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60년대 對日貿易과 公木 · 公作米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4 No.-

        조선 정부는 공무역(公貿易)에서 일본이 가져온 물품에 대하여 15세기 초부터 면포 즉 공목(公木)으로 결제해 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19세기 중엽에는 공목의 일부를 쌀로 바꾸어 지급했는데 그것을 공작미(公作米)라 불렀다. 왜관을 통해 대마도로 건너간 조선의 공목과 공작미는 일본 대마도 경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글에서는 1860년대 공목과 공작미 문제를 분석하였다. 1862년에는 조선의 공무역 담당자가 실제로는 미지급된 공목과 공작미가 남아 있었는데도, 그들이 마치 왜관에 완납을 한 것으로 중앙정부에 보고한 적이 있었다. 그들의 상대편인 왜관의 일본 측 공무역 담당자들은 공목과 공작미를 완납 받기 위하여 온갖 노력을 다했다. 1864년에는 왜관의 일본인들이 왜관으로 들어간 조선 역관을 왜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그런가 하면 그들이 왜관 밖에 있던 조선 역관의 근무지인 임소(任所)까지 찾아와서 그곳에서 철야를 하다가 다시 왜관으로 돌아가는 일도 있었다. 이것은 공목과 공작미 지급이 근대 이전의 대일무역 뿐만 아니라 대일외교에서도 중요한 문제였음을 의미한다. The Joseon Korea government paid cotton cloth (gongmok) in the official trade with Japanese traders for their exports from Japan in the fifteenth century. Later, from the mid-seventeenth century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Joseon government converted some of the cotton cloth into rice (gong jakmi). The cotton cloth and rice transported to Tsushima from Joseon became the foundation of Tsushima’s economy. The problems relating to cotton cloth and rice are analyzed in this paper. Korean trade officials reported untruthfully that they had paid in full to Japan, though, in fact, there was cotton cloth and rice that had not been paid to the Japan House (Waegwan) in 1862. However, Japanese trade officials (daikan) made greater efforts to receive the full payment of cotton cloth and rice from the Joseon government. For example, Japanese trade officials prevented Korean trade officials from leaving the Japan House in 1864. In addition, Japanese trade officials visited and stayed all night in the office (imso) of the Korean interpreters of Japanese language (hundo and byeolcha), and returned to the Japan House the next day. This is evidence that the payments of cotton cloth and rice could be an economic or a diplomatic problem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pre-modern period.

      • KCI등재

        조사시찰단의 보고로 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8 No.-

        이 글은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에 관한 것이다. 첫째, 분석 자료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한 사람으로 일본을 다녀온 이헌영(李헌永)의 보고 자료이다. 다른 하나는 일본 대장성(大藏省)이 발간한 일본의 조선무역 자료이다. 둘째, 분석 대상은 1880년 한 해 동안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이루어졌던 무역 실적이다. 이 분석을 통해서 조선의 해관(海關) 설치와 각국에 대한 개항이 본격화되기 전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점이 이 논문의 특징이다. This paper verifies the statistics of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80. First, the materials for analysis are two. One is the set of reports by Lee Heon-Yeong who visited Japan as a member of Korean Embassy to Japan in 1881. The other materials are the foreign trade reports publish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in 1881. Second,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performance of trade between the two nations for one year.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80 were grasped through analyses of the trade materials reported by Lee Heong-Yeong and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in 1881.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상인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한 돌외추출물의 효과와 안전성에 관한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임상시험

        정성해,이명구,박미숙,김재문 한국임상약학회 2011 한국임상약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 standardized special ethanol extract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as a management for anxiety and stress of normal population. This is a two-arm, parallelgroup, randomized, double blind clinical trial comparing Gynostemma pentaphyllum extract 200 mg bid (GP-EX, n=48) or placebo bid (n=54). The main outcome measures were the decrease in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 the State version (S-STAI) of the Stait-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the Trait version (T-STAT) of the STAI from baseline over a 6 weeks treatment period. In more anxious group (S-STAI50 or ASI19), the anxiety in group with GP-EX was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one in normal population with placebo [S-STAI50: T-STAI = from 57.7 ± 6.5 (mean ±S.D.) to 46.8 ± 11.2 in normal population with GP-EX, p=0.002 vs. from 54.1 ± 9.9 to 49.0 ± 9.6 in normal population with placebo, p>0.05; ASI19: T-STAI = from 47.2 ± 12.0 to 42.4 ± 11.1 in normal population with GP-EX, p=0.022 vs. from 48.7 ± 11.5 to 46.0 ± 10.4 in normal population with placebo, p>0.05].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dverse reactions considered possibly related to treatment were mild gastrointestinal events. GP-EX is more effective than placebo and is well tolerated as a therapy for anxiety and stress of normal population.

      • KCI등재후보

        개량형 정보표시 화면설계 지침의 일원화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정성해,차우창,Jeong, Seong-Hae,Cha, U-Chang 대한인간공학회 2004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3 No.2

        Human error has brought about accidents more than 50% in system of a large size and complicated expecially in nuclear power plants(NPPs). The technology of Man Machine Interface(MMI) has been changed to the digitalized controls employing computer-based technology. According to this trend. the human factors guidelines are becoming main issue for reliable supports to digitalized information displays. However. the existing human factors guidelines is not enough for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on NPP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reliable design and evaluation guidelines for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in main control room (MCR) of NPPs. In this study. the various general human factors guidelines concerning information display on CRT are integrated on data base management system. unified based on the integration rules. and applied in computer based procedures. The use of the integrated guidelines are expected to evaluate the existing information display on MCR in NPPs from the human factors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Preserved Ocular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to Head Tap in a Patient with Positive Head-Heave

        정성해,Carol A. Foster,Darcy Strong 대한평형의학회 2015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4 No.4

        Vestibular function can be evaluated using various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Among these, head heave and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VEMP) represent the otolith-ocular response, which is dynamic rather than static.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tap-evoked VEMP and head-heave in dizzy patients. Here, we report dissociation between ocular VEMP to head tap and the head heave test in acute vestibulopathy.Res Vestib Sci 2015;14(4):152-154

      • KCI등재후보

        편두통성 현훈의 진단과 감별진단

        정성해 대한평형의학회 2012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1 No.2

        Migrainous vertigo is one of common recurrent vestibular disorders. Because the diagnostic criteria have not been yet settled internationally, we have a difficulty in both diagnosis and research in migraineurs with vertigo. Literature about the diagnostic criteria of migrainous vertigo and its differential diagnosis were reviewed. Until now, the criteria proposed by Neuhauser et al. is regarded as most adequate in diagnosis of migrainous vertigo. Differential diagnosis of migrainous vertigo should be guided by distinction of vestibular symptoms and nonvestibular dizziness and consider the common causes of recurrent vertigo. Just like migraine itself, migrainous vertigo is diagnosed on the basis of history and exclusion of other vestibular disorders mimicking migrainous vertigo. Therefore, delicate history taking is the most important 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igrainous vertigo.

      • VDT 작업환경에서의 글자 글자에 대한 인간공학 지침 통합에 관한 연구

        정성해,박준용,김남철,차우창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텍스트 기반의 주업무가 이루어지는 VDT 작업환경에서 글자(character)에 대한 여러 지침을 통합하여 글자 설계를 위한 지침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해 VDT에 관한 인간공학 자료를 수집하여 글자에 대한 지침을 추출하고 비교 분석하여 일원화를 하였다. 그 결과 글자의 특성을 10개의 하위 항목으로 구성하여 통합된 지침을 개발하였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RT vs. FPD)에 따른 글자의 가이드라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는 글자에 대한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지침 제시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따른 글자 설계를 위한 지침으로 사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