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활양식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정민,노안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사회적 관심 정도와 활동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생활양식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사회적 관심의 경우 대학생활 적응, 사회적 적응, 일반적 적응에서 사회적 관심이 높은 집단이 더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수준의 경우 대학생활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적 적응, 일반적 적응에서 모두 활동 수준이 높은 집단이 더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양식은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척도에서 사회적으로 유용한 형과 지배형이 소극적 사회형과 기생형 및 회피형보다 더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심과 활동 수준이 모두 낮은 생활양식 유형 중 기생형과 회피형 집단은 대학생활 적응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활양식 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which consists of individual social interest and activity degree, and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e most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ith high social interest got higher scores in total, social,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than subjects with low social interest. Second, subjects with high activity adjusted better in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academic, social, personal- emotional,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than subjects with low activity. Third, in lifestyle, subjects with both the socially useful type and the ruling type adjusted better in total, academic, social, institutional adjustment than subjects with the other types; the passive social type, the getting type, and the avoiding type. Finally, subjects with the getting type and the avoiding type which had both low social interest and low activit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otal, and all subsca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ifestyl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 college students' adjustment.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 현안과 과제 : 한주일 상장기업 R&D투자 효율성 비교 -한국기업 R&D투자의 질적 향상이 시급하다.

        정민,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2015 이슈리포트 Vol.2015 No.16

        ■ 한국, 기업 경쟁력 약화 우려 최근 중국 기업의 글로벌 상위 500대 기업 진입수가 급증하는 등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고, 일본 기업들의 경쟁력도 살아나고 있다. 특히, 세계R&D 투자 규모 1000대 기업 가운데 중국 기업수도 지난 10년간 약 20배 증가하면서 한국 기업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무형자산/R&D투자 등 R&D투자 효율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바탕으로 한중일 기업의 R&D투자 효율성을 평가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한중일 상장기업 R&D 투자 효율성 평가 한중일 기업 R&D 투자 효율성은 3국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전산업별, 8대 개별 산업부문에 대해 투입과 평균 무형자산/R&D 투자규모, 평균 시가총액/R&D 투자규모 등 효율성 2개 부문으로 나눠 평가했다. (전산업) 첫째, 투입측면에서는 평균 R&D 투자 규모가 일본이 가장 높은 수준인 반면, 평균 R&D 투자 집중도는 중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일 상장기업의 평균 R&D 투자 규모는 2014년 기준, 일본이 1억 3,440만달러로 한국, 중국보다 높았으며, 평균 R&D 집중도(연구개발비/매출액)는 중국이 동년 0.031배로 연평균 20.4%씩 증가하는 등 3국 중 가장 빠른 개선속도를 보였다. 둘째, 효율성 지표 중 평균 R&D 대비 무형자산 비율은 한국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2010년 대비 개선정도도 가장 낮았다. 2014년 기준 한국의 평균 무형자산 규모는 약 1억 6,500만 달러로 일본, 중국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2010~2014년 동안 평균 무형자산 규모의 연평균 증가율도 중국이 약 29.0%로 일본과 한국을 압도하고 있었다. 한편, 평균 R&D 대비 무형자산 비율도 2014년 기준 한국은 약 12배로 중국 약 30배, 일본 22배에 못 미쳤으며, 2010년 대비 0.6배 감소하였다. 셋째, 효율성 지표 중 평균 R&D 대비 시가총액 비율은 한국이 중국에 비해 낮지만 일본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의 평균 시가총액 규모는 2014년 기준 약 14억 달러로 중국 약 28억달러, 일본 약 27억 달러에 못 미치고 있으며, 2010~2014년 동안 연평균 0.7%씩 감소하고 있었다. 또, 평균 R&D 대비 시가총액 비율은 2014년 기준 한국이 약 346배로 일본 약 271배보다는 높지만 중국 1,510배보다는 낮게 나타났을 뿐아니라 2010년 대비 0.3배 감소하였다. (산업별) 첫째, 투입측면에서 볼 때, 평균 R&D 투자 규모와 평균 R&D 투자 집중도에서 중국과 일본이 우세를 보이고 있으며, 속도면에서는 중국이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2014년 현재 8대 산업부문 가운데 건강관리, 기본소비자 식료품 등 5개 산업의 평균 R&D 투자 규모가 일본이 한국과 중국에 비해 우세를 보였다. 속도에서는 2010~2014년 중국이 8대 산업 중 소비재, IT 등 6개 산업에서 한국과 일본에 비해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전기통신서비스, IT는 5년간 각각 167%, 45%씩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평균 R&D 투자집중도 역시 8대 산업 중 중국과 일본이 각각 4개 산업이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속도는 중국이 8대 산업부문 중 7개 산업에서 한국, 일본보다 빨랐다. 둘째, 효율성 지표 중 평균 R&D 대비 무형자산 비율은 2010년 대비 일본의 개선정도 높은 수준이다. 평균 R&D 대비 무형자산 비율은 2014년 기준 일본과 중국이 각각 3개 산업부문이 가장 많이 개선된 반면, 동기준 한국은 2개 산업이 우세했다. 한편, 2010년 대비 개선속도는 한국의 경우 정보통신 등 4개 부문이 빠르게 개선되었으나, 6개 부문이 개선된 일본보다는 낮았다. 셋째, 효율성 지표 중 평균 R&D 대비 시가총액 비율은 2010년 대비 일본이 가장 많이 개선됐다. 평균 R&D 대비 시가총액 비율은 2014년 기준, 중국이 8대 산업부문 중 5개 부문이 한국과 일본보다 우세했으나, 2010년 대비 개선 정도는 일본이 8대 산업부문 중 6개 부문이 개선되면서 동기준 한국 4개, 중국 2개보다 개선부문이 많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은 2010년 대비 전반적으로 감소한 반면, 일본의 경우 동기준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업별로는 한국은 전기통신서비스, IT 등 4개 산업부문을 중심으로 R&D 투자 효율성이 개선된 반면, 일본은 대부분의 산업에서 개선되고 있을 뿐 아니라, 개선 정도도 한중일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 시사점 경쟁국인 중국과 일본 기업들의 R&D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반면 국내 기업들의 R&D 효율성 개선은 미흡한 수준으로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 우선,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규제 및 세제 등을 기업 친화적 방식으로 전환하여 투자 효율성 향상을 유도해야 한다. 다음으로,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법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또, 창조적 과학기술인재 활용지원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책도 강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들도 스스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전략을 마련, 적극 실천해야 한다.

      • 수근터널증후군의 위험인자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정민,차철환,이은일,이원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3 고려대 의대 잡지 Vol.30 No.3

        The carpal tunnel syndr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peripheral nerve entrapment syndromes and one of whose causes is occupational exposure. But there has been no data on how occupational exposure causes carpal tunnel syndrome in Korea. So a case-control study was done to find the risk factors of carpal tunnel syndrome and to evaluate what the occupational exposure hazards in Korea. The cases were composed of 50 femal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needle electromyography and nerve conduction study as carpal tunnel syndrome in 3 general hospitals such as Anam and Kuro Hospitals of Korea University and Borame Hospital. The controls were 179 mothers who did not have symptoms related to carpal tunnel syndrome. A trained nurse interviewed cases obtaining information about risk factors by telephone, but the information of controls were gathered by a self-administered metho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55.1% of the cases had a history of working and 37.0% of controls worked, so the odds ratio was 2.21(95% confidence interval was 1.17 to 4.15). 2. 16.0% of the cases had diabetes mellitus and 0.6% of controls had it, so the odds ratio was 29.7(95% confidence interval was 7.0 to 125.1). 8.0% of the cases had rheumatoid arthritis and 1.8% of controls had it, so the odds ratio was 5.22(95% confidence interval was 1.3 to 21.0). 3. 8.0% of the cases had a history of taking oral contraceptives and 1.7% of controls took it, so the odds ratio was 4.99(95% confidence interval was 1.45 to 20.2). 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control the confounding effect of age and to evaluate the amount of effects of risk factors. The important risk factors were quetelet index(kg/㎡) (p=0.0065), diabetes mellitus(p=0.0108), history of taking oral contraceptives(p=0.0684), and a history of having employment(p=0.0881) in order of effect power.

      • KCI등재

        AIS 및 전자해도 기반 해상교통량 분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민,김대희,송재욱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1

        traffic engineering is a technical field that observes the flow of vessels' traffic in accurate and describes the feature of ship's movement statistically, then contributes for the improvement of traffic flow and the safety of traffic. The flow of marine traffic can be controlled by carrying out assessment and analysis of vessel's traffic. It can realize the safety of marine traffic by accurate research and analysis of vessel's traffic, understanding its flow and analysis data of vessel traffic. This study shows the analysis system of marine traffic connected with Radar, AIS based on ENC(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The marine traffic analysis system contributes to the safety of marine traffic through the design of marine traffic route, harbour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vessels' traffic flow. 해상교통량 조사 분석은 안전하고 원활한 항로 항만의 설계와 제반시설의 개선 및 항행관리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수단이다. 해상교통량 조사 분석과정에서 정확한 조사방법을 통해 선박통항에 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야 하고, 수집된 선박교통량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해상교통량 조사과정에 있어 인력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오차를 보완할 수 있으며, 정확한 조사의 실행 및 분석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 제작함을 목표로 한다. AIS 및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선박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조사분석자의 수고를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표준화된 분석결과를 제시해줄 수 있는 해상교통량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