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가정환경,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이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정순철,이원정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n school records of family environment, learner's attitude, school life, seat position in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ed for family environment, learner's attitude, school life by 121 students, and conformed the school records after consent and institutional review board. Mean age was 21.7-year, and men 54.5% and women 45.5% for sex. Learner's attitude and school life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for school records(p<0.001),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learner's attitude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for family environment(p<0.001). It showed significantly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and learner's attitude(r=0.437, p<0.001). Seat position i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more than women(3.40 vs. 3.89, p=0.004), as well as in grader. Between school records ≥ 90% and <90% group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 in school life (4.35 vs. 4.11, p=0.045) or learner's attitude(3.75 vs. 3.37, p=0.004), seat position(3.89 vs. 3.45, p=0.007). Therefor, school records are effected significantly by learner's attitude and school life, seat position in college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가정환경 및 학습태도, 학교생활, 좌석위치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전 소재 D대학교의 OO학과 121명 학생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적을 확인하였다. 모든 참여자로부터 동의서를 받았고, 기관연구심의위원회 승인 후 수행하였다.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21.7세였고, 성별은 남자 54.5% 여자 45.5%로 남자가 많았다. 학교생활과 학습태도는 성적에 의미 있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p=0.001), 가정환경에 대해서는 학교생활(r=0.486, p<0.001)와 학습태도(r=0.454, p<0.001)가 의미 있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학교생활과 학습태도 간에도 의미 있는 양의 상관성(r=0.437, p<0.001)을 보였다. 좌석위치에서는 남자 보다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3.40 vs. 3.89, p=0.004) 학년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성적 90%이상그룹과 90%미만그룹 간에 학교생활(4.35 vs. 4.11, p=0.045), 학습태도(3.75 vs. 3.37, p=0.004), 좌석위치(3.89 vs. 3.45, p=0.007) 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학생은 학교생활와 학습태도, 좌석위치는 학업성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MR 영상을 이용한 20대, 40대 정상 한국인의 소뇌 부피 계측

        정순철,최도영,이법이,이봉수,엄진섭,손진훈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1 No.5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measure the standard volume of the cerebellum of normal Koreans who were in their 20s and 40s, and we also wish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volume of the cerebellum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MR brain images from 118 people in their 20s (males: 58, females: 60) and 100 people in their 40s (males: 41, females: 59), for a total of 218 people. For each of sagittal, coronal and axial sections, the cerebellar part of the images was segmented using automatic and manual methods, and the volume was then measured. In order to observ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also to observe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gender and age, a two-way ANOVA test was performed using gender (2 levels) and age (2 levels)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average volume of the cerebellum of Koreans in their 20s was 133.74 (cm3) and that of Koreans in their 40s was 121.83 (cm3). The average volume of the cerebellum of male Koreans in their 20s and 40s was 134.55 (cm3) and that of female Koreans was 123.06 (cm3). The volume of the cerebellum was significantly larger in Koreans in their 20s than those volumes of the cerebellum of Koreans in their 40s, and the cerebellum volumes in male Koreans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Korean females. Moreover, the reduction of the volume of the cerebellum with ag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male Koreans than in the Korean femal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volume of the cerebellum for normal Koreans in their 20s and 40s, the volu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the reduction of the volume of the cerebellum with ag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men than in women. 목적: 20대와 40대 정상 한국인 소뇌의 표준 부피를 계측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소뇌 부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대 118명(남자 58명, 여자 60명)과 40대 100명(남자 41명, 여자 59명) 총 218명을 대상으로 MR 뇌 영상을 획득하였다. 횡단면, 시상면, 관상면 세 단면 각각에 대해 자동과 수동의 방법을 병행하여 소뇌 부분을 분리하고 부피를 계측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와 성별과 연령의 상호 작용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성별(2수준)과 연령(2수준)을 독립변인으로 한 이원 변량분석(two-way ANOVA)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수행하였다. 결과: 20대 한국인의 평균 소뇌 부피는 133.74(cm3)이었고, 40대는 평균 121.83(cm3)이었다. 20대와 40대 한국인 남자의 평균 소뇌 부피는 134.55(cm3)이었고, 여자는 123.06(cm3)이었다. 40대에 비해 20대가, 여자에 비해 남자의 소뇌 부피가 유의하게 컸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자의 소뇌 부피 감소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결론: 20대와 40대 정상 한국인의 소뇌부피 계측 결과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에 따른 소뇌 부피 감소는 여자에 비해 남자가 더 컸다.

      • 통신 서비스를 위한 REST 기반 통화/메시징 Open API

        정순철,강미경,최대우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

        기존 지능망 서비스들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됨에 따라 수익이 나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점 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요즈음 전통적인 전화망과 인터넷의 결합이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PC와 같은 인터넷 단말은 전화망의 전통적인 단말보다 저장 장치 및 유저 인터페이스 면에서 더욱 더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IT 개발자들은 전화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Parlay API를 사용하면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쉽게 만들 수 있다. HTTP 상의 SOAP을 사용하여 쉽게 두 컴퓨터 노드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더라도 일반적인 개발자는 현란한 XML 포맷 때문에 SOAP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REST 기반 API는 이러한 것의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는데, 추가적인 프로토콜 층이 없이 HTTP 층만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REST 기반의 Open API 를 소개한다. 제안되는 API는 클릭투콜, 미니 컨퍼런스, 통화 녹음, 주문형 오디오 재생, 단문 메시징 및 음성 메시징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API 특징은 전화망과 인터넷의 컨버전스의 강력함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