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호조직문화, 업무수행능력,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가연,장현정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하고 나아가 이직률 감소 및 간호업무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 간호조직문화, 업무수행능력,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결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언어적비언어적 괴롭힘이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고 간호조직문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 지역의 종합병원급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확대 반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간호사의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직장 내 괴롭힘 감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업무수행능력이 직장 내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1년 이내 이직 계획이 있는 대상자가 생각하는 이직 사유로는 ‘업무량이 많아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들의 이직률 감소를 위해 업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 업무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ork performance, and workplace bullying of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workplace bullying.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descriptive research,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6 to November 5, 2018.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10 nurses in six general hospitals in G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2.0. Results: The workplace bullying typ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novation-oriented culture,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work performance. The workplace bullying consequ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work performance,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orkplace bullying typ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of the workplace bullying consequence were workplace bullying type followed by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unmarried status. Conclusion: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was related to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nurses and to help them adapt well to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 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고전발레와 댄스뮤지컬에 나타난 ‘백조의 호수’ 무대의상 비교분석
정가연,최정욱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고전발레 ‘백조의 호수’와 댄스 뮤지컬 ‘백조의 호수’ 두 공연을 중심으로 장르 및 기획의도에 따라 무대의상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 두 공연 및 무대의상과 댄스뮤지컬에 관련된 선행연구, 국내·외 서적, 잡지, 실제 공연 DVD 자료를 참고 하였다. 먼저 극의 전개에 따른 캐릭터별 의상 및 분장에 관한 분석을 살펴 본 결과, 고전 발레 ‘백조의 호수’는 전형적인 발레복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한편 댄스뮤지컬 ‘백조의 호수’는 고전발레복 로맨틱 튀튀발레복 뿐만 아니라 심리상태, 신분, 직업, 성별, 성격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의상이 보여 졌다. 다음으로 ‘무대의상의 색상, 소재, 및 디테일에 관한 분석’을 살펴 본 결과 고전발레 ‘백조의 호수’는 다양한 색채구성을 통해 화려한 무대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소재 및 디테일에 관한 부분에 있어 고전 발레 ‘백조의 호수’는 제한된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디테일과 트리밍에 사용패턴도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댄스뮤지컬 ‘백조의 호수‘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고, 디테일과 트리밍 또한 여러 가지 형태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타 무대의상요소 분석’을 살펴 본 결과 오케스트라의 실연을 바탕으로 한 고전발레 ‘백조의 호수’는 사실적, 회화적인 느낌의 평면적 무대에 극소량의 조명만을 사용한 무대구조를 보여주었다, 반면 녹음된 음악을 배경으로 한 댄스뮤지컬 ‘백조의 호수’는 입체적인 형태의 무대장치와 다양한 색상과 독특한 방식의 조명기법을 통해 세련되고 현대적이며 유기적인 무대장치를 보여주었다.
정가연,배성철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student’s monthly reading quantities , the perception of relation among reading, curricular and section and the effect of reading quantities on curricular learning in order to explain relation between reading quantities and curricular learning. This study attempt to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fifty freshmen and sixty-six sophomores of high school ( a total of 116 students) and had an interview with teachers and students to solve the study probl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male class show a higher quantity than female class and freshmen show a higher quantity than sophomores in reading . Second, as part of the precption that which curricula and section can be improved with the help of reading , Korean has highest percentage , followed by social studies and liberal arts in curricula and reading section has highest percentage , followed by writing and speech section. Third, more than 80% students recognize that reading have positive effect on curricular learning. This study is important that confirm to ne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ading programs for a continuing reading of students.
금융 특화 감정분석 모델과 딥러닝 시계열 예측 모델을 활용한 코스피 지수 예측
정가연(Gayeon Jung),이혁제(Hyeokje Lee),이준영(Junyeong Lee),이제혁(Jehyuk Lee) 대한산업공학회 2024 대한산업공학회지 Vol.50 No.4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or predicting the KOSPI index using a news data-based sentiment analysis model and a deep learning-based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The closing price of the KOSPI index was used as a target variable,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such as the gold price and market sentiment indicators such as sentiment scor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We collected and preprocessed the KOSPI-related news data and used them in calculating the sentiment score by using the title or the summarized article. Subsequently, the KLUE-BERT model-based sentiment score by date and the KoFinBERT model-based sentiment score by date were extracted. LSTM, GRU, CNN-LSTM, and CNN-GRU were used as time series prediction model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xperiment by combination of variables and models, the best performance was achieved when KLUE-BERT is applied on the summarized article and the CNN-GRU model were used.
정가연 ( Gayeon Jung ),이재원 ( Jaewon Lee ),강조은 ( Joeun Kang ),김한샘 ( Hansaem Kim ) 한국언어정보학회 2024 언어와 정보 Vol.28 No.1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humor comprehension abilities of Large Multimodal Models (LMMs) by using images and captions. We examined language and model differences based on the accuracy of humor selection through multiple-choice questions. As far as English is concerned, publicly available datasets were utilized. But, in case of Korean, we manually curated image-text pairs on ‘Jemok Hakwon’, which features cleverly captioned images. We investigated whether LMMs could select humorous captions relevant to the image or reject irrelevant ones. Language comparison between English and Korean revealed poorer performance for Korean, which is attributed to cultural elements based on error analysis. In the model- by-model comparison between GPT-4V and Claude 3, GPT-4V exhibited superiority. But both models performed in the low 50-60% range. This relatively low performance indicates that humor comprehension, demanding high cognitive abilities, is still challeng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tructs and publicly releases a Korean humor dataset based on Image-Text, enabling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ate-of-the-art LMMs’ humor comprehension across languages and models.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stimulate further research measuring the upper limit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abstract information.
부동산 경매시장의 아파트 낙찰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가연(Ga-Yeon Jung),유선종(Seon-Jong Yoo) 한국주택학회 2010 주택연구 Vol.18 No.3
The real estate auction market is getting more popular; however,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factor for determining bid price and practical study are not sufficient. Foreclosing real estate keeps increasing after real estate market was collapsed in 2008. The middle-class houses are likely to buy their house through the auction, however, it is more difficult for them to buy new house due to the depreciation of market value of the property. This study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winning bid price for foreclosing real estate can be affected by current economic situation. The research area is designated bubble-seven district and decision factors of awarded bidding price are selected. Economic variables considering economic situation are included to study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winning bidding price of apartment at auction. It is shown that the number of property buyer at the auction, the number of bid amount to the auction failed, the property of a lien, and property size affect the winning bid amount. The total amount of money, M2,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nning bid amount, and currency rate and CPI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winning bid amount.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발생시점을 연구의 시간적인 배경으로 설정하고 그 전후 일정기간 동안의 부동산경매시장의 양적 변화와 낙찰가의 변화 추이 등을 검토하고, 경매 아파트 낙찰가의 결정요인과 낙찰가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부동산 경매시장에서의 변화 요인중에는 낙찰가격 결정요인에 거시경제 및 경제지표지수가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여 이를 변수에 포함하였다. 거시경제지표가 부동산낙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힘으로서 금융위기가 부동산경매시장에서 낙찰가격에 미친 영향과 그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찰가격은 경제상황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버블세븐지역으로 지정하여 경매 아파트의 낙찰가격결정요인을 선정하였다. 변수는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경제변수를 포함시켜 아파트 낙찰가격과의 상호관계와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응찰자 수와 유찰횟수, 평형과 대지지분 등이 낙찰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변수로 총통화량 (M2)은 낙찰가격에 양(+)의 영향을 환율과 소비자물가지수는 각각 음(-)의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증분석을 통해 버블세븐지역의 경매아파트 낙찰가격이 경매특성요인, 부동산물건특성요인의 영향과 함께 경제상황을 반영하는 거시경제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