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글로컬화 관점에서의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정경희(Chung, Kyung Hee),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패션잡지는 글로벌한 패션 트렌드를 주도해 가는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각국의 독특한 패션 문화적 특성을 담아내 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컬화의 관점에서 국내 · 외의 패션잡지의 콘텐츠 및 텍스트 분석을 통해 문화적인 관점에서 동일한 사례를 바라보는 각 나라의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특징과 글로벌, 로컬 문화요소 간의 상호작용이 궁극적으로 잡지콘텐츠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패션과 패션잡지 산업의 국제화 관련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와 관련학문의 연구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글로컬 미디어로서 라이선스 패션잡지에 대해 살펴본 다음, 실증적 연구로써 2015년에 발간된 한 · 미 라이선스 패션잡지 「VOGUE」의 목차에 나타난 패션기사의 헤드라인에 대한 내용분석과 상호텍스트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기사를 분석한 결과 「VOGUE KOREA」의 경우, Beauty & Health, Item, Style 관련 기사가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VOGUE US」는 Style, Beauty & Health, People, Item, Brand 기사가 유사한 빈도를 보이면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과월호에 따른 콘텐츠에 있어서도 미국은 매 과월호에서 변화 있게 콘텐츠가 구성되고 있었다. 둘째, 라이선스 패션잡지 기사의 헤드라인에 나타난 어휘를 분석한 결과, Style 관련기사에서 한국은 패션 소재를 나타내는 어휘와 패션이미지를 표현하는 어휘가 많이 활용되었고 이와 관련된 어휘로 구체적인 패션 아이템 어휘들이 헤드라인에 직접적으로 사용된 반면, 미국은 계절과 관련된 어휘와 패션 아이템, 패션 소재와 관련된 어휘가 패션기사의 헤드라인에 많이 활용되었고, 이와 관련된 패션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었던 대중작품의 명칭이나 배역의 이름 등이 직접 사용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Item 관련 헤드라인에서는 드레스 어휘가 슬립, 보헤미안 등의 어휘와 함께 공통적으로 활용되었지만 그 외의 어휘에서는 한국의 경우, 구체적인 패션 아이템 어휘가 활용된 반면, 미국은 스타일을 설명하는 패션 이미지 어휘가 위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Beauty & Health 관련 기사에서는 뷰티와 메이크업, 향수 등의 어휘가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그 외의 어휘에서는 한국의 경우, 피부, 네일, 미국은 헤어, 피트니스, 립 어휘가 많이 나타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으로는 라이선스 패션잡지는 차별화된 콘텐츠로 잡지를 구성하고 있으며, 기사의 헤드라인에 있어서도 한국은 스타일이나 아이템의 구체적인 특징을 표현하는 어휘를 사용하는 반면, 미국은 스타일이나 아이템의 명칭뿐만 아니라 영화 · 드라마 등 대중문화와 관련된 어휘가 사용되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verseas licensing fashion magazines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important role of leading global fashion trends while at the same time expressing a characteristic closeness to the culture and lifestyle of each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texts of fashion magazines at home and abroad in the aspect of glocalizatio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ow license fashion magazines in each country view the same case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and how interaction between global and local cultural elements appears in magazine contents. This analysi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the fashion and fashion magazine industry and the foundation to study related disciplines. The study methodology was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o examine a licensed fashion magazine as the glocal media and the empirical study to analyze the substance and intertextuality of fashion news headlines in the contents of 「VOGUE」, a licensed fashion magazine published in 2015 in Korea and the US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s of the licensed fashion magazine were collected. In 「VOGUE KOREA」, beauty & health, item, and style news accounted for more than 70%. On the other hand, 「VOGUE US」 showed similar frequency in style, beauty & health, people, item, and brand news. In the contents of past issues, 「VOGUE US」 differently organized contents in every issue. Second, the vocabulary of headline news in the licensed fashion magazine was analyzed. In style news, 「VOGUE KOREA」 frequently used fashion material and fashion image vocabulary. And in related vocabulary, specific fashion item vocabularies were directly used in the headlines. On the other hand, 「VOGUE US」 frequently applied season-related vocabulary and fashion item and material vocabulary to the fashion news headlines. In many cases, related names of popular works, or cast names which are meaningful in fashion and culture were directly used. In item-related headline news, dress, slip, and Bohemian were commonly used.「VOGUE KOREA」 frequently used fashion item vocabularies. But, in 「VOGUE US」, fashion image vocabularies were used to explain the style. In beauty & health news, beauty, make-up, perfume, fragrance, and scent were commonly used, while skin and nail were commonly used in Korea. Hair, fitness, and lip were frequently used in the USA, suggesting a great difference. In conclusion, licensed fashion magazines had distinctive contents. In Korea, vocabulary which expresses detailed characteristics of style or items was commonly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USA, the name of style or items and popular culture-related vocabulary including movie or drama were frequently used.

      • KCI등재

        미국 헌법의 제정과 연방공화국의 건국

        丁慶姬(Chung Kyung-Hee) 역사학회 2008 역사학보 Vol.0 No.198

        Why did the framers adopt the Constitution instead of the existing Articles of Confederation in 1787? Many historians and political scientists conclude that both the defects of the Articles of Confederation and the vices of the state politics during the 1780s led the framers to consider an alternative. Especially historian Gordon S. Wood insists that the latter was the principal reason because the framers such as James Madison were disenchanted with the abuse of power by the state legislatures. This essay, however, is an attempt to consider the making of the Constitution and the Union to be an experiment in international system of cooperation on a continent divided into 13 states. The Federalist papers indicate that the Federalists' determination to establish a united national government was resulted primarily from their concerns with the dangers from foreign force and secondarily from concerns with the dangers from war between the 13 states. By 1787 the Federalists discerned that the failures of the Union created a full-blown crisis of the American Revolution. They believed that the tendency of American politics was toward disunion, and that the anarchy of disunion would soon lead to tyranny and counterrevolution. The imminent collapse of the Union would multiply potential dangers by exposing each state to the rivalry of other American as well as European states. A strong Union was the only guarantee of American independence. In 1787 two extremes, before the Federalists, were a perfect separation and a perfect incorporation of the 13 states. The Federalists rejected both extremes, in favor of a "middle ground". They chose this "middle ground" because they believed that both the dissolution of the Union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Union would be a betrayal of the Revolution. Both the anarchy and the empire were the threatening factors to the republic, what the founding fathers considered as the ideal type of nation system.

      • KCI등재

        2013검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 분석

        정경희(Kyung Hee Chung),강규형(Gyoo-hyoung Kah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4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서 쓰이게 될 한국사교과서 8종이 2013년 8월에 교육부의 검정을 통과했다. 그러자 이를 둘러싼 ‘교과서파동’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 8종의 『한국사』 교과서 가운데 상당수는 여전히 논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들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가 지녔던 주요 문제점을 거의 그대로 지니고 있다. 교육부의 수정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제(諸) 문제들은 주로 현대사 서술에 집중되어 있으며, 크게는 북한에 관한 호의적인 서술과 대한민국의 건국을 부정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폄훼하는 서술로 나눠진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은 1948년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현행 한국사 가운데 3종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서술했다가 교육부로부터 수정 권고를 받았다. 특히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폄훼하는 서술을 하고 있는 5종의 교과서는, 북한에 불리한 사실은 누락시키거나 북한의 주장을 그대로 되풀이하는 서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바로 5종의 교과서이다. 이들 5종의 교과서는 북한 정권을 옹호하는 서술과 대한민국을 폄하하는 서술들에 관해 교육부로부터 수정 권고를 받았다. 하지만 수정 권고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거나 또는 ‘원문유지’ 입장을 고수하면서 아예 수정을 거부했고, 그 결과 편향적인 교과서라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8 kind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ugust, 2013. ‘Textbook crisis’ over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oon resumed. Most of the 8 textbooks are still not free from criticisms of acute biased interpretations. These textbooks contain most of main problems of previous textbooks. When we examined authorization process overall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st problems were concentrated on descriptions on contemporary history. The problems were most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ympathetic descriptions on North Korea and negative appraisals on the legitimacy of the Republic of Korea(South Korea) deny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For example, the UN General Assembly approved of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only lawful gover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3 kinds of the textbooks, however, described the fact incorrectly, and received recommendations for revis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Moreover 5 kinds of textbooks, which were recognized as denigrating the legitimacy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 ignored various facts unfavorable for North Korea and reiterated North Korea’s false claims. These 5 textbooks received recommendations for revis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because they contained descriptions advocating for the North Korean regime and degrading the Republic of Korea. The writers of the 5 textbooks, however, did not follow the recommendations or denied revisions by “sticking to original descriptions.” As a result, the textbooks show shortcomings of biased interpretations.

      •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정경희(Kyung Hee Chung)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0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Marquardt[10]의 Action learning 3단계 과정과 6대 구성요소를 이론적 기틀로 사용하여 팀 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4년제 간호학과 2학년 55명으로, 연구기간은 2010년 3월2일부터 6월 4일까지 14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정은이[8])가 개발한 창의성 측정도구와 이석재 등[9]이 개발한 문제해결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업만족도는 수업평가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를 실시하였고 수업만족도는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팀 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 적용 전, 후 창의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수업 전 평균은 3.56점이었고 수업 후 평균은 3.62점으로 평균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62, p=0.11)는 없었다. 대상자 55명 중 창의성이 평균이상인 경우 31명, 평균 이하인 경우는 24명이었다. 창의성 평균 상, 하 두 집단 간 창의성 정도에 따른 수업 전, 후 문제해결력을 측정한 결과 수업 전(t=4.11, p=.001)과 수업 후(t=3.23, p=.01) 두 군간 문제해결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교과에 대한 수업만족도 측정 결과 매우만족 64.71%, 만족 16.67%, 보통 17.89%, 불만족 0.74% 이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수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수업에서 성찰에 관한 연구

        정경희(Kyung Hee Chung)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3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는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수업에서 프로젝트 운영과정의 각 단계에 따라 학습지들 간에 성찰을 통해 협동학습으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지 어떤 실행다짐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최종 학기말 총괄평가 시 팀으로부터 학습한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팀 내 상호작용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4년제 간호학과 1학년 학생 중 2013년 1학기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교과 수강신청을 한 70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 한국액션러닝협회(KALA)에서 액션러닝팀 활동 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배운점, 느낀점, 실행다짐의 성찰양식과 Rothwell (2002)이 개발한 액션러닝 팀 구성원의 학습결과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김경동과 이온죽(1986)의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에서 협동학습 후 팀성찰 및 개인성찰을 지속적으로 실시한 간호대학생의 경힘을 분석한 결과 간호교육의 중요한 학습성과인 의사소통능력, 협동 및 조정능력,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향상되었고, 학습과정중 학생들은 긍정적인 수업경험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협동학습을 향후 간호교육과정의 적합한 교과목 학습과제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성취해야할 학습성과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창조적 생산성

        정경희(Chung, Kyung Hee),이미숙(Lee, Mi Suk),제레미 스콧 비셋(Jeremy Scott Bissett)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브랜드 팬덤은 자신들이 사랑하는 브랜드를 그들의 아비투스에 따라 창조적으로 매치한 일상의 자신을 개성 있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상품을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프로슈머가 되어 새로운 패션 브랜드의 이미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NS 공간 속에서 패션 브랜드 팬덤에 나타난 다양한 참여자들의 아비투스가 무엇이고 UGC가 어떻게 창작, 생산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브랜드 팬덤 문화와 그들의 창조적 생산성에 대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팬덤과 아비투스,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브랜드 팬덤, 시각적 은유와 의미작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 팬덤의 SNS를 사례로 데이터 마이닝, 상위 UGC에 대해 의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UGC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그들의 창조적 생산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 팬덤의 실천은 그들의 소비 심미 엘리트, 신자유주의적 자아, 이지적 우월감, 행복의 시연, B급 럭셔리, 열정적인 취미가이자 브랜드 추종자적 아비투스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나타난 패션 브랜드 팬덤 UGC에는 과시와 분리, 일상적 실재감, 내파와 융합, 열정과 감성, 상호작용성 등의 미적 특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UGC에 내재된 미적 특성을 토대로 패션 브랜드 팬덤의 창조적 생산성을 도출한 결과, 유연한 유희적 체험, 자아결부 및 인격화, 인지가치 구조화로 정리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패션 브랜드 팬덤의 창조적 생산성은 패션 브랜드를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브랜드에 대한 강력한 사랑과 열정을 기반으로 관심과 경험, 소통, 지지, 옹호, 공유, 자발적 참여 등을 유발하고 브랜드에게 몰입하게 하는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 주도에 의한 브랜드 소비와 재생산, 브랜드 팬덤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소비자 지향 브랜드 구축,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 등, 패션 브랜드 경쟁력 확보 및 발전에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ashion brand fandom in the era of social media is producing new images of the fashion brand by becoming a prosumer who creatively matches their beloved brand according to their habitus and simultaneously consuming the product in a way that expresses their daily self in a unique way. Thus,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brand fandom culture and their creative productivity by analyzing the habitus of various participants in fashion brand fandom in SNS and how UGC is created and produc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study considered fandom and habitus, fashion brand fandom in the social media era, and visual metaphor and semantic action. In empirical research, by conducting data mining and semantic analysis on the top UGC of fashion brand fandom‘s SNS, we derived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fashion brand fandom’s habitus and their UGC and considered their creative productivity based on this. First, the practice of fashion brand fandom has been shown to exhibit their consumption aesthetic elite, neoliberal ego, intellectual superiority, demonstration of happiness, B-luxury, passionate hobby and brand evangelism habitu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hion brand fandom UGC, which appeared on social media platforms, has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overexposure and separation, everyday reality, internal wave convergence, passion and sensibility, and interaction. Third,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fashion brand fandom and UGC,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the fashion brand fandom could be arranged into a flexible playful experience, self-association and characterization, and the structuring of the cognitive value.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research is that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fashion brand fandom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hat can lead fashion brands to sustainable growth. In other words, fashion brand fandom has the value of inducing interest and experience, communication, support, advocacy, sharing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its strong love and passion for the br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for securing and developing fashion brand competitiveness, highlighting the value of brand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by consumer initiative, building consumer-oriented brands, establishing communication strategies.

      • 노인실태조사의 조사 개요와 주요 결과

        정경희(Chung, Kyung Hee)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3 한림고령사회연구 Vol.1 No.1

        한국노인의 일상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노인실태조사는 급속한 인구고령화와 노인의 특성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1994년에 처음으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하여 “노인생활실태 조사 및 욕구조사”라는 이름으로 실시되어온 노인실태조사는 2007년에 노인복지법의 개정을 통하여 3년에 한 번씩 노인 보 건 및 복지에 관한 실태조사를 시행토록 규정함으로써 법률에 의해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실태조사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 다.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5차례 실시된 노인실태조사의 개요와 조사내용을 비교하였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을 중심으로 하여 노인의 생활실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최근에 이루어진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결과를 노인의 특성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노인 내부에 있는 다양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특성과 관련한 대표적인 변화로는 후기노인의 증가, 교육수준의 향상과 거주형태의 변화 등이 지적되었고, 다수의 노인의 건강상의 문제를 갖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한편, 노인의 삶의 현황으로는 정책적 대응에 따라 공적이전소득의 중요 성이 증대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사적이전소득의 중요성은 큰 상태이며, 부족한 소득을 보완하기 위한 생계형 경제활동참여 가 활발한 반면 자원봉사활동 및 평생교육참여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참여는 대체적으로 낮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노인 내부에서도 연령, 성, 교육수준 등에 따른 다양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내용에 기초하 여 향후 조사내용 구성과 정책적 대응과 관련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conducted five times since 1994, is part of Korea s effort to meet the new challenges of a rapidly aging population. At first, the survey was conducted irregularly without basise. However, as the issue of population aging moved, as it has in recent years, to the fore of national conversation, the survey was mandated in 2008, under the Elderly Welfare Law, to be conducted every three years, each time with a modified questionnaire reflecting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concerns. This study reviewed and compared the questionnaires to find out what changed and what remained the same in content. In addition, this study traced, using the survey s raw data, changes older Koreans have gone through in the last 17 years i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health and functions,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own perspectives on later life. Furthermore, sub-group differences among older pers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latest survey (2011) to point out heterogeneity among older Korean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역사교육을 둘러싼 한국과 미국의 이념논쟁 비교

        정경희(Kyung-Hee Chung) 한국아메리카학회 2008 美國學論集 Vol.40 No.3

        The controversy over the Natinal History Standards in America during 1994-5 and the controversy over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s in Korea since 2004 assume a very similar aspect in spite of almost a decade's time differ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in derail the history education debates in the two countries. First of all, both in America and in Korea the controversy was stimulated by the media, not by the academics Soon, the controversy extended to the legislative body of each country, and sparked intense poltical debates over history education. In January 1995 the United States Senate passed a resolution condemning the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 as un-American, and the authors of the standards were forced to revise them. In 2004 Korea National Assembly, too moch swayed by the party interests, did not do anything but further polarized the bitter dispute when a conservative Congressman insisted that the narrative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 is overly anti-American and Pro-North Korean Textbook Forum, a group of intellectuals held symposia and published several books including korean Modern History an Alternative Textbook as a counter to the existing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deemed to be left-leaning by the group.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new conservative administration was launched in early 2008 that the revision of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s saw any progress. Conservatives led by Lynne Cheney criticized the Standards for describing American past "too grim and gloomy" In Korea its modern history textbooks were blamed for narrating Korea's history of recent sixty from negative perspective, while writing that of North Korea as positively as possible. In both countries it was the main issue of the debates that the national history, especially the stories of nation building and the founding fathers were depicted too negatively in the Standards and history textbooks. It is also similar that during the debates both sides condemned that the other sides are politicizing history. Peoples involved in the Standards controversy and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s controversy charged that the opposing sides are politically motivated. As a result, the history education became the arena for the ideological controversy. Thus, ironically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issue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excluded from the debates in both countries. It is noteworthy that the long ideological controversy in both Korea and in America was pressed by the extreme difference of historical recognition between the traditionalists and the revision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