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기기와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전자출결 시스템

        정명범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11

        Recently, many universities have used various electronic attendance systems such as NFC, QR code, Sound-QR, Bluetooth BLE authentication, and face recognition to process attendance. However, existing methods have various problems such as attendance errors due to deformation of authentication signals, mis-recognition attendance from outside the classroom, and difficulty to process seat absence during clas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high-frequency signal-based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and manage more accurate electronic attendance. As the high-frequency signal replaces the BL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signal is limited to the classroom, and the signal value can be immediately changed if a change of the signal is need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conducted a comparative experiment with the Bluetooth based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and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ed high accuracy. Thus,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 useful service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in smart device-based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 KCI등재

        스마트 기기와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공공 시내 버스 하차 알림 시스템

        정명범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8

        Recently, people have come to enjoy using movies and music applications, such as YouTube, Netflix, and Watcha Play, on their smart devices while riding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they sometimes miss their destination stations because of these activit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sembarking notification system for public city buses using smart devices and high frequencies generated via the buses’ speakers. The high frequencies are generated by the public buses’ station information broadcasters. Smart devices then analyze the high-frequency signals with their inner microphones, and the proposed application displays a disembarking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 user’s destination or stop-over station’s signal is the same. To evaluate this system’s performance, we tested 1,000 real-time disembarking notifications, and the test results showed 98.9% accuracy. Moreover, we compared these results to those using only OpenAPI, and our proposed system featured far better outcomes. Thus, this proposed notification system can prove a useful technology for many people who often use public city buses, as it can notify specific users of their destination stations. Furthermore, this system will become innovative technology for global public transportation by informing users of their desired stations using speakers. 최근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유투브, 넷플릭스, 왓챠 등과 같은 동영상이나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하차해야 할 곳을 지나쳐내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버스 내부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신호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기반 시내 공공 버스 하차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고주파 신호는버스의 정류장 안내 방송과 함께 발생하며, 스마트 기기는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하차 역에 도달할 경우 스마트 기기에서 하차 알림을 발생한다. 제안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총 1,000 번의 실시간 알림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시스템은98.9%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Open API만을 이용한 알림 서비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 시스템은 시내 공공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목적지 도착 시 하차 지점을 정확히알려줄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스피커로 도착지를 안내 방송하는 세계의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기술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동영상 콘텐츠 생성을 위한 음악과 사진 분석

        정명범,고일주,Chung, Myoung-Bum,Ko, Il-J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4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기기의 다양한 보급으로 소비자들은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주체로 변화하였다. 생성되는 다양한 콘텐츠 중 사용자는 동영상 제작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그 중 음악과 사진으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보다 손쉽게 동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방법은 사진과 사진간의 연관성이 결여되었을 뿐 아니라, 음악의 리듬과 관계없이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사진이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분석을 통하여 음악 리듬에 따라 사진이 변화하고, 사진 분석을 통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동영상 제작 방법을 제안한다. 음악 분석은 RMS를 이용하여 리듬이 강한 부분을 찾았으며, 사진 분석은 구조 단순도와 얼굴 영역 추출을 이용하여 인물 사진과 풍경사진으로 분류하였다. 사진 분석은 86.4%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음악 리듬에 맞은 사진 변화 위치와 사진간의 연관성을 가진 순서 배치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 분석과 사진 분석을 이용한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동영상을 제작 할 수 있다. Consumers changed to the subject to produce a digital contents as data transmission technique is advanced and a digital machine is diffused variously. Users are interested greatly in a user creative movie (UCM) production among various online contents. The UCM production method which uses the music and picture is the method that users make the UCM more easily. However, the UCM production service has the problem that any association does not exist in the music and picture and that the picture changes according to fixed time interval without the relation at a music rhythm.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UCM production method which uses a music analysis and picture analysis in the paper. A music analysis finds a picture change time according to the rhythm and a picture analysis finds the association of the picture. A music analysis finds strong parts of the sound which uses Root-Mean-Square (RMS). And a picture analysis classifies the picture as a scenery picture and people picture which uses structure simplicity of the picture(SSP) and face region detection. A picture analysis got correct result of 86.4% in the experiment and we can finds the association at each picture and arranges the sequence which the picture appears. Therefore, if we use a music and picture analysis at the UCM production, users may make natural and efficient movie.

      • KCI등재

        스마트 기기의 푸시 알림을 이용한 휴무 안내 시스템

        정명범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n guidance system about closure using push notification of smart device. Restaurant operators can use the proposed application to schedule and modify the restaurant closures for a week from push notification and users can check the restaurant information and whether it is closed or not through the proposed application. The proposed method uses a server system to provide closed information, and the proposed application performs push notifications to the restaurant operator every morning to confirm the day's closed again. To verify the utility of the proposed system, we built a closure management application, user application, and server system to conduct experiments for restaurant closures guidance, resulting in 96% about checking opening hours. And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existing information service in comparison experiments. Thus,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 useful service system that could easily share closure information with restaurant operators and users.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의 푸시 알림을 이용하여 식당의 휴무를 설정 및 제공하는 안내 시스템을 제안한다. 식당 운영자는 제안애플리케이션의 푸시 알림을 통하여 일주일 동안의 가게 휴무 일정을 설정 및 수정 할 수 있으며, 식당 이용자는 제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당의 정보와 휴무 여부를 알 수 있다. 제안 방법은 휴무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 시스템을 이용하며, 제안 애플리케이션은매일 아침 식당 운영자에게 푸시 알림을 수행하여 당일 매장 휴무를 한 번 더 확인한다. 제안 시스템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휴무관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시스템을 구축하여 식당 휴무 안내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96%의 영업시간 확인함을 나타냈다. 그리고 기존 정보 제공 서비스와의 비교 실험에서 제안 방법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즉, 제안 방법은 식당 운영자와 식당 사용자에게 손쉽게 휴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생활에 유용한 서비스 시스템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특수 영상에서 비디오 요약을 위한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

        정명범(Myoung-Beom Chung),김재경(Jae-Kyung Kim),고일주(Il-Ju Ko),장대식(Dae-Sik J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3

        장면 전환 검출은 영상 정보의 색인 및 검색을 위한 전처리로서 비디오 검색 시스템의 전체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기존의 장면 전환 검출은 인접한 프레임간에 픽셀 값, 히스토그램 차이 등의 단일 특징을 이용하거나, 단일 특징들을 혼합하여 상호 보완 관계를 갖는 다수의 특징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점을 검출하였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적외선 촬영이나, 야간 촬영과 같이 특수한 영상에서 현저히 낮은 정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olor 히스토그램 특징과 KLT 알고리즘을 혼합하여 특수 영상에서 보다 효과적인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특수 영상에 대하여 Color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검출과 KLT를 혼합한 검출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한 기법이 기존 방법보다 성능평가지수에서 평균 11.4%의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Scene change detection is pretreatment to index and search video information in video search system, and it is very important technology for overall performance. Existing scene change detection used single characteristic of pixel value difference, histogram difference, etc or mixed single characteristics that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 However, accuracy of those researches is very poor for special video such as infrared camera, night shooting. Therefore, this paper is proposed the method that is mixed color histogram and at algorithm for scene change detection at the specific movie. To verify the usefulness of a proposed method, we did an experiment which used color histogram only and KLT algorithm with color histogram. In result, evaluation index of proposed method is improved about 11.4% at the specific movie.

      • KCI등재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모바일 도서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명범(Myoung-Beom Chung),강미애(Mi-Ae Kang),고일주(Il-Ju K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의 카메라와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Open-API 책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자신의 도서를 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스마트 폰의 카메라는 책에 있는 Bar-Code, QR-Code 등을 자동으로 인식 할 수 있으며, 인식한 내용 정보를 바탕으로 Open-API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도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안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공받은 책 내용을 스캔 목록이나, 나의 책 리스트에 저장하며 필요시 현재까지 읽은 페이지를 메모하고, 다 읽은 책의 경우 간단한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다. 즉, 제안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읽는 책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bile book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the camera of a smart phone and the open API book information provided online. The camera automatically scans the bar-code or QR-code of a particular book. The code of that book is used to transmit detailed information to the open API. Then the proposed application records this information for use in an "Scan list" or an "My book list". This application notes the page of the book that the user is currently reading and, if the user has read the entire book, he or she can comment about it. Therefore, the proposed application provides useful functions so that the users can manage their books effectively.

      • KCI등재

        듀얼 비콘의 거리측정을 활용한 스마트 유모차용 도난방지 기법

        정명범 ( Myoungbeom Chu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논문에서 우리는 스마트 유모차를 위한 비콘과 스마트 기기 기반 도난 방지 기술을 제안한다. 스마트 유모차는 두 개의 블루투스 기기를 내장한다. 하나의 블루투스는 데이터 상호 교환을 위한 것이며, 또 다른 블루투스는 거리 측정을 위한 비콘으로 사용한다. 즉, 스마트 기기는 데이터 상호 교환 기능으로 근력 보조 레벨 설정, 유모차 수동 잠금과 유모차 정보 제공 등에 사용하며, 비콘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와 유모차의 주기적인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도난 방지 기능이 동작하게 한다. 우리는 도난 방지 기능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향상된 비콘 거리 측정 기술을 이용한 거리 측정 알고리즘과 도난 방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스마트 유모차를 제작하여 2가지 거리 측정 실험과 하나의 도난 방지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91.3%의 도난 방지 정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제안한 도난 방지 기술은 스마트 유모차에 보다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eft prevention technology based on beacon and smart device for smart stroller. The smart stroller has two Bluetooth devices. One is for data transmission and the other is for distance measurement as beacon. Thus, smart device uses a Bluetooth for strength level setting, manual locking and data transmission of smart stroller. Furthermore, smart device can do automatic locking of smart stroller using Bluetooth beacon when the stroller go further away from smart device. At this time, we apply a distance measurement algorithm and theft prevention algorithm with improved beacon distance measurement technique. To show usefulness of the proposed technology, we make a smart stroller and developed a smart device application. We did two distance measurement experiments and a theft prevention experiment with the proposed technology and the result shows 91.3% accuracy for theft prevention. Therefore, the proposed technology would be more usefulness technology for smart stroller.

      • KCI등재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한 사용자 방문 인증 시스템

        정명범(Myoungbeom Ch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7

        본 연구는 가청 주파수 범위 중 사람들에게 들리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곳을 손쉽게 인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가청 주파수는 일반 스피커에서 생성할 수 있는 18kHz ~ 20kHz 범위에서 신호 주파수를 발생하며, 스마트 기기는 그 주파수를 인식하여 신호 값과 사용자의 ID,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현재 사용자가 방문한 곳을 인증한다. 그리고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방문 이력을 개인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제안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 기반 사용자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버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 인증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99.6%의 정확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QR 코드를 이용한 방문 인증 비교실험 결과 제안 방법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즉, 제안 방법은 코로나 시대에 개별 사용자의 역학 조사 활용, 식당 및 시설에 전자 출입 명부 등에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test the efficacy of an easy-to-use user location certification system for public places that relies on frequencies outside the audible range for humans. The inaudible frequencies come in signal frequency between 18–20 kHz and are generated by general audio speaker. After an individual’s smart device detects the signal frequency, it sends the frequency value, user’s personal ID, and user’s location to a system server that certifies the user’s visit location currently. The system server then saves a user visit record and categorizes it by individual. To show the usefulness of this proposed system, we developed a user visit certification application for smart devices linked to a system server. We then conducted a user visit certification experiment using the proposed system, with the result showing 99.6% accuracy. For a comparison, we then held a user visit certification experiment using a QR code, which confirmed that our proposed system performs better than QR code location certification. This proposed system can thus provide restaurants and other facilities reliable user contact tracing and electronic visitor access lists in the age of COVID-19.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