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비드-19 마스크 착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목희,모연화,박현순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at affect the behavior of wearing a mask during Covid-19. To this research, prior studies of perceived risks,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subjective norms, social stigma, horizontal individualism, vertical individualism, horizontal collectivism, vertical collectivism, and preventive behavior were reviewed and analysed through surveys to analyze the integrated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affecting mask behavior. Studies have shown that among the factors for mask behavior, the subjective norm and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and subjective norm have high explanation power. Horizontal individualism rather than vertical collectivism was a significant factor in mask behavior.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collective preventive behavior in response to Covid-19. 본 연구는 코비드-19 마스크 착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각된 위험과, 자기 효능감, 집단 효능감, 주관적 규범, 사회적 낙인,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 수직적 집단주의와 예방 행동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마스크 착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적인 위계 모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스크 착용 행동에 대한 요인 중 자기 효능감, 집단 효능감, 사회적 압력 인식인 주관적 규범의 설명력이 높았으며,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보다는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이 마스크 착용 행동에 유의미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코비드-19에 대응하는 집단적 예방 행동에 대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의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