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오천정씨(烏川鄭氏) 가문의 전통 발견 -정습명(鄭襲明) 묘단(墓壇) 설치를 중심으로-

        정수환(Jung, Su-Hwan) 포은학회 2015 포은학연구 Vol.15 No.-

        조선후기 문중활동은 이른바 향촌사회사의 측면에서 위선활동의 일환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일찍이 에릭홉스봄이 제기한 전통의 발견이라는 문제의식을 조선시대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한다. 그는 정치적, 사회적 주도권(Hegemony)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된 역사적 현상에 주목한 바 있다. 시범 분석을 위한 사례로 오천정씨문중의 시조 묘단 설치를 둘러싼 움직임을 추적했다.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는 오천정씨는 17세기에는 오천서원(烏川書院)을 중심으로 한 향사, 18세기에는 시조 묘단의 설치를 통해 가문의 전통을 확립했다. 전통의 발견은 성리학적 질서 확립과 연결된 정치적 영향의 결과로 ‘충(忠)’의 실제를 강조하거나 사회적으로 관향지(貫鄕地)를 영일(迎日)에서 ‘오천(烏川)’으로 제한하는 차별화를 통해 성취되었다. 오천정씨 가문이‘충’과‘오천’이라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전통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정습명에서 정몽주(鄭夢周)로 이어지는 가계의 연결성이 배경으로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One of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during the late Choson period that can be further explored is the clans’activities in their respective country districts in Korea. These activities have been analysed as methods through which exercises were developed to alleviate the social hierarchy that had developed among the different clans. However, when it comes to hegemony and tradition, this research frame may also be applicable to Hobsbawm’s structure. His key concepts related to tradition and invention cope with how to figure out hegemony and power relations and contain both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For this reason, the case of Korea has been examined to employ the invention of tradition in the case of the Ohchǒn-Jung clan . The founder of the Ohchǒn-Jung clan was Jung Seup-Myung (鄭襲明); his clan worked to carry out the clan’s unique prior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Jung clans which were founded by others. They established the Ohchǒn Sǒwon (烏川書院) with the founder’s spirit tablet and periodically held memorial services during the 17th century. Furthermore, they also built the founder’s ancestral shrine, as the burial sight was not clearly identified. This event took place at the next centenary. The Ohchǒn-Jung clan invented their tradition with a heavy emphasis on loyalty; Ohchǒn (烏川) was the place of their origin. Loyalty was one of the core concepts of the neo-Confucianism that became the national institutional policy, and Ohchǒn was a social differentiation campaign that distinguished this clan from the other Jung clans. These traditional concepts are also associated with Jung Mong-Ju (鄭夢周), as he was regarded as the author of many of the tenets of neo-Confucianism; he was also the descendant of Jung Seup-Myung, who lived in Ohchǒn. In conclusion, the Ohchǒn-Jung clan invented their tradition and implemented their system of political and social hegemony as a reflection of these events and concepts.

      • 진양하씨 초간보(1608)를 통해 본 17세기 족보편찬의 유형 검토

        정수환 ( Jung Su-hwan ) 한국계보연구회 2012 한국계보연구 Vol.3 No.-

        진주를 토성으로 하는 진양하씨의 족보가 처음 간행된 것은 1608년(선조 41)이었다. 이에 앞서 개인적으로 자신의 직계 선조만 정리한 일종의 家乘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이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족보로 편집하고 이를 목판으로 간행한 것은 이때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초간보인 『진양하씨세보』가 간행되었던 17세기는 여러 성씨들의 초간보가 간행되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진양하씨 초간보 간행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은 暮軒 河渾(1548~ 1620)이었다. 그는 1606년 족보를 편집하고, 1608년 내용에 대한 교정을 통해 간행 할 수 있다. 족보의 간기에 의하면 ‘1608년 가을 교정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교정에는 하경중과 성계갑이 참여 했음을 알 수 있다. 하혼이 족보를 편찬하고자 한 의도는 기본적으로 선조의 업적을 드러내려는데 있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이 미친 현재적 해석의 의미는 그의 의도를 뛰어넘는 것이었다. 첫째, 족보를 편찬하면서 남자 들을 중심으로 한 관계성만을 정리한 것이 아니라 어머니, 할머니를 비롯하여 딸, 사위 등 혼인을 통해 형성된 여성계열의 정보도 수록 했다. 이러한 내용을 수록한 족보를 ‘內外譜’라고 하며, 이러한 것은 남성과 여성이 대등한 사회적 지위와 가족적 입지를 지녔던 이 시기의 관념을 반영한 것이었다. 둘째, 족보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참여한 여러 인사들이 16세기에 산림으로 활동한 南冥 曹植(1501~ 1572)의 문인들로 구성되었다. 이로 인해 족보의 내용에 조식과 관련한 학통,혈연적 연결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양하씨세보’에는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엽 영남우도 지역 지배층의 혈연적, 학문연 연결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족보의 편찬과정에서도 이러한 지연, 혈연, 학연이 강하게 작용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씨의 발원지인 진주(= 진양)를 지키고 있는 진양하라는 지연적 기반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15세기 이 성씨에서 배출한 대표적 관료이자 학자인 河演(1376~ 1453)을 정 점으로 그의 후손들에 대한 기록을 전개하면서 혈연적 연결성에 바탕한 친족간의 결집을 의도하고 있었다. 『진양하씨세보』는 하혼이 편찬, 편집을 주도하여 간행되었다. 그는 지연, 혈연, 학연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 했다. 그의 결과물에는 단순한 계보인식을 바탕으로 한 조상 현양의 목적 차원이 아닌 17세기 초의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Jinyang Ha Clan’s genealogy was originally published in 1608 (the 41st year of King Seonjo’s reign). The clan is said to have originated in Jinju, Gyeongsang-do. Prior to this publication, individual family lineage records were made, but the Jinyang Ha Clan’s genealogy was the first to be compiled and printed using woodblocks, under the title of The Detailed Genealogy of the Jinyang Ha Clan. Notably, in the 17th century, various clans’ initial genealogies began to be published. The publication of the Jinyang Ha Clan’s initial genealogy was led by Ha Hon (1548-1620). He compiled a genealogy in 1606, and proofread and published it using woodblocks in 1608, the first work of its kind. According to the genealogy publication record, proofreading was conducted in the autumn of 1608, with the help of Ha Gyeong-jung and Seong Gye-gap. Ha Hon promoted his forefathers’ achievements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genealogy. The output of the genealogy, however, is considered to have meant more than his purported purpose. First, in compiling the genealogy, he recorded not only male lineages, but also female lineages including mother, grandmothers, daughters and son-in-laws. This type of genealogy is called the paternal and maternal genealogy, which reflected the egalitarianism between males and females within families of those times. Second, editors for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included various literati from the 16th century under the school of the famous regional scholar Jo Sik(曹植, 1501 ― 1572). This led the genealogy to contain much of the Jo Sik-related lineage and school. As such, the Detailed Genealogy of the Jinyang Ha Clan reflected much of the lineages and schools of the ruling class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offering ample materials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modem times. It was confirmed that such lineage and school influences were greatly reflected in the compiling of the genealogy. The genealogy was based on a clan which originated in Jinju. And, the genealogy described Ha yeon(河演, 1376 ~1453), a representative 15-century bureaucrat and scholar from this clan, and his offspring, thus attempting to further solidify kinship ties. In addition, the genealogy implied a connection with the disciples of Namyeong(南冥)Jo Sik(曹植). Ha Hon led the compilation, editing and printing of The Jinyang Clan Ha Detailed Genealogy, collecting extensive data through regional, lineage and school networks. His output was much more than a simple genealogy, reflecting Korean society in the 17th centur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7세기 화폐유통과 전답매매양상의 변화 : 賣買明文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정수환(Jung Su-Hw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3

        17세기를 중심으로 1601년부터 1720년 사이 작성된 전답매매명문 1,714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 시기 화폐유통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17세기 말 동전의 유통을 계기로 나타난 전답매매 경향의 변화상을 분석하기 위한 전제로서 통계적 방법을 통한 매매 현상들을 도출하였다. 17세기 전답매매명문에 등장하는 매매수단은 크게 포목, 미곡, 동전, 은, 우마 등 다양하다. 포목과 미곡은 매매수단으로 이용된 경우 품질의 편차가 심하다. 포목은 17세기 중엽 동전 유통이 논의될 시기 升品이 낮았으나 동전유통에 앞서 품질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 매매수단의 시계열별 추이는 1680년 이전에는 포목을 이용한 매매가 압도적이었으며, 1681~1690년 미곡 중심의 매매로 전환되었다. 1691년 이후 동전을 이용한 매매가 주요한 매매수단으로 대두되어 18세기 초에는 83.1%가 동전을 매매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전답매매수단의 변화는 지역적인 차별성이 존재한다. 전라도는 1680년 이전 포목중심의 매매에서 1681~1700년 미곡을 이용한 매매로 전환 되었다. 동전은 18세기부터 중추적 매매수단으로 부상했다. 이에 반해 경상도는 1690년 이전의 포목중심에서 1691년 이후의 동전 중심 매매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충청도는 1680년 이전 포목중심의 매매경향을 나타내면서도 1681~1690년 미곡 우위 속에서 포목이 함께 이용되었다. 그리고 1691~1700년 동전과 미곡이 대등하게 이용되었으며 1701년 이후 동전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어 전라도와 경상도의 완충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동전유통으로 인해 나타나는 매매양상의 변화는 월별 매매경향, 매매규모, 매매사유 등에 대한 行錢 전후의 경향 비교를 통해 추적했다. 행전이후 6~9월에 이루어지는 매매비율은 행전이전보다 낮았음에 반해 11월~2월의 매매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매매규모에 있어서도 행전이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3두락 미만의 토지 중심으로 매매가 이루어 졌다. 토지의 전래경위와 매도사유는 동전유통을 계기로 경제활동에 의한 ‘自己買得’과 토지경영의 합리화를 위한 ‘移買’의 비중이 높아지는 계기성을 엿볼 수 있다. Based on historical written contracts for land dealing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into actual profile of contemporary monetary circulation and resulting historical transitions of land dealing practices(賣買明文). To meet the goal,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historical literatures in the 17th century, and dealt particularly with 1,714 land dealing contracts(originated from 1601 to 1720). Those contracts dealt with rice paddy(畓), ordinary fields(田) and house sites(家垈) for dealing. According to literatur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 variety of transactional means used for land dealing, such as cloth, cereal, coin, silver, cattle and coffin. There were many cases of bad quality cloth used for land dealings in early half of the 17th century. But central and local circulation of coin money(1674) made a chance to improve quality of cloth used for land dealings. In terms of cereals, non-milled rice appeared as a major mean of land dealings after 1670, and was widely used for various dealings till 1710. On the other hand, coin money of Joseon dynasty emerged in 1670 and worked as crucial means of dealing after 1690. According to literatur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 of dealing means among regions in Korea. Before 1680, cloth-based land dealings in Jeolla province accounted for 82.8% or higher of all land dealings, whereas about 70% of all land dealings in same province from 1681 to 1700 were based on cereal offer. Next, coin-based land dealings accounted for 44.8% after 1701, which indicates a strong tendency of Jeolla(全羅) province to use coin for land dealings after the 18th century. In Gyeongsang(慶尙) province, it was found that cloth was used as number one means of land dealings (61.5%) before 1690, whereas coin accounted for highest ratio (75%) of means for all land dealings after 1691. That is, this province shows a rapid change of means for land dealing from cloth to coin. In Chungcheong(忠淸) province, cloth was used as major means of land dealing before 1680, while cereal and coin came to account for higher ratio of all means for land dealing from 1681 to 1700. And in Chungcheong province, coin accounted for 80 % or higher of all land dealings after 1701. The circulation of coin made a chance to cause changes to some aspects of land dealing. According to comparison annual land dealing timings before and after coin circulation,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land dealings from June to October was lower after coin circulation than before, while that of land dealings from November to next February was higher after coin circulation than before. These tendencies were almost identical in dealing of rice paddy and ordinary field among 3 provinces. In the trend of land dealings on scale, it was found that 6 or more duraks of land scale comprised mainstream of land dealings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 however, 6 or more duraks of land scale were gradually losing land market share, so that 6 or less duraks of land scale comprised mainstream of land dealings in the early 18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전쟁과 일상, 기록 그리고 텍스트 검토

        정수환(Jung, Su-Hwan) 한국사학사학회 2021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4

        임진전쟁을 기록으로 남긴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일상에 관한 기술 자세를 확인했다. 대상 자료 실록, 일기, 고문서를 순차적으로 검토했다. 고문서는 현장에서 동시에 작성한 기록이라는 특징을 가지면서 전쟁으로 인한 기근, 실농, 유리걸식 그리고 당황과 애통의 감정을 담았다. 이는 전쟁의 일상이었다. 그리고 전쟁 중 일상을 기록한 일기는 주변의 관찰, 소문과 확인 그리고 직·간접적인 경험을 담고 있다. 일기는 외부 세력에 의한 일상의 파괴를 수록하면서 이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실록은 전쟁 후 17세기 초의 관점에서 ‘임진왜란’으로 평가하면서 왜군에 의해 발생한 극한의 상황과 파괴된 정치와 도덕을 수록했다. 이는 통치와 교훈의 관점에서 서술하면서 사회질서의 혼란을 일상의 파괴로 평가하는 관점이다. 고문서, 일기, 실록은 1592(선조 25)~1598년(선조 31) 사건에 대한 기술 자세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일상을 기록한 사료의 층위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documents left a record of the Imjin War. It is compared and reviewed to confirm the attitude toward daily life. The subject data annals of Choson Dynasty, diaries, and historical documents -sales contracts- are reviewed sequentiall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historical document is characterized as a record written at the same time on the spot, and contains feelings of famine followed by spoiled farming and begging around, and embarrassment and sorrow caused by the war. This is the daily life of the war actually. And the diary, a record during the war, contains observations, rumors and confirmations around it, and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The diary contained daily destruction by external forces and maintained a posture to accept this as daily lif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in the Imjin War evaluated it as the ‘Japanese Inva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rly 17th century after the war. This kind of expression contained the extreme situation caused by the Japanese army, destroyed politics, and morality. This wa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and lessons, looking at daily life as a confusion of social order. As such, historical documents, diaries, and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show different attitude toward the Imjin War. It represents the stance of the describing and recording the 1592-1598 incident of the Choson Dynasty, and shows the texture of historical records

      • KCI우수등재
      • 융합보안 R&D 이슈 및 방향

        정수환(Souhwan Ju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09 情報保護學會誌 Vol.19 No.3

        최근 IT기술이 각종 산업에 융합된 제품군에 다양한 보안 솔루션이 탑재되면서 융합보안 산업이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종 산업간 융합은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해 주지만 이와 반대로 다양한 보안적인 이슈사항을 야기 시켰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부상하고 있는 차세대 융합산업에 대한 동향을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고, 또한 해당하는 융합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슈와 요구되는 보안기술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18세기 권상일의 시장접촉과 화폐경제생활

        정수환(Jung, Su-Hwan)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4

        18세기 시장의 발달과 한 지식인의 시장에 대한 관찰과 접근, 그리고 동전의 유통으로 인한 개인 화폐경제생활의 변화를 권상일의『청대일기』를 바탕으로 연구했다. 권상일은 농업중심의 자립적 가계경영을 강조 했다. 그는 이익(李瀷)등과의 교류 과정에서 상업 발달에 따른 사회적 사치 분위기에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권상일은 경상도 상주의 근암리에 살면서 경제적인 활동을 전개했다. 근암리는 행정구역으로는 상주에 속하면서도 거리상으로 문경, 예천, 함창, 용궁과 인접해 있었다. 권상일은 인근의 여러 장시 중 근암리 인근의 산양장과 주로 접촉했다. 상업에 부정적인 입장을 지닌 권상일이었으나 현실에서는 주변 시장의 동향에 대한 관심과 관찰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곡물, 어물 등이 시장에 등장하는 시기와 상인의 동향, 그리고 계절에 따른 곡물가격의 변동 등을 관찰했다. 권상일의 일기에는 현물로 주고받은 선물의 기록이 있다. 그는 節扇과 簡紙등을 주로 선물 받았으나 70세 이상부터는 곡물, 어물 등의 음식물에 대한 선물 비중이 증대했다. 원거리에 대한 선물과 부조는 동전을 이용했다. 17세기 이전 곡물과 면포를 이용 한 매매활동과 달리 18세기 전반의 상황을 반영한 『청대일기』에는 경제생활의 중심이 동전으로 바뀌는 기록이 있다. 권상일은 약, 생선, 토지, 말 등을 매매하였으며, 이 경우 결재수단으로 동전을 이용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