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스트레이디 룩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정선주(Sun Ju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퍼스트레이디 룩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이 역할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퍼스트레이디 룩에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의 이미지를 명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관련 서적 및 선행 연구논문, 관련 사이트와 기사를 중심으로 퍼스트레이디 기간 중에 미셸 오바마와 카를라 브루니의 헤어스타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셸 오바마의 헤어스타일에 특성은 단순성, 세련된 복고, 활동적임으로, 카를라 브루니의 헤어스타일에 특성은 단아함, 절제된 미의 고급스러움, 보수적이면서 즉흥적인 고저스로 명명하고자 한다. 퍼스트레이디로서 외교활동, 선거운동, 사회활동의 역할 수행 시 헤어스타일은 이마를 드러내는 짧은 머리를 많이 보여주었던 미셸 오바마의 헤어스타일과 비교하여 카를라 브루니는 여성스러운 대통령 내조자의 모습이 강조된 것으로 사료된다. Hair styles are one of important elements to decide an image of the First Lady`s look.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y are developed according to roles and name the image of hair styles suitable for the First Lady`s look. Related books, previous researches, and related web sites and news were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air styles of Michelle Obama and Carla Bruni Tedeschi during their First Lady days. As a result, while Michelle Obama`s hair styles were characterized by simplicity, refined retro, and activity, Carla Bruni Tedeschi`s hair styles were characterized by grace, the elegance of the beauty of temperance, and conservative but improvised Michelle Obama who often showed short hair with forehead exposed when performing diplomatic activity as the First Lady, election, and social activity.

      • KCI등재

        헤어트렌드에 표현된 그라데이션 컬러 기법에 관한 연구

        정선주(Sun Ju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트렌드에 나타난 그라데이션염색 기법의 구체적 분석을 통해 입체적이고 다양한 색의 활용으로 뷰티 전반 산업에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관련 서적 및 선행 연구 논문, 관련 사이트와 기사를 중심으로 2009년 S/S부터 2013년 S/S까지의 로레알, 아모스, 웰라, 토니앤가이에서 매시즌제시되는 헤어트렌드의 사진을 추출 후, 그라데이션헤어 컬러의 기법, 재료, 색채, 섹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헤어트렌드에 표현된 그라데이션 컬러의 기법은 가로 섹션을 기준으로 한 기법이 40.1%로 높게 나타났으나, 2013년 S/S에는 하나의 모발단이 그 라데이션 되는 기법이 32.5%로 다른 시즌과 비교하여 많이 응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료는 혼합 재료 사용이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색채는 명도 그라데이션이 54.6%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섹션은 디자인에 맞게 여러 블록에 복합적으로 컬러를 넣는 것이 45.4%로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 컬러에 그라데이션 표현은 기법, 재료, 색채, 섹션 분할의 적절한 조합에 따라 전문적인 테크닉으로서 다양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duce synergy effects in whole beauty industry using three-dimensional and various colors through the analysis of gradation coloring technique expressed in hair tren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hair trend photographs presented every season from L``Oreal, Amos, Wella, and TONI&GUY from S/S 2009 to S/S 2013 in related books, previous research articles, related websties, and news and analyzing the technique, materials, and sections of gradation hair coloring. As a result, the gradation coloring technique expressed in hair trends was high in the technique based on a horizontal section(40.1%), but hair gradation technique was more commonly applied to 2013 S/S(32.5%) than other seasons. Mixed materials(44.7%) and value gradation(54.6%)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materials and color, respectively. Finally, for the section, coloring in several blocks according to design was most commonly found(45.4%).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gradation in hair color became diverse as professional technique according to appropriate combination of technique, materials, color, and section division.

      • KCI등재

        K-뷰티를 통한 저가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브랜드화 전략 모색

        정선주(Jeoung, Sun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K뷰티’를 통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국내 저가 화장품 산업의 해외 진출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글로벌 브랜드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관련 논문 및 단행본, 정기 간행물 등의 문헌 자료 고찰을 통해 ‘K뷰티’를 통한 저가 화장품의 시장 동향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국내·외 신문, 화장품 브랜드의 웹사이트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큰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중국, 일본, 미국, 프랑스, 아세안을 선정하여 각 나라별 성공사례 및 한계점,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중심으로 고찰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K뷰티’를 통한 저가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브랜드화 전략을 모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에만 편승한 영역 확장이 아닌 동남아시아시장을 넘어 미국과 유럽 등 수출 시장의 다변화 및 탄탄한 내수 시장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글로벌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국가별, 상품별 소비 수요의 철저한 분석 및 현지화를 통한 독창적인 제품 개발과 적극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셋째, ‘한류’에서 벗어나 하나의 문화로서 브랜드 컨셉과 스토리를 확립하고 제품에 적합한 유통 채널 및 커뮤니티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K뷰티’를 통한 저가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브랜드화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국내 저가 화장품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데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s of export of the low-price cosmetic industry in Korea which shows the high growth rate through K-beauty and derive a global brand strategy. For study methods, theoretical study on the trend of low-price cosmetic market through K-beauty was conducted by the review of literature such as related papers, books, and journals. Also, China, Japan, America, France, and ASEAN countries that have recently shown a big growth rate were selecte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newspapers and cosmetic brand websites to review and analyze the success stories, limitations, and direction of each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the global brand strategy of the low-price cosmetic industry through K-beauty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xport markets to America and Europe other than Southeast Asia and build up a solid domestic market. Second, the development of unique products and active investment are required through careful analysis of the consumption and demand of each country and product and localiz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brand concept and story as culture not to rely on the Korean Wave and build up good distribution channels and communities for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the global brand strategy of the low-price cosmetic industry through K-beauty. It will contribute to presenting the direction for the stable growth of the low-price cosmetic industry in the world market.

      • KCI등재

        대중매체에 표현된 헤어스타일의 앤드로지너스 경향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 대중가수를 중심으로-

        정선주 ( Sun Ju Jeoung ) 한국미용학회 2009 한국미용학회지 Vol.15 No.3

        Pop singer`s look appears through the exposure to the mass media and specific pop singer`s planned style exerts an influence on people`s fash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This study selected one Korean male singers groupand one female singer, divided the androgynous trend expressed in their hair styles into hair hue, hair volume, and hair decoration,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 very unisex hair style was produced on the basis of liberty not bound by formality without a fixed frame. Second, while pastel and vivid colors were frequently used in male`s hair style, black and low value achromatic colors were used in female`s hair style, suggesting a appropriate match regardless of sex. Third, male`s hard image was represented by a big or small volume of the root or top part of hair using curvy smooth. On the other hand, female`s soft image was expressed by a moderate volume in the tough and straight sense. It suggests the aesthetics of ambivalence. Finally, an image change was achieved by coordinating single items which could express male or female image clearly as hair decoration. It is considered that men and women have a much broader and wider range of free self-expression by sharing each other`s style and it is significant to become th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KCI등재

        국내 스타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수행 사례 연구

        정선주(Jeoung, Sun Ju),장영혜(Jang, Young Hy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스타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수행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그들의 업무범위를 유지 또는 확장 및 개척함으로써 뷰티 인재 양성의 방향성 모색 및 위상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국내⋅외 관련 서적과 정기 간행물, 선행논문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각종 신문 및 주⋅월간지, 웹자료, 연구보고서를 통해 최근 국내에서 스타 헤어디자이너로서 역할 수행을 하고 있는 이순철, 차홍, 정준, 태양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 헤어디자이너는 이미지 시대의 주체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셀럽들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함으로써 뷰티 산업의 유행을 만들어간다. 둘째, 스타 헤어디자이너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최신 헤어트렌드를 제시⋅발표하며 뷰티 트렌드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 셋째, 스타 헤어디자이너는 미디어 출현을 통해 뷰티전도사, 뷰티마스터로서 대중들과 소통함으로써 신뢰도를 형성한다. 넷째, 스타 헤어디자이너는 뷰티 제품, 기기를 런칭함으로써 대중의 소비 트렌드를 충족시켜 그들의 이름에 대한 브랜드파워를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스타 헤어디자이너는 교육, 재능기부, 셀프헤어스타일링 홍보, 환경보호 홍보 등 다양한 형태로 사회 환원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타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수행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헤어디자이너와 관련한 그들의 직무범위를 확장 및 개척하고, 질적 뷰티 인재 양성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nhance the direction and status of beauty talent training by analyzing the cases of role performance of star hair designers playing an active part in Korea to maintain, extend, and open up their duties. For the methods and scope of the study, related books, journals, and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were reviewed. This study selected Lee Soon-cheol, Cha Hong, Jung Jun, and Taeyang as star hair designers in Korea based on various newspapers, weekly and monthly magazines, web data, and research reports and analyzed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ar hair designers created the trends of the industry by doing hair style for celebrities who exercise their influence on the public as the subject of the age of image. Second, star hair designers played the role of locomotive in leading beauty trends by suggesting and presenting the latest hair trends through various channels. Third, star hair designers communicated and built trust with the public as the beauty evangelist and the beauty master through the appearance on the media. Fourth, star hair designers launched beauty products and equipment to satisfy the public’s consumption trends and gain the recognition of their brand power. Fifth, star hair designers practiced giving back in a variety forms such as education, talent donation, self-hair styling promo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romotion. This study analyzed star hair designers’ cases of role perform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extend and open the scope of hair designer’s duty and explore the direction to train excellent beauty talent.

      • KCI등재

        보라색의 상징성을 활용한 헤어컬러 트렌드 제안

        정선주(Sun Ju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트렌드에서 보여지는 보라색의 상징성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한 헤어디자인을 제작함으로써 헤어 색채 디자인 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다양한 색의 활용을 유도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관련 서적 및 선행 연구 논문, 관련사이트와 기사를 중심으로 헤어트렌드에 나타난 보라색의 상징성을 분석 후, 이를 활용한 헤어디자인 3점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헤어트렌드에 나타난 보라색의 상징성은 우아한 여성의 색, 모던.소피스티케이티드의 색, 신비롭고 몽환적인 색, 반항.네오 펑키의 색으로 나눌수 있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신비의 여신, 우아한 도시 여성, 절제된 펑키라는 주제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ir color design plans and guide the use of a variety of colors by analyzing the symbolism of purple color found in hair trends and producing applied hair designs. For study methods, the symbolism of purple color in hair trend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books, previous articles, and related websites and news and three applied hair designs were produced. As a result, the symbolism of purple color in hair trends was classified into elegant woman color, modern and sophisticated color, mysterious and fantastic color, and resistance and punk color. Based on the results, works were produced in the theme of mysterious goddess, elegant urban women, and moderate punk.

      • KCI등재

        소셜 플랫폼에 나타난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활성화 전략 -국내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정선주(Jeoung, Sun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인플루언서와 화장품 브랜드 간의 협업 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SNS 마케팅 속성요인 추출 및 SWOT 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셜 플랫폼에 나타난 뷰티 인플루언서와 화장품 브랜드 간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뷰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콘텐츠 마케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과 논문자료, 통계자료, 정기 간행물의 문헌 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SNS 커뮤니케이션의 기초적인 정의를 이해 및 규합하였다. 실증연구로는 본 연구에 필요한 SNS 플랫폼 상의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의 사례로 포니×에뛰드하우스, 이사베×미샤, 씬님×투쿨포스쿨, 라뮤끄×어퓨, 회사원A×미샤의 5개 사례를 선정·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NS 마케팅 속성(정보성, 상호작용성, 오락성, 신뢰성, 방해성) 요인에 해당하는 100개의 항목을 추출하여, 뷰티 전문가 5인의 평가를 반영한 SWOT 매트릭스 기반의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O전략으로서 트렌드에 강한 영향력을 주도하고 있는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콘텐츠의 유연성 및 양방향 소통의 장으로써 코로나19로 주춤해진 K-뷰티의 성장세를 지속시켜주는 동력이 되어 줄 것이다. 둘째, ST전략으로서 소비의 주체로 급부상한 MZ세대(영상세대)에게 양질의 브랜디드 콘텐츠를 제공하여 올바른 뷰티 문화를 선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방대한 콘텐츠 속에서 최적화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WO전략으로서 콘텐츠를 하나의 소비 문화로 인식하는 흐름 속에서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 간의 협업 마케팅의 수익모델을 다각화하여 1인 크리에이터와 기업이 서로 공생 관계를 형성하는 콘텐츠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WT전략으로서 기업과 국가적 차원에서 1인 크리에이터의 발굴⋅육성 사업을 적극 지원하여 그시스템을 체계화 함으로써 SNS 기반 플랫폼이 정보편식과 파편화된 공론의 장이 아닌 가치 있는 문화의장으로써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관련 규정 및 제도적 정립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SNS marketing attribute factor extraction and SWOT matrix, focusing on the collaborative marketing cases between beauty influencer and cosmetics brands. The SWOT matrix was derived. Based on this, it is considered that the direction of effective content marketing for vitalizing the beauty industry can be suggested by deriving a plan to activate collaboration marketing between beauty influencers and cosmetic brands that appear on social platform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mbined. First, in the literature research through prior studies, the basic definition of SNS communication was understood and assembl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issertation data, statistical data, and periodical publications and Internet data. As an empirical study, five examples of Pony×Etude House, Risabe×Missha, Ssin×Too Cool For School, Lamuqe×A’pieu, and Office Worker A×Missha are examples of the collaboration of the beauty influencer and brand on the SNS platform required for this study.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100 items corresponding to factors of SNS marketing attributes (information, interactivity, entertainment, reliability, and disability) are extracted, and SWOT matrix-based beauty influencers and brands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5 beauty experts We have devised a way to promote collaboration marke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a SO strategy, collaboration marketing of beauty influencers and brands, which are leading the strong influence on trends, continues the growth of K-Beauty, which has been falsified with Corona 19 as a venue for flexible content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It will power you. Second, as a ST strategy, we provide quality branded content to the MZ generation (video generation), which has emerged as the main subject of consumption, leading the right beauty culture, ultimately improving the ability to select optimized information from vast contents. You will have to get out. Third, as a WO strategy, we should diversify the revenue model of collaborative marketing between beauty influencer and brands to create a content ecosystem in which one-person creators and businesses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ourth, as a WT strategy, the SNS-based platform is not a place of information sharing and fragmented public opinion, but a step forward as a platform for valuable culture, by actively supporting the discovery and fostering of single creators at the corporate and national level and systematizing the system. The opportunity to do so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related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are considered to be indispensable factors.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미용서비스품질 평가

        장영혜 ( Jang Young-hye ),정선주 ( Jeoung Sun-ju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는 의 전통적 와 Kano(狩野 紀昭) et al(1984) Vavra(1997)가 제안한 수정-IPA를 활용하여 고객의 입장에서 미용서비스품질 속성과 요인에 대한 포트폴리오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서비스품질 속성에 대한 분석 결과 미용사의 친절/공손한 태도, 높은 수준의 기술 겸비 등은 모두 제Ⅰ사분면에 위치하여 전통적 IPA 매트릭스 관점에서는 `지속적 유지`를, 수정-IPA 매트릭스 관점에서는 충족여부에 따라 미용서비스품질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속성들로 해석할 수 있었다. 서비스 요금의 경우, 전통적 IPA 매트릭스에서는 제 Ⅱ사분면에 위치하여 우선적 시정노력이 요구되는 반면, 수정-IPA 매트릭스에서는 제Ⅰ사분면에 위치하여 미용서비스에 대한 만족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속성으로 확인되었다. 미용실 인테리어의 경우, 전통적 IPA 매트릭스에서는 제Ⅳ사분면에 위치하여 현상 유지적 관점에서 분석되었고, 수정 IPA 매트릭스에서는 제 Ⅳ사분면에 위치하여 불 충족 시에는 불만을 초래할 수 있는 기본요소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내부시설 이용편리, 서비스 혜택 등은 전통적 IPA 매트릭스에서는 제 Ⅲ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속적 개선`을, 수정 IPA 매트릭스에서는 제 Ⅲ사분면에 위치하여 정비례적인 요소로 충족되면 미용서비스품질 전반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속성들로 확인되었다. 둘째, 미용서비스품질 요인에 대한 수정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로 과정품질, 환경품질 모두 제 Ⅰ, Ⅲ사분면에 위치하는 실행요소 즉, 고객 요구의 충족 여부에 따라 미용서비스품질의 전반적 만족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과정품질이 더 중요한 실행요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결과품질은 제 Ⅱ사분면에 위치함으로서 미용서비스 고객이 기대하지 않았더라도, 고객들에게 충족 시 미용서비스품질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는 매력요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IPA를 활용하여 미용서비스업체의 한정적인 마케팅 자원 배분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집중하여야 할 포트폴리오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basic research to explore a portfolio strategy of attributes and factors of beauty service quality from a customer`s angle using traditional IPA introduced by Martilla & James(1977) and modified IPA suggested by Vavra(1997) based on Kano(狩野 紀昭) The major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analysis of beauty service quality attributes, beauty artists` kind/polite attitude and high-quality technique was located in Quadrant I,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keep up the good work` in the aspect of traditional IPA matrix and major attributes which influence satisfaction at beauty service quality when customers` demand is satisfied in the aspect of modified IPA matrix. A service charge was located in Quadrant II in the traditional IPA matrix, requiring to `concentrate here` but located in Quadrant I in the modified IPA matrix, indicating an important attribute which influences satisfaction at beauty service quality. The interior design of a beauty parlor was located in Quadrant IV in the traditional IPA matrix, representing `possible overkill` and located in Quadrant IV in the modified IPA matrix, indicating a basic element which can cause dissatisfaction when customers` demand is unsatisfied. Finally, convenient use of internal facilities and service benefits was located in Quadrant III in the traditional IPA matrix, representing `low priority` and located in Quadrant III in the modified IPA matrix, indicating a proportional element which positively influences general satisfaction at beauty service quality when customers` demand is satisfied. Second, in the analysis of modified IPA matrix on beauty service quality factors, process quality and environment quality was a performance element which was located in Quadrant I and III. In other words, it was a major factor which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s general satisfaction at beauty service quality when customers` demand is satisfied or unsatisfied. Process quality was found as a more important performance element. However, result quality was located in Quadrant II, indicating an attractive element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satisfaction at beauty service quality when customers` demand is satisfied, although customers do not expect. Using IPA,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which can be helpful to establish a portfolio strategy that should have high priority in the distribution of limited marketing resources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 KCI등재

        대중스타의 그라데이션 헤어컬러에 나타난이미지 분석 및 작품 제작 - 남자 아이돌 가수, 남자 배우를 중심으로 -

        장영혜 ( Jang Young-hye ),정선주 ( Jeoung Sun-ju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스타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그라데이션 헤어컬러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디자이너의 아이디어와 제작물을 일관성 있게 제작할 수 있는 색채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연구 방법은 2012년부터 2013년 9월 20일까지 대중 매체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남자 아이돌 가수, 남자 배우의 사진을 각각 20개, 총 40개의 이미지를 선정하여, Adobe Photoshop CS6의 Eyedropper Tool로 컬러 칩과 RGB 값을 추출 후, 각 컬러 칩의 RGB 값을 Munsell Conversion(version 12.1.13a)의 HV/C 값으로 데이터화하였다. 이를 IRI 배색 이미지스케일에 포지셔닝하여 그라데이션 헤어컬러에 보여지는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 아이돌 가수의 배색 스케일은 부드러운(soft) 보다는 딱딱한(hard) 쪽에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일부 부드러운 쪽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적인(static) 보다는 동적인(dynamic)에 집중되어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헤어컬러에 따른 배색 이미지는 모던한, 다이나믹한, 혁신적인, 진보적인, 하이테크한, 강인한, 신선한의 형용사가 많이 나타났다. 남자 배우의 배색 스케일은 부드러운(soft) 보다는 딱딱한(hard) 쪽에 주로 위치했으며, 정적인(static)과 동적인(dynamic)에 고루 집중되어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헤어컬러에 따른 배색 이미지는 모던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지적인, 남성적인, 도시적인, 품위있는의 형용사가 많이 나타났다. 이를 적용하여 격조있는 남성미, 다이나믹한 하이테크, 매력적인 화려함을 주제로 3점의 헤어스타일을 제작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asic information on color schemes for designers to consistently produce their ideas and work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gradation hair color in popular stars. Methods. 40 photographs of 20 male idol singers and 20 actors who were in activity in mass media were selected from 2012 to September 20, 2013. After color chips and RGB values were extracted using Adobe Photoshop CS6 and Eyedropper Tool, RGB value of each color chip was formed as data of HV/C value of Munsell Conversion(version 12.1.13a). Then they were positioned on the IRI color scheme image scale and the color image of gradation hair color was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idols` color scheme scale was higher in the hard part than in the soft part but some were identified in the soft part. Also it was mostly placed in the dynamic part rather than in the static part. Frequently used adjectives of color scheme image in relation to hair color included modern, dynamic, innovative, progressive, high-tech, strong, and fresh. Actors` color scheme scale was mostly placed in the hard part rather than in the soft part but evenly focused on the both static and dynamic parts. Frequently used adjectives of color scheme image in relation to hair color included modern, chic, exclusive, intelligent, masculine, urban, and dignified. Based on the findings, three hair styles were produced in the theme of noble masculine beauty, dynamic high-tech, and attractive splendor.

      • KCI등재

        미용서비스품질 관리를 위한 중요도 분석

        장영혜 ( Young Hye Jang ),정선주 ( Sun Ju Jeoung ) 한국미용학회 2014 한국미용학회지 Vol.20 No.2

        This researcher examined and analyze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beauty service quality in beauty service customers, beauty services hops as a provider, and beauty service-related educators. It was originated from the idea that a gap between customers and beauty service shops was minimized and effective and appropriate educational information could be offered to the educational field by comparing mutual perception.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kindness/politeness`` consisting of process quality and ``good impression`` consisting of outcome quality among educators.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between customers and educators confirmed a perception gap in two aspects. First, as for ``service use value`` consisting of ``outcome quality``, customers were willingly to pay expensive treatment expenses if their desire was fully understood and needed service was provided and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desired service`` as ``the least important factor``. However, the educator group considered ``service use valu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desired service`` as important. Second, as for ``kindness/politeness`` consisting of ``process quality``, while the customer group and educator group perceived its importance as high, the beauty service shops put it in 7th place, suggesting relative difference in perceived importance. As for ``good impression`` consisting of ``outcome quality``, while the beauty service shop group put it in 1st place, the customer group and educator group put it in 4th place, suggesting difference in perceived importance. The result indicates between-group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n abstract concept of ``service``. Therefore, beauty service shops should have the total management of process quality and outcome quality to secure and enhance their servic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