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석유화학단지의 개발에 따른 대산읍의 토지이용과 취락경관의 변화

        정석호 ( Sock Ho Jeong ),진종헌 ( Jong Heon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대산지역에 석유화학단지가 개발되면서 지역의 경관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1990년대 석유화학공업에 대한 투자 자유화와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에 의해 석유화학단지가 조성되어 현재는 한국의 3대 석유화학단지로 성장하였다. 1980년대 말부터 대규모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해안의 작은 만을 매립하면서 복잡했던 해안선이 직선으로 단순해졌다. 또한, 석유화학단지 조성에 따른 폭발적인 인구유입과 함께 1990년대 초반까지 어업중심의 경제구조가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변화되었다. 그 결과, 석유화학단지 입지 이후의 지역경관은 염전과 농경지, 산림지 등 전체적으로 비슷한 경관에서 북부는 2차 산업, 대산남부는 3차산업, 서부·동부는 1차 산업과 관련된 경관으로 구분되는 특성이 나타난다.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 petrochemical industry complex development on the landscape change and land-use in Daesan-eup which is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The industry complex developed in 1990s following investment liberalization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nd it was located on the study area in terms of its location near China. It became the third-largest petrochemical industry complex in South Korea. The study area had an irregular shoreline. However it was modified to a linear shoreline by land reclamation projects mainly in small bays for securing large-scale sites during the last 1990s. In addition to the change, the major element of economic structure changed from fishing to manufacture and service affected by growth of population sinc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complex in the early 1990s. As the result, the composition of economic landscape was changed. The landscape is comprised with elements of primary industries, such as salt farm, agricultural area, and forest over the study area. Recently, however, the secondary industries are major elements in the northern area, and the manufacture and service industries are major elements in the southern area.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are almost covered with the primary industries.

      • KCI등재

        이주민 정착 과정에서의 간척지 확장과 경관변화 -서천군 도둔리를 사례로-

        정석호 ( Sock Ho Jeong ),김장수 ( Jang Soo Kim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와 GIS기법을 이용하여 서천군 도둔리 지역에서 이주민 유입에 따른 간척지 확장과 경관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1950년대 정부의 난민정착사업의 일환으로 피란민들이 이주하면서 간척공사가 시작되었다. 간척 완공 후 토지를 분배 받는 조건으로 구호양곡을 품삯으로 받으면서 간척사업에 참여하였다. 이주민의 증가로 최초 이주지인 흙섬의 공간 부족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간척지의 나대지에 일부가 이주하면서 거주공간이 확대되었다. 연구지역의 토지이용은 과거 넓은 간석지가 발달해 있었으며, 주로 구릉지에서 밭농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넓게 발달한 사구에는 산림지가 분포해 있었다. 그러나 이주민들의 유입에 따른 간척의 진행으로 간석지는 논농사지역으로 바뀌었으며, 사구에 발달한 산림지는 밭농사지역으로 잠식당하였다. 간척은 1990년대까지 진행되어 더 많은 간석지가 농경지로 바뀌었으며, 2000년대 들어 춘장대해수욕장이 관광지로 개발되어 과거 산림으로 뒤덮여 있던 사구지역은 시가화지역으로 변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 abut expansion of reclaimed land and transition of landscape by the inflow of inmigrant of Dodun-ri, in Seocheon-gun. The research use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ique. The reclamation construction was started with emigration of refugees as a part of refugee settlement project of government in the area in 1950. After completion of reclamation, the refugees was involved in reclamation business to get land allocation for their labor. The lack of space in Heuk island due to an increase of refugees, brought that some of refugees was moving to a bareland in the reclaimed land. The reseach area was used for tidal, dry-field farming on hill, and forest in the widely-developed dune. But the reclaimed land was changed to rice farming land by inflow of refugees and the forest in dune was encroached by dry-field farming area. As the reclamation continued in the 1990s, the reclaimed land kept on changing to farming land. Also, the dune area covered with forest in the past changed to artificial area as Chunjangdae beach developed for tourists in the 2000s.

      • 도농교류활성화를 위한 1사1촌의 지속방안에 관한 연구

        강종현(Jong-Hyun Kang),정석호(Sock-Ho Jeong)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3 농어촌관광연구 Vol.20 No.2

        This study derive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ways to target Gongju city’s 1Company-1Village Campaign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terchange of urban and rural areas of Gongju City. First, the Urban-Rural exchange should be made for the duration of 1Company-1Village Campaign in the region. Also, the residents of the village need voluntary activities for spreading public value through activities of villages’ resource utilization. Second, a variety of features of local stories and experience can make economic profits and can provide intangible value for urban residents to meet the program such as experiential programs on its satisfaction festival, Third, rural and urban residents will be evolving into a new symbiotic relationship through the exchange of urban and rural villages with Gongju city’s 1Company-1Village Campaign to change the consciousness of the rural and urban people.

      • KCI등재

        공주와 부여의 성곽과 도시발달

        정환영 ( Hwan Young Jeong ),정석호 ( Sock Ho Jeo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공주와 부여의 역사적 특성에 따라 백제도성시기, 중세(통일신라~조선),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등 4시기별로 구분하여 성곽 형성과 도시 발전, 도시구조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공주와 부여는 탁월한 자연 환경적 특성을 바탕으로 백제의 도성이 되면서 도시가 발달하였으나, 백제 멸망 이후 도시의 기능이 파괴되어 공산성과 부소산성 주변으로 도시규모가 축소되었지만 지역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일제강점기 시가지 정비에 의해 구획이 정리되면서 현재와 같은 도시 기반을 형성하였다. 공주는 도시기능의 변화와 도시 확장에 따른 도시면적 부족으로 인하여 강북의 신관동으로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신시가지가 형성되었다. 부여는 백제멸망 이후 도시규모 및 행정적 지위가 축소되었으나, 최근 사비성의 산성과 나성 주변까지 도시가 확장되면서 사비성의 크기와 일치하고 있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urban structure and urban development process in consideration of historical stages of Gongju and Buyeo, in which four stages were identified such as the capital era of Baekje Kingdom, middle ages from unified Silla to Joseon dynasty,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era after the nation`s liberalization of 1945. Thanks to advantageous natural settings, the study areas were originally developed as capital cities of Baekje Kingdom. After its collapse, they lost and eroded their urban functions, only serving as regional cent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urrent city structures were formed. Gongju city area was too small so the city area has been expanded to Singwan-dong located in the north of the river. Meanwhile, the entire city of Buyeo was destroyed with the fall of Baekje Kingdom and its size and administrative status were thus reduced. However, Buyeo has been expanded to the vicinity of the mountain fortress and outer wall of Sabi-seong and its size is currently the same as that of the former city of Sabi-s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