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악성 담도폐색 환자에서 스텐트 삽입술: 하나로 스텐트의 문제점

        정규식,박병호,김용주,Jeong, Gyu-Sik,Park, Byeong-Ho,Kim, Yong-Ju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1

        목적:악성 담도폐색의 고식적 치료로서 하나로 스텐트(Hanaro stent,Solco Intermed,Seoul, Korea)삽입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한 스텐트의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2000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악성 담도폐색으로 진단되어 하나로 스텐트 삽입을 시도한 46명의 환자중 스텐트 도입부의 제거에 어려움을 겪은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담도폐색의 원인 질환은 췌장암(2예),담도암(2예),위암의 담도 침범(1예)등 이었다.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 경피적 담도 배액술(PTBD)을 시행하고,4명은 경피적 담도 배액술 후 담도염의 증상이 소실된 후 스텐트 삽입을 시도하였고 1명은 담도 배액술과 동시에 스텐트 삽입을 시도 하였다. 사용된 스텐트는 나이티놀 세선으로 만든 직경 8-10 mm,길이 50-100 mm의 비피복, 자가팽창성 하나로 스텐트였다. 결과: 도입부 제거중 어려움을 겪은 5예에서 olive tip의 끊어짐(3예),스텐트의 상방이동(2예), 폐색과 무관한 부위에서 스텐트가 적절히 팽창하지 않은 문제점(1예)등이 발생하였다. Olivetip이 끊어진 3예중 2예에서는 olive tip을 십이지장으로 배출시켰고 1예에서는 말초 담관으로 밀어 넣었다. 스텐트의 상방이동이 발생하였던 2예중 1예는 추가로 스텐트를 삽입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었으나, 다른 1예는 적절하지 않은 길이의 스텐트 삽입후 추가로 삽입된 스텐트가 도입부 제거중에 간 피막 근처까지 끌려 나오고 처음 총담관에 삽입되었던 스텐트는 길이와 팽창이 적절하지 않아서 PTBD 카테터를 제거 할 수 없었다. 결론: 하나로 스텐트는 일부 예에서 스텐트 설치 후 도입부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텐트 삽입 직후 적절한 스텐트의 팽창성 확보와 olive tip의 모양과 크기의 변화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Hanaro stent (Solco Intermed, Seoul, Korea) when used in the palliativ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operable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May 2001, the treatment of 46 patients with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involved percutaneous placement of the Hanaro stent. Five patients encountered problems during removal of the stent's introduction system. The causes of obstruction were pancreatic carcinoma (n=2), cholangiocarcinoma (n=2), and gastric carcinoma with biliary invasion (n=1). In one patient,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and stent insertion were performed as a one-step procedure, while the others underwent conventional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for at least two days prior to stent insertion. A self-expandable Hanaro stent, 8-10 mm in deameter and 50-100 mm in lengh, and made from a strand of nitinol wire, was used in all cases. Results: Among the five patients who encountered problems, breakage of the olive tip occourred in three, upward displacement of the stent in two, and improper expansion of the distal portion of the stent, unrelated with the obstruction site, in one. The broken olive tip was pushed to the duodenum in two cases and to the peripheral intrahepatic duct in one. Where the stent migrated during withdrawal of its introduction system, an additional stent was inserted. In one case, the migrated stent was positioned near the liver capsule and the drainage catheter could not be removed. Conclusion: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this study was limited, some difficulties were encountered in withdrawing the stent's introduction system.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is unusual complication, the stent should be appropriately expansile, and shape in the olive tip shoud be consider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은애전(銀愛傳)>의 서사적 특징과 창작 의도

        정규식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arrative features of <Eun-ae-jeon> and to reveal the creative intention of this work. For this purpose, this work was divided into ‘event narrative’ and ‘crime narrative’ and examined the creative intention of the work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narrative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narrative reduction of Kim Yang-jun and Choi Jeong-ryeon among the narrative features of this work. As a result, the narrative reduction of Eun-ae's husband, Yang-jun Kim, emphasizes the simplicity of Eun-ae, and the narrative reduction of Choi Jeong-ryun, an insulting confession of Eun-ae, is made by Lee Deok-moo's narrative, which justifies the ruling of Jeong-jo, who did not punish Choi Jeong-ryun. It is a strategy. Also, instead, it was observed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vision of Chae je-gong and Jeong-jo was an epic strategy to provide an alibi for the final ruling of Jeong-jo. Based on these narrative features, this paper considered the intention of creating works. This work was created by Lee Deok-moo in 1790 under the name of King Jeong-jo. Therefore, Lee's interpretation of Jeong-jo's political acts must be added to the creation of his work.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uthor, Lee Deok-moo, can be said to have created <Eun-ae-jeon> as a literary act containing edifying messages about the establishment of legitimacy and the establishment of Punggyo as a justification for the political act of Jeong-jo, who pardoned the person who killed the person. 본고는 <은애전>의 서사적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창작 의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작품의 서사를 ‘사건 서사’와 ‘옥사 서사’로 구분하고 두 서사의 연관성을 통해 작품의 창작 의도를 살폈다. 사건 서사는 김은애와 안조이를 중심 인물로 최정련과 김양준 등이 주변 인물로 등장하는 서사이며, 옥사 서사는 정조를 중심으로 대신 채제공, 현감 박재순, 관찰사 윤행원, 관찰사 윤시동 등이 등장하는 서사이다. <은애전>은 이 두 서사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두 서사는 유기적으로 절묘하게 연관되어 있다. 본고는 이 작품의 서사적 특징과 창작 의도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김양준과 최정련 서사의 축소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은애 남편 김양준 서사의 축소는 열의 취약성을 통한 은애의 원통함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은애를 무욕한 공모자 최정련 서사의 축소는 최정련을 벌하지 않은 정조의 판결을 정당화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이덕무의 서사 전략임을 밝혔다. 그리고 대신 채제공과 정조의 대립은 정조의 최종 판결에 대한 공론적 알리바이를 제공하는 차원의 서사 전략임을 살폈다. 본고는 이러한 서사적 특징을 바탕으로 <은애전>의 창작 의도를 고찰하였다. 이 작품은 정조의 명으로 이덕무가 창작한 작품이다. 그러므로 작품의 창작에는 정조의 정치적 행위에 대한 이덕무의 문학적 해석이 가미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가 이덕무는, 사람을 죽인 사람을 사면한 정조의 정치적 행위에 대한 정당성 확보와 풍교의 정립이라는 교화적 메시지를 담기 위한 문학적 행위로서 <은애전>을 창작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덕무는 이를 위해 은애를 최대한 억울하게 묘사하고 최정련의 죄가 가능한 한 모호하게 그려 정조의 최종 판결이 정당화되도록 서사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Genetic characteristics of Y-chromosome short tandem repeat haplotypes from cigarette butt samples presumed to be smoked by North Korean men

        정규식,신희진,이성진,김효숙,김장용,한면수,이양한,박기원,전병원 한국유전학회 2018 Genes & Genomics Vol.40 No.8

        Korea has been divided in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r over 70 years. DNA profiles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have never been reported in the Y-chromosome STR Haplotype Reference Database (YHRD; https ://yhrd.org). To investigate genetic features of Y-chromosome STR haplotypes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for the first time.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838 cigarette butts assumed to have been smoked by North Korean men and amplified with PowerPlex Y23 (PPY23) kit. Statistical parameters were calculated using Nei’s formula and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plot was constructed by the AMOVA tool and neighbor-joining (NJ) tree was constructed by MEGA 6.06. A total of 121 haplotypes were analyzed for PPY23 loci from a sample population. Haplotype diversity and discrimination capacity were 0.9992 and 0.9837, respectively. Genetic diversities ranged from 0.2981 to 0.9716. For the 16 Y-filer loci and eight minimal loci, respectively 90.9 and 82.6% of the matched haplotypes were estimated to belong to haplogroup O, representing the Southeast and East Asian type. The MDS plot and NJ tree indicated that the sample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South Korean. In addition, p-value in the pairwise comparison to the South Korean was slightly above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34). The Y-STR haplotypes of the samples were unique and highly genetically polymorphic. Despite the sepa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r 70 years, they can still be considered a single genetic population, based on Y-STR haplo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