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관한 교사 인식 및 선호도 연구

        정선화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fundamental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substantial and practical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through looking into teach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the methods of describing grammar books. Two groups of teachers, experienced and novice teachers, who are real consumers of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Current grammar books were examined regarding how and why they were used by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s for grammar that will be published in the near future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overall methods describing grammar books. In addition, concrete ways of describing grammar books were added to this study.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 2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a grammar book that teachers refer the most when preparing class.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easy explanation for applying to class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had a different expectation to grammar books. Teachers who had not much experience in teaching anticipated even content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and career teachers tried to acquire a deeper knowledge of grammar from grammar books. Unlikely experienced teachers who preferred to use current grammatical terms, novice teachers preferred to change difficult grammatical terms to easy ones, which indicates appropriate grammar book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experience.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of giving a suggestion on describing grammar books for Korean language that will be developed as well as reviewing current grammar books through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보다 충실하고 실용적인 한국어 문법서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조사는 한국어 문법서의 실수요자들인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초보 교사와 경력 교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기존 문법서의 사용 현황과 목적, 새로 개발되는 문법서의 전반적인 내용 기술 방식 그리고 문법서의 내용을 기술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관한 것이다. 조사 결과, 수업 준비 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한국어 문법서는 국립국어원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2였고, 문법서 기술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쉬운 설명’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초보 교사들은 문법서에 교수법과 관련한 내용까지 기술하는 것을 기대하였고, 경력 교사들은 교수법보다는 심도있는 문법적 지식을 얻으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 용어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에서도 기존 문법 용어의 사용을 선호한 경력교사와는 달리 초보 교사는 쉬운 용어로의 교체를 선호하여 경력에 따른 적합한 문법서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인식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해 기존 문법서에 대한 검토와 함께 앞으로 개발될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있어서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고주파관리와 진공감압관리가 체형관리에 미치는 효과

        정선화,최태부,이승자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고주파와 진공감압기가 체형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좀 더 전문화된 사용법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구체적 목적은 체성분, 신체계측, 혈청지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으로 허벅지 중간 둘레가 50cm이상인 20~30대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그 중 6명은 고주파와 진공감압기를 적용하였고, 나머지 6명은 고주파만 적용하여 총 4주간 10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두 군 모두 체성분 분석 중 체중, BMI, 체지방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이 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신체계측은 두 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혈청지질은 실험군에서 Triglycerid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은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 체형관리방법으로 두 가지의 기기를 병행한 관리가 특히 체성분과 허벅지 둘레의 감소에 효과적이므로 앞으로 많이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effects of High Frequency Treatment and vacuum Suction device on body fatness, aiming to suggest a more professional treatment method. Its specific purpose lies in the observation of changes which occur in body components, bodily measurements, and serum fat as a result. Present study is structured based on a before & after resemblance test using different groups. Then, among those 12 women,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and who have more than 50 cm in thigh circumference, 6 women underwent both High Frequency Treatment and vacuum Suctionn treatment, while the remaining 6 underwent only the High Frequency treatment. The test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within a 4-week period.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paired-samples t-test from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PSS 12.0 Statistics program.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both groups decreased in their weight, BMI, and body fat, with the experiment group having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terms of thigh circumference, both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experiment group having more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rum fat, the experimen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iglyceride. Both groups showed no change in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parallel employment of the two facilities as a means to control body fatness is effective, especially in reducing body fat and thigh circumference, and is thus recommendable for the future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