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연요인과 Irisin 발현 고찰

        정승록,어수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18 자연치유연구 Vol.3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Irisin(browning) by natural factors such as 'cold' and 'aging' and was undertaken to understand the health factors and positive effects associated with fat metabolism, which can be attributed to natural factors. First study was that 6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and exposed cold for 4 weeks(300 min/day, 5 times/ week, -15°C~-25°C).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60°/s and 240°/s by Humac Norm) and irisin concentration were measured pre and post cold exposure. Second study was that we examined the changes of serum Irisin expression by aging process(10wk, 80wk) and aerobic exercise. Conduct of aerobic exercise with regular cold exposure or aging process is a factor that increases browning of white fat The increase of Irisin is a positive factor for the imbalance of fat metabolism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 KCI등재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 완화를 위한 기독교산림복지 실천

        정승록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9

        본 연구는 숲의 치유자원을 활용한 영성 증진프로그램을 중년여성에게 적용하여 갱년기증상의 완화 그리고 회복탄력성과 행복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기독교산림복지의 실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40∼60세 중년여성이었으며 20명이 모집되었다. 실험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계하여 10명씩 무선 할당하여 실시되었다. 숲 영성프로그램은 2018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주 2회 적용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험 전에 한 번 측정하고 실험 후에 다시 한 번 측정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사전-사후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89.6%가 갱년기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갱년기증상은 회복탄력성과 행복과 부(-)의 상관관계에 그리고 회복탄력성은 행복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경우 갱년기증상이 경험 전에 비해 경험 후 완화되고 회복탄력성과 행복이 개선되었다. 그러므로 숲의 치유자원을 활용한 영성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을 치유할 수 있는 대체요법의 가능성이 있다. 교회는 사랑, 회개, 감사 등과 같은 기독교 덕목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이나 행복 등과 같은 가치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숲을 활용한 영성 프로그램 개입과 같은 기독교산림복지의 실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at spirituality program using forest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herapy to alleviate climacteric symptoms and enhance resilience and happiness in middle women, and was to suggest so-called forest practice of Christian welfare. 20 subjects who dwell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is research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10 numbers) and control group(10 numbers). Spirituality program applied to 10 experiment subjects from March 1, 2018 to March 30, 2018 twice a week.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4. Mean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identified by Pre-Post test.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89.6 percents of subjects showed climacteric symptoms. Second, Climacteric symptoms was negatively related into Resilience and Happiness. Resilience was positively related into Happiness. Third, in experiment group, climacteric symptoms was alleviated, and Resilience and Happiness was enhanced in the result of intervention. Therefore, it would be said that spirituality program using forest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herapy to alleviate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 women. It is necessary for church community to intervene middle women’s climacteric symptoms in ways of using forests or creating healing environments, and also to take Resilience and Happiness discussed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as well as traditional christian virtues such as love, forgiveness, thanks.

      • KCI등재후보

        치유농업활동이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승록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2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치유농업활동이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22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에11명씩 최대한 동등하게 배정한 다음 활동 후 얻은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 점수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다. 실험집단은 1일 1회 7일간 ‘수확의 기쁨’ 제목의치유농업활동을 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조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의 경우 활동 후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가감소하였고, 셋째, 적극적 대처행위를 더 빈번하게 소극적 대처행위는 덜 빈번하게 사용하였고, 넷째, 직무만족도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치유농업활동은 스트레스에 취약한 요양보호사들의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에 유용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산림휴양이 기독교인의 신앙 몰입과 치유ㆍ회복에 미치는 영향

        정승록,박병화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본 연구는 기독인의 건강한 신앙생활에 있어 산림휴양의 효과와 필요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휴양 만족이 신앙몰입과 치유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조사는 서울지역 소재 10개 교회 소속 기독교인들 가운데 산림휴양을 경험한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기입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산림휴양 이용행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은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산림휴양 만족은 신앙몰입의 ‘행위몰입’에, 영적 안녕감의 ‘실존적 안녕감’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인 타인과의 관계’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림휴양은 ‘자존감’에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신앙몰입의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은 영적 안녕감의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신앙몰입의 ‘행위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에 유의하게 그리고 ‘인지몰입’은 ‘긍정적인 타인과의 관계’에 근사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앙몰입의 ‘행위몰입’과 ‘인지몰입’ 모두 ‘자존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휴양은 신앙생활의 몰입을 높이고, 영적·심리적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관계의 회복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휴양은 신앙생활의 치유에 있어서도 기독교 산림복지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of forest recreation for the more healthy and peaceful faith life among christians. For this purpose, it examined caus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at is, ‘Forest recreation satisfaction’, ‘Faith commitment’, ‘Spiritu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It was surveyed to christians who had experienced forest recreation from about 10 churches in seoul.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for the survey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It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users activities, and di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hypotheses. The result was that, first, Forest recreation’s Satisfaction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Existential well-being’ of Spiritual well-being and ‘Self-acceptance’ and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ut Forest recreation had not an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of Spiritual well-being, respectively. ‘Cognitive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had an approximately positive effect on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havioral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elf-accept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To conclusion, forest recreation among christians would raise the degree of faith commitment, enhance the sense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urthermore, have an positive effect on a restor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forest recreation in healing and restoring christian’s stressful faith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Forest Welfare.

      • KCI등재

        독거노인의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기독교 상담적 의의 -

        정승록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밝혀 그것이 기독교 상담에 갖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는 서울 도봉지역에 거주하면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65세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은 성별, 나이, 학력, 소득수준, 경제활동, 사별경험, 종교, 정부지원, 건강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과 부(-)의 관계를, 우울과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공동체의식은 우울과 부(-)의 관계를, 삶의 만족과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공동체의식은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동네환경 무질서 인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독교 상담은 개인의 미시적인 경험에 대한 이해는 물론 거시적인 지역공동체 차원에서 원인을 찾고 가용한 자원들을 분석하여 이들이 치유 혹은 치료 자원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적절한 케어 공동체에 연결을 돕는 능동적 지지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some suggestions on christian counseling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surveyed 220 seniors dwelling and using Seniors Welfare Center in Dobong-Gu, Seoul. And 195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study had the findings as below. First, a sense of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oup according to Sex, Age, Academic Background, Economic Activity, Spousal Bereavement, Religion, Government Grants, Health. Second, neighborhood disorder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Sense of community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and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sense of commun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and also had the whole mediating effect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Life satisfaction. Desirable christian counseling would need to act as a positive supporter to help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ccess resources for healing or care by connecting optimal care community, as well as to understand their micro-experienc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강 악안면 영역에 발생한 대상 포진 환자의 치험례

        김일규(Il Kyu Kim),최진호(Jin Ho Choi),정승록(Sung Rok Jeong),오성섭(Seong Seob Oh),오남식(Nam Sik Oh),김의성(Eui Seong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6 No.3

        Herpes zoster is acute viral infection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vesicles that occur on the skin and mucous membrane along the pathway of an involved sensory nerve. The incidence is increased in those who have history of trauma, malignant tumor, radiation therapy and the immuno-suppressive drug users. Although herpes zoster is usually as benign viral infection, complications may occur especially when cranial nerves are involved. So careful treatment is necessary when cranial nerves are involved. We have treated two cases. One is involved trigeminal nerve mandibular branch, another maxillary branch. We have used conservative therapy, pain control, acyclovir on this area and obtained good result. After 17 and 8 months respectively, no complications occur in our two cases. So we present two c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