be derived from the nature of the Type 3 Virtual Currency as a cryptocurrency that guarantees anonymity. This request is on the similar approach and logical basis that we look over, and manage to cash transactions. So if companies or self-employers use some virtual currency on their own business, it should make them to register virtual currency accounts for their business.

      • KCI등재

        사용인의 부정행위에 따른 가산세 중과처분과 장기 부과제척기간 적용에 관한 小考:대법원 2021. 2. 18. 선고 2017두3895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정승영(Seung-yeong Jeo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21 조세연구 Vol.2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법원 2021. 2. 18. 선고 2017두38959 전원합의체 판결에서의 가산세 중과처분과 장기부과제척기간 적용에 관한 법리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보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대법원 대상 판결의 문헌적 분석 및 관련된 법리 문헌 검토와 비교법 제 관련 사항을 검토․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법원 2017두38959 판결의 다수의견에서는 가산세 중과처분에서의 사용인의 부정행위가 납세자 본인의 부정행위가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하고 있으나, 해당 사유는 가산세 감면을 위한 정당한 사유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대법원 2017두38959 판결의 별개 및 반대의견에서는 장기 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하는 것이 행정상 제재라는 설명을 하고 있지만, 부과제척기간의 장단(長短)이 납세자에게 불리하다는 이유만으로 행정상 제재라고 보는 것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연구의 시사점] 국세기본법상 장기 부과제척기간은 일반 부과제척기간에 비하여 그 기간이 지나치게 길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입법상 개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보면, 일본의 경우와 같이 조세포탈의 공소시효와 장기 부과제척기간의 기간을 일치시키는 것도 합리적인 입법 개선방향의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는 사항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egal logic and opinion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38959, which examines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minority opinion on the view of a taxpayer’s responsibility from Insiders’ fraudulent act in detail. [Methodology] This paper uses legal analysis on the literature and case reviews. [Findings] These result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ly, it revise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majority’s opinion in the Supreme Court Case 2017Du38959. The majority’s opinion drew the limitation for taxpayer’s responsibility due to employee’s insider fraud by noninclusion of taxpayer’s deemed activity. It makes a logical paradox about a set of wrongdoing in taxation. On legal basis of the majority opinion’s view, it is reasonable to elaborate the case on the basis of the justifiable ground in the tax law. Secondly, it examines the minority’s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Case 2017Du38959 for the view of special period rules of tax imposition in the tax law. The minority’s opinion regarded application of long-term period on tax imposition as some administrative penalty against taxpayers. However, This view’s content does not consider to affect tax fairness and tax avoidance problems irrelevant with time. [Implications] This paper suggests some improving points to amend the special period rules for tax imposition. Considering the case of Japanese tax law revision, the special period rules of tax law have the same timeline as the statue of limitation on tax evasion.

      • KCI등재

        법인지방소득세의 외국납부세액공제 관련 쟁점에 대한 고찰

        정승영(Jeong, Seung-Yeong) 한국국제조세협회 2020 조세학술논집 Vol.36 No.1

        최근 법인지방소득세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는 사례(최근 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8두50000 판결과 관련된 사례 및 제주지방법원 2019. 6. 12. 선고 2018구 합5431 판결)에서는 법인지방소득세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 체계에서의 간접외국 납부세액 공제와 의제된 익금 발생분에 대한 처리, 법인세와 지방소득세 간 과세표준 산정방식 공유에 따른 문제점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 산정방식과 외국납부세액공제 체계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판결에서 나타나는 법원의 판단 논리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법인지방소득세에서는 외국납부세액공제와 관련하여 법인세법과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일원화된 세액공제 체계를 두고 있다. 법인세에서는 외국납부세액 취급방식 중 세액공제 방식을 선택하면 간접외국납부세액에 대한 의제익금(법인세법 제15조 제2항 제2호)이 과세표준에 산입되지만 해당 금액이 세액공제를 통해 조정된다. 반면, 법인지방소득세에서는 법인세 과세표준 산정방식을 그대로 따르지만, 간접외국납부세액에 대한 의제익금(법인세법 제15조 제2항 제2호)에 대한 후속처리 방식을 규정해두지 않아 최근 사례가 등장하게 된 것이었다. 최근 사례와 관련하여 법원의 판단 논리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고 있다. 법인세와 법인지방소득세가 법인세 측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 금액을 공제하는 통합된 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세공평이나 지방세의 과세 목적과 취지 등을 고려하여 법인세와 법인지방소득세에서 각각 세액공제 또는 손금산입 중 하나로, 완전하게 독립된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해석과 접근방식은 법인세에서 세액공제된 부분을 다시금 법인지방소득세에서도 손금을 산입하여 이중으로 비과세될 수 있음을 인정하는 등, 오히려 조세공평에 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금액과 법인세법의 과세표준 금액을 동일하게 할 경우, 여전히 법인세법 제15조 제2항 제2호의 의제익금 발생 문제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입법 보완 방향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관하여 일본의 사업세에서 채택하는 방식 등을 살펴보고, 입법 개선 방안에 대해서 검토ㆍ제시하였다. This paper generally explores to focus on controversial cases related to local corporate income (the Supreme Court 2018Du50000 Decision, the Seoul High Court 2018Nu33038 Decision, the Suwon District Court 2017Guhap 68067 Decision, the Jeju District Court 2019Guhap5431 Decision), and the foreign tax credit regime on Local Corporate Income Tax based on the Local Tax Act and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in Korea. Chapter 2 of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ystem of Foreign Tax Credit on foreign sourced income including in local taxes, and also analyses four decisions focusing on using the credit method based on the Corporate Income Tax, and ‘tax on tax’ problem which arises from the deemed foreign corporate tax inclusion by Article 15(2)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Especially, the Jeju District Court Decision allowed the taxpayer to choose the credit method or deduction method separately in the field of Corporate Income Tax and Local Income Tax. Chapter 3 of this paper firstly suggests two legally analysed points on the Court’s decisions. One is that the Court’s decisions would be included in legally logical limitation which creates a part of non-double taxation amounts on taxable income of a corporation. Another point is that the Jeju District Court’s decision makes a logical contradiction against the fundamental logic grounds such as tax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Nonetheless, we would be faced with the necessity of resolving a ‘tax on tax’ problem which arises from the Article 15(2)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On basis of the necessity for amending related legal grounds, this paper also reviews practicable legislative options to resolve the ‘tax on tax’ problem. It suggests three resolutions considering the comparative circumstances like the Japanese adjustment regime for foreign tax credits between corporate income tax and local corporate income taxes. In the long-term, we need to redesign the legislative framework to only tax the national territorial sourced income for local income tax purpose.

      • KCI등재후보

        미국의 단계 거래(Step Transaction)에 대한 과세와 우리 세법상의 시사점

        정승영(Jeong Seung Yeo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12 조세연구 Vol.12 No.1

        미국에서 단계 거래에 대한 과세에서는 실질과세의 원칙(Substance Over Form Doctrine)에서 분화된 경제적 실질 판단 이론(Economic Substance Doctrine)과 단계 거래 이론(Step Transaction Doctrine)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에는 조세회피 행위에 대해서만 적용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조세회피행위에 주로 쓰이는 논리이나, 기업 재조직(Reorganization)으로 볼 수 있는 행위들을 판단함에 있어도 활용되는 등, 그 역할이 조세법 전반에서 다각도로 활용된다는 차이가 있다. 특히 경제적 실질 판단이론은 2010년 법제화[IRC Section 7701(o)]가 이루어지면서 판례법 체제와 다른 양상을 맞이하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는 법제화가 이루어진 경제적 실질 판단 이론의 내용 탐색과 더불어, 단계거래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계 거래 이론의 주요 검증 기준들, 약정의무 판단기준 검증(the Binding Committment Test), 최종 목적 판단 기준 검증(the End Result Test), 상호의존성 판단 기준 검증(the Interdependence Test)의 내용을 주로 살펴보며, 미국의 판례법이론의 내용들의 기준들을 참고하여, 명확한 적용이나 해석 기준이 확립되지 못한 우리나라의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에서 등장하는 주요 개념의 해석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In the U.S., the principles of taxation on Step Transactions is from the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they call these principles the Step Transaction Doctrine and the Economic Substance Doctrine. This two Subset Doctrines are divided by their own features. The Step Transaction Doctrine plays a role in reorganizing and recharacterizing multi-step transactions in the U.S. tax system. but the Economic Substance Doctrine carries considerable weight in the anti-abuse system of taxation. In other words, the former has been used in many aspects of the U.S. tax system, but the latter has been used in only one side, the anti-tax avoidance role of the U.S. tax system. Based on the above, on this thesis, it has looked through the effect from the codification of the Economic Substance Doctrine. It has also scrutinized the features of the Three Alternative Tests of the Step Transaction Doctrine;the Binding Committment Test, the End Result Test, and the Mutual Interdependence Test. Underlying on the above analysis of the U.S., it has reviewed Article 14 paragraph (3) of the Basic Act for National Taxes comparably. Through analyzing comparably, It has made the meaning of major concepts of Article 14 paragraph (3) clear;the Economic Substance and the Unreason.

      • KCI등재

        해외 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과세상 쟁점 고찰

        정승영(Jeong, Seung-Yeong) 한국국제조세협회 2021 조세학술논집 Vol.37 No.2

        본고에서는 국내 카드발급기관과 해외 신용카드사 간의 거래에서 지급된 대가와 그 거래의 실질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국내 카드발급기관과 해외 신용카드사간 대가 지급 관계에서 국내 신용결제 네트워크에 해외 신용카드사가 관여할 수 없는 구조임에도 대가가 지급되고 있다는 점을 두고 국내 원천의 사용료소득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관한 사항과 부가가치세법상 용역의 공급 장소는 어디로 볼 수 있는지 여부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외 신용카드사들의 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는 해외 신용카드사가 신용결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지급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뢰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가장 중요하고도 본질적인’거래 요소로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거래의 실질은 여러 유형의 대가를 포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분할할 수 없는 하나의 서비스 거래이다. 한편, 국내 카드발급기관과 해외 신용카드사 간에는 크게 2개로 분리하여 볼 수 있는 유형의 거래가 있는데, ⅰ) 일반적으로 해외 신용카드사가 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신용카드사가 일정한 대가를 수령하는 경우(국내 카드결제 거래에 대해 일정한 비율을 적용하여 지급하는 발급사분담금지급ㆍ수취 거래), ⅱ) 해외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본질적 거래(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해외 카드결제 거래에 대해 일정한 비율을 적용하여 지급하는 발급사일일분담금 지급ㆍ수취 거래)이다. 위의 구조 안에서 소득과세의 측면을 살펴보면, ⅰ)의 거래(발급사분담금 지급ㆍ수취 거래)는 해외 신용카드사가 제공하는 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의 본질(거래의 실질)에서 벗어나 있어 국내 카드발급기관이 분리된 특수 요소(상표 사용)에 대해 대가를 지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이다(국내 원천 사용료 소득으로 분류 필요). 반면, ⅱ)의 거래(발급사일일분담금 지급ㆍ수취거래)는 네트워크 서비스 거래의 실질 분류에 맞춰 해당 거래 금액 전부를 사업소득으로 분류하여야 하는 일체의 거래이다. 또한 해외 신용카드사의 신용결제 네트워크 서비스 거래의 실질에 맞춰 부가가치세의 과세상 용역의 공급 장소 측면에서 살펴보면, ⅰ)의 거래(발급사분담금 지급ㆍ수취 거래)는 그 부가가치세 과세상 용역의 공급 장소가 국내이지만, ⅱ)의 거래(발급사 일일분담금 지급ㆍ수취거래)는 용역 공급거래의 중요하고도 본질적인 부분이 수행되는 장소를 국내의 장소로 특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 따라 본고에서는 ⅱ)의 거래(발급사일일분담금 지급ㆍ수취거래)에 대해서 부가가치세 과세상 용역의 공급 장소는 국외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generally explores controversial cases regarding the Global Credit Card Payment Network Service (the Seoul High Court 2017Nu38104 Decision and three other court decisions), and the true nature of the Global Credit Card Payment Network Service (GCCPNS) in Taxation. Chapter 2 examines four controversial tax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taxation, and VAT. First of all, it elaborates on the nature of GCCPNS through considering global credit card networks driven by foreign credit card companies. Secondly, it reviews four high court decisions with similar facts and circumstances. On the common view of these cases, it is possible to divide them into two categori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 owned network constructed and operated by a foreign card company is used. Fees based on domestic transactions such as Issuer Assessment or Domestic Assessment do not necessarily use GCCPNS, but fees based on cross-border transactions such as Daily Assessment Incoming or Cross-border Volume fees necessarily utilize the owned network created from GCCPNS.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 transactions, the courts chose their respective approaches to solve the tax issues about domestic sourced royalties, and the place of supply for VAT purposes, in these transactions. Chapter 3 firstly suggests the true nature of GCCPNS provided by foreign credit card companies. First of all, considering court cases (namely, CIBC Case(2021FCA10), Sierra Club Case(86 F.3d 1256), and others) grounded in similar circumstances, it is argued in this Chapter that GCCPNS is a single compound transaction comprising several transactions (transaction processing, licensing of a brand, brand management and promotion, payment network management) but only artificially divisible, because foreign credit card companies built the system of GCCPNS for business purpos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creating and operating the original credit payment network. On the logical grounds of GCCPNS, enjoying the specific value of the network is the principal service being provided, and other sub-transactions are incidental. From this perspective, income paid from local card issuers in the case of utilizing GCCPNS (Issuer Assessment, or Domestic Assessment treated) is classified as domestic sourced royalties. Expanding this approach in order to arrive at a decision as to the correct VAT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gal position to solve the VAT place of supply issues for the GCCPNS. Considering the place where ‘Significant and Fundamental’ activities are carried out by taxpayers, the Supreme Court 2009Du19229 Decision, which was based on similar circumstances, took the approach of looking at where a taxpayer performs his original value-created services through a network which has been constructed and operated. In this Supreme Court decision, transactions related to Daily Assessment Incoming or Cross-border Volume fees will be classified as outbound transactions for VAT purposes.

      • KCI등재

        현행 가업승계세제의 입법적 개선방안

        정승영(Seung-Yeong Jeong)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1

        최근 정부에서는 성장사다리를 마련하는 수단 중 하나로 가업승계세제의 개선을 제시한 바있다. 이는 기업의 경영 노하우와 보유기술 등이 세대를 넘어 계승되고 발전함으로써 기업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고용창출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둔 것이다. 현행 가업승계세제는 법체계적 측면에서 볼 때,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의 가업상속공제와 조세특례제한법상의 가업승계를 위한 증여에 관한 과세특례로 이원화되어 있다. 또한 그 내용상에 있어서도 경영참가요건의 세부 내용과 고용 유지와 관련된 요건에서도 이원화되어 구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는 상속 또는 증여가 가업승계 목적일 경우에 시점 간의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까닭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국(독일, 일본, 미국, 영국)의 입법 사례들을 통하여 현행 가업승계세제의 개선 방안에 대해서 검토해보았다. 주요국의 입법 사례들을 살펴보게 되면, 가업승계세제가 가지는 사회적 가치에 토대를 두고 법체계와 내용에 대한 일관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기초해보면 현행 가업승계세제의 주요 개선방향 및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볼 수 있다. 첫째, 가업승계세제에 있어서 그 목적과 가치교환체계를 명확하게 확립할 필요가 있다. 가업승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세지원과 사회에서 가장 원하는 고용 창출ㆍ확보 및 유지의 교환 체계가 가업승계세제 전반에 일관되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의 가업승계세제의 프레임은 지나치게 과거 지향적인 프레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피상속인의 대표이사 재직 요건 등이나 가업의 주된 업종 범위 제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내용이다. 가업승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경영의 지속성이므로, 이와 같은 프레임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구성 방식으로 가업승계세제의 내용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among Germany, Japan, the U.S., and the U.K. legislative cases. It suggested that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of Korea be changed by the future economic effect in Korean society. Because of looking out the percentage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revenue in the total of 2011, it only held under 2% of the total tax revenue. It deducted from the legislative viewpoint of the major 4 countries’ tax systems (Germany, Japan, the U.S., and the U.K.) The German tax preference system suggested some important viewpoints for our tax preference system. It already had a good effect for changing our system : it provided the labor prong in Family Business Succession by inheritance. The Japanese tax preference system has a similar standing like Korea. It absorbed the policy implication from the German system, but it only gives these tax preferences only for the SMEs. The U.K. tax preference system has taken some radical positions than other countries. It causes their own tax system which is the capital gain tax system(no gift tax system), and the inheritance tax system at the same time. The U.S. tax preference system on the company succession was abolished in 2013. Analysing comparative legislative views, it suggested two major implicative viewpoints for amending the Korean tax preference system on Family Business Succession. (1) Establish the Social Value Balance on Family Business Succession : “Tax preference in exchange of keeping or creating works.” It makes all-sized companies be able to use the tax preference. (2) the Inheritance and the Gif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is just the same except only the time lag. So Family Business Succession by the Gift should be added to the labor pro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상화폐(Virtual Currency)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문제

        정승영(Seung-yeong Jeong) 한국국제조세협회 2016 조세학술논집 Vol.32 No.1

        비트코인(Bitcoin) 등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는 주요 금융기관들이 주목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과 더불어, 법제도적으로도 많은 이슈를 낳고 있다. 그 중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 것이 가상화폐의 성격과 부가가치세 과세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5년 10월에 있었던 대표적인 사례인 유럽 사법재판소의 Hedqvist Case(Case C-264/14)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한편, 유럽 사법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부가가치세제 내에서는 가상화폐를 ‘통화’로 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북미, 일본, 중국, 호주 등 기타 다른 대륙의 국가들의 소비세제 내 입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와 전통적인 통화 간의 교환거래에 대해서 각국별로 접근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과세논리에 따라서 세 가지 입장으로 대별되고 있다. ① 유럽연합, 영국 등에서는 가상화폐를 통화(Currency) 또는 유통증권(Negotiable instrument)으로 분류하고 가상화폐의 통화 교환 거래에 관한 업무를 부가가치세 면세 거래로 구성한다. ② 미국 New York State 등에서는 미 연방 국세청의 과세지침에 따라 가상화폐를 통화로 분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 주별로 가상화폐를 무형자산으로 분류하여 Sales/Use Tax를 과세하지 않는 구조로 나가고 있다. ③ 일본, 싱가포르, 호주 등에서는 전면적으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일반적인 자산이나, 용역으로 분류하여 소비세 과세 대상 거래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트코인을 게임 아이템과 유사하게 재화로 분류하고 있는 국세청 질의회신 사례가 있는데, 이는 지급 목적으로 활용한 마일리지 거래와의 해당 목적에서는 그 본질이 다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취급상 달라지는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유럽과 유사하게 지급수단 역할이 주목적인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통화로 분류하거나, 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이에 맞춰 접근 방안을 정리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자체를 공급하는 거래에 대해서 거래 유형별로 구성해본다면, B2C 거래, C2C 거래, B2B 거래 모두 부가가치세 과세 부담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타당하며, 특히 비트코인을 기존의 통화와 교환하는 거래 업무 역시 환전업과 동일하게 취급하고자 법령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is article explored bidirectional flow virtual currencies such as Bitcoin and their Value Added Tax issues. Particularly, It examined the Bitcoin system and their VAT issues in global area.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ree major parts : technological features and transactional process of Bitcoin, global legislative trend of consumption tax on transactions with virtual currenci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and tax implication on the Hedqvist case (Case C-264/14, 2015.10.) by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t found tax implications as it follows. First, Global trend of consumption tax system is bifurcated : the European approach and the Australian approach. The European approach would treat virtual currencies with bidirectional flow like Bitcoin as Currencies in the current tax system, thus this approach would have to a tax consequence for the VAT exemption on the Bitcoin Exchange service. In another side, the Australian approach would regard Bitcoin as a taxable good in the Goods and Services Tax system. Therefore It draws a tax results which the Bitcoin Exchange service would be taxed on stage by stage. Meanwhile, the Korean National Tax Service"s stance is unclear. Second, the Hedqvist case has some tax implications. It suggested that we come at an legal ordinance of "currency" from the substantial approach, not the textual approach. This approach brings to categorise virtual currencies which have secured universal market as "a currency" in the tax law. Based on this view, the virtual currency exchange service made a tax legal logic that it attract the VAT Exemption in Europe by the EU VAT Directive Article 135(1)(e). Third, the Korean National Tax Service made an unclear approach by answering a tax query about Bitcoin and VAT related issues. Considering the Hedqvist case and global trend, it will make a clear tax approach about virtual currencies and related transactions in Korea. Regarding some global tax issues reviewed in this article, Korean Value Added Tax Act would need to be revised preferentially. A rational approach that we need to apply transactions with B2C, C2C, and B2B cases should be exempted Value-added tax : one transfers an open-flow and universal virtual currency itself to another, or a business provides the virtual currency exchange servic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tax logic which it classifies virtual currencies with open-flow system and universal area as a currency like traditional currencies(a legal tender or foreign curr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