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설팅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정수현 ( Soo Hyeon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장학의 특성, 필요성, 실태, 문제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컨설팅장학의 정착을 위한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3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컨설팅 장학이 ‘주체로서의 교사, 학교의 필요에 따라 높은 전문성을 지닌 교원들이 주로 수업과 관련한 문제해결을 위해 도움을 제공하는 활동’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실제에서는 컨설팅장학이 사실상 의무화되면서 교사들의 관심·필요와 동떨어진 1회성 연수 위주로 형식화되고, 이로 인한 교사들의 소극적·수동적 자세와 컨설턴트의 역량·자질 부족이 맞물리면서 컨설팅장학의 효과가 감소하여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을 강화하는 악순환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한편으로, 교사들의 필요와 자발성에 부합하는 컨설팅장학과 컨설턴트의 높은 전문성이 교사들의 긍정적 반응을 가져올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었다. 컨설팅장학에서 학교·교사의 자발성과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 학교·교사의 주체로서의 위상 강화, 컨설팅장학의 정체성 확립, 교사 하위집단별로 차별화된 전략 수립 등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icient administration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through analyzing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it`s charateristics, necessity, reality, and problems. Using the structured interview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32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eachers expected that the consulting supervision should become ‘the activities in which the teachers who had high expertise offered help to solve mostly the instruction-related problems’. In practice, the consulting supervision have become a duty to the teachers. As a result, participating the consulting supervision has resulted in the passive attitudes of teachers. And they may de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by interacting with lack of the competences and qualifications of the consultants, which would in turn intensify negative perception of teachers. But the possibility was somewhat expected that the consulting supervision which is based on the needs and spontaneous demands of the schools and teachers and high expertise of the consultants would result in the positive responses of the teachers. From now on, such tasks as securing spontaneity of the teachers/shools and expertise of the consultants, enhancing the status of the teachers/schools as the main agents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establishing identity of it, and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perceptions of teachers`.

      • KCI등재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 및 성과 분석

        정수현(Soo-Hyeon Jeong),박상완(Sang-Wan Park)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2

        12개 학교의 학교운영위원 및 학부모에 대한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운영위원회의 실태와 성과를 분석한 결과, 학교운영위원회는 대체로 평범하고 무난하게(성공 또는 실패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운영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성과도 거두고 있으나 학교교육에서의 본질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자율성 부족, 교육활동의 촉진보다 제도적 순응의 차원에서 학교운영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그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과 실패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오히려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적 운영을 촉진하는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학교운영위원회로 인해 학교장, 교사, 학부모의 영향력의 영역이 모호해지거나 중첩되고 있으므로 의사결정의 수용 영역을 고려하여 학교운영위원회 제도가 개선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and whether school governing committees properly(successfully) work and their actual impact on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is article, "successful school governing committee"(or high-performance school governing committee)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empowering school teacher,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ies and of enhancing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and school community to improve education practice.<br/> We compared the successful schools to the schools with less successful(not unsuccessful) in school governing committee. We visited 12 schools in 6 provinces and interviewed a total of 59 school committee members and parents including principal.<br/> We fou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successful and less successful school governing committee is vague and requires clear criteria. For school governing committee to work, several conditions(these are facilitator factors to successful school governing committee) are necessary: 1) people at the school must have "real" authority and autonomy over curriculum, budget, personnel, 2) school governing committee must deal with the agenda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more than before, 3) a well-develope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among the committee members and all the members of school community should be created, 4) commitment in terms of time and enthusiasm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chool governing committee members is necessary, 5) there must be a principal and/or chairman of the committee as main leaders. 6)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office must be provided.

      • 교사평가의 쟁점과 과제

        정수현(Jeong, Soo-hye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연구와 실천 Vol.75 No.-

        이 연구에서는 교사평가를 둘러싼 다양한 쟁점들을 논의하고,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평가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사평가의 목적, 대상, 내용, 참여자, 방법 및 절차, 결과 활용 등을 둘러싸고 다양한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쟁점들을 고려하여 교사평가의 주요 과제들을 교사평가 체제의 기본 철학 및 신념 확립, 교사평가 체제의 목적 및 구조 재정립, 교사평가 대상의 분화 및 차별화, 교사평가 내용의 재구성, 다면평가의 합리적 정착, 교사평가 과정에서의 교사 권한 및 자기주도성 강화, 평가 방법의 개선, 평가 결과의 공개 및 적절한 활용, 교사평가에 대한 주기적 자료 수집, 교사평가와 관련한 행·재정 지원제체 구축, 교사평가와 학교평가, 장학, 컨설팅 등 여타 질 관리 기제와의 관계 정립, 교사평가에 임하는 학교구성원들의 능동적 자세 확립 등으로 제시하였다. 그러한 과제들이 지향하는 교사평가의 방향을 종합하면 학교구성원 간의 반성적 대화로서의 교사평가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diverse issues about teacher evaluation and to suggest the tasks of teacher evaluation. Many issues were found concerning purposes, targets, contents, participants, methods and procedures, and uses of teacher evaluation. Based upon the discussion of these issues, the following tasks of teacher evaluation were suggested: rebuilding the philosophy and beliefs concerning teacher evaluation, reshaping the purposes and structure of teacher evaluation, differentiating the evaluatees, reorganizing the teacher evaluation areas, criteria, indicators, settling successfully multilateral teacher evaluation system, empowering teachers in the teacher evaluation process, improving the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giv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results of teacher evaluation to the evaluatees and making proper use of that results,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about the teacher evaluation periodically(meta-evalua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establishing the system for supporting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dministrative1y and financially, reshaping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valuation and other quality assurance mechanism such as school evaluation, supervision, consulting or consultation, building positive and active attitudes of the school members toward teacher evaluation. In conclusion, teacher evaluation needs to pursue reflective dialogue among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 KCI등재

        대화 개념에 근거한 학교컨설팅 방법론 탐색

        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에서 자발성의 원리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학교컨설팅이 일종의 대화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전제하고, 대화의 특성과 대화를 강조한 Socrates와 Freire의 사례로부터 학교컨설팅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우선, 학교컨설팅은 현안 문제의 해결과 더불어 지속적인 학교 개선을 위한 학교의 역량 증진, 특히 학교문화의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또한 학교의 진단과 해결책 구안에 있어서 학교의 구성원(내부협력자와 초점 집단)이 적극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 학교컨설팅은 학교에 대한 총체적 이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학교의 진단과 해결 방안 구안에서 학교 컨설턴트는 다양한 방법들을 동원하여 학교를 이해하고 자신보다 학교 구성원의 시각과 통찰을 우선해 야 한다. 끝으로 특정 학교에서의 컨설팅은 지속적이어야 하되 후속되는 학교컨설팅은 내부 컨설턴트가 맡아야 한다. 이러한 방향을 구현하기 위한 학교컨설팅의 절차와 그에 따른 과제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directions of school consulting from the traits of dialogue and the claims of Socrates and Freire on the premise that school consulting should be a kind of dialogic process if the principle of spontaneity is to be satisfied. As a result, the directions which have been derived are as follows. First, adding to solving pending problems, school consulting should pursue the growth of school's capacity for continuous school improvement, especially the change of school culture. Second, the members of consultee school(the inner consultant and target group) should take an active role in diagnosing that school and providing solutions. Third, school consulting should start from holistic understanding about the consultee school. Fourth, school consultant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consultee school using various methods and emphasize the perspective and insights of school members more than his own. Fifth, school consulting for the consultee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ally. But follow-up consulting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inner consultant. Based on these directions, the procedures of school consulting as a dialogue were suggested.

      • 불법 촬영의 유형과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로의 포섭

        정수현 ( Jeong Soo Hyeon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9 공익과 인권 Vol.19 No.-

        본 연구는 현행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가 불법 촬영을 적절히 포섭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나아가 입법적 제언을 함으로써 그 규율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촬영행위 중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일단의 촬영행위를 불법 촬영으로 정의하고, 보호법익으로서 성적 자기결정권의 의미를 밝히고 피해의 양상을 고려하여 범죄화가 필요한 불법 촬영을 특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의 구성요건과 판례가 범죄화가 필요한 불법 촬영 중 다수를 포섭하지 못함으로써 처벌의 공백이 생기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입법을 통해 구성요건을 신설함으로써 기존 구성요건의 문제점과 판례의 엄격한 해석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그 실효성 및 헌법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rime of taking pictures using cameras’ stipulated in the Article 14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sufficiently covers the incidents of spycam photographing and filming, and to make legislative suggestions for its crimina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defines spycam photographing and filming as an act of taking photos or films that infringes on the objects’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This paper also clarifies the meaning of sexual self-determination in terms of its protection as legal benefit, and points to the failure of the current legal system to criminalize spycam photographing and filming. In order to overcome problems with the current provision of elements of crime and rigid interpretation in judicial cas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elements of crime through legisl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ideas for legislative improvement of the current act regarding the ‘crime of taking pictures using cameras’, and examines their effectiveness and constitutional valid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