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시기 혼혈인의 자아 정체성 연구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전훈지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염상섭은 시종일관 냉철한 현실 감각으로 식민지 사회와 한국 사회의 크고 작은 모습들을 가감 없이 묘파해 온 작가이다. 중립적인 듯 담담한 시선으로 현실을 그려내면서 동시에 자신의 뚜렷한 가치관이나 입장 역시 쉽게 굽히지 않는 염상섭이 혼혈인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러 가지로 시사하는 바가 많다. 염상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혼혈인들의 특성을 분석하면서 그들을 바라본 작가의 시선에 담긴 의미를 당대적 맥락에서 고찰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염상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혼혈인은 「남충서」의 남충서와 그의 여동생 효자, 「만세전」의 국수집 계집아이, 『사랑과 죄』의 류진 그리고 『牧丹꽃 필 때』의 김문자이다. 남충서와 류진이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번민하며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에 반해, 효자와 계집아이, 문자는 자아 성찰과는 거리가 먼 인물들로 형상화되고 있다.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는 이러한 혼혈인의 모습은 기존 연구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여성-혼혈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부정적인 (신)여성-조선의 식민성-부정적인 대상으로 연결되면서 상대적으로 남성-혼혈인들이 추구하는 민족과 전통에 방점이 찍히며 이것은 긍정적으로 의미 부여가 되었다. 이러한 남성과 여성의 성별적 대립은 민족주의 작가인 염상섭의 작가적 성향이 반영된 것이라는 것이 기존 연구들의 주된 논의이다. 그러나 염상섭의 소설에서 형상화된 혼혈인들이 갖는 특징은 당대 사회의 한 특성으로 볼 필요가 있다. 남충서가 이야기하는 전통과 민족은 그것이 갖고 있는 부정성을 타파해야 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며, 류진의 허무주의적 시대 비판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한편, 여성-혼혈인들은 1920년대 초기에 많은 지식인들이 외쳤던 자아각성의 결과가 미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식민지 지식인들이 한목소리로 외쳤던 개조와 각성은 식민지 여성들에게 결과적으로 모순된 개조이자 각성이었다. 그들의 주장은 여성들을 현모양처로서 가정에 종속시킬 수 없었음과 동시에 여성들의 독자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염상섭은 식민지사회에서 지식인들에 요청되었던 자아 각성의 과정과 그 결과를 혼혈인들을 통해 형상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Mixed-blood people in the Yeom, sangsup’s novels are divided into mixed-blood men and mixed-blood women. Mixed-blood men have identity problems. Whereas, mixed-blood women chase private benefits and desire rather than self-realization of national identity. This description is frequently explained by writer's realization about gender. However, consideration of the age is required when the writer published his work. Many intellectual of the colonial period of chosun dynasty emphasized human right of women in early 1920s. Yeom, sangsup also argued emancipation and realization of women. Judging from the society situation, mixed-blood women in his novels illustrates failure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The writer described failure of women by comparison with men who succeed in self-realization. The intellectuals insisted self-realization of women but it didn’t come to reality. Especially, because the mixed-blood people are more distinguishable about self-realization. Mixed-blood in Yeom, sangsup’s novel are not a symbol of the nation but the object to check success or failure of self-realization and discovery of individual. Representative mixed-blood in Yeom,Sangsup's novels are Nam,ChungSeo, his sister HyoJa, Mansejeon(Before the Hoorah)'s child at noodle house, Saranggwajoe(Love and guilty)'s Rue,Jin and Moktankkotpilttae(Blooming a peony flower)’s Kim,MunJa. Nam,ChungSeo and Rue,Jin take skeptical attitude about their identity, on the other hand HyoJa, child at noodle house and MunJa are illustrated that they are far from introspection. Existing research have criticized this gender distinction of mixed-blood. Mixed-blood women characteristics are connected negative-(New)Woman's colonialism, relatively mixed-blood men characteristics are emphasized as the legitimacy of the nation. Primary discussion in existing research insisted such gender conflicts reflects nationalism of novelist Yeom,sangsup's characteristic as a writer. However, characteristics of the mixed-blood in his novels come from social aspect of that era. As Nam,ChungSeo's story telling, that the traditions and people should break down their negativity is main theme of Yeom,sungsup's novels and Rue,Jin's a nihilistic vision of criticism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Meanwhile, mixed-blood women were seen incomplete self-realization person exclaimed in the early 1920s by many intellectual people.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y exclaimed only on voice renovation and realization have contradiction. Their argument subordinated neither a good mother nor the space for women's independent action. In other words, through mixed-blood people, Yeom,sangsup embodied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and its result which are required for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society.

      • KCI등재후보

        ‘미국화’ 수용에 따른 작중 인물의 태도 연구: 해방 이후의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전훈지 춘원연구학회 2017 춘원연구학보 Vol.0 No.10

        최근 해방 이후의 염상섭 문학에 대한 연구가 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1950년대 이후의 작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글은 식민지시기와 해방 이후 염상섭 문학의 연속성을 찾기 위한 일환으로 염상섭 문학에 나타나는 미국화의 수용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염상섭은 작가이면서 기자였기 때문에 그의 소설에서 시의적인 장면을 찾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식민지시기에 발표된 작품이나 해방 이후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미국 또는 미국인은 조선(한국)과 미국의 긴밀한 관계가 꽤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던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해방 이후 염상섭 문학에서 나타나는 미국화의 수용은 부정적으로 형상화되면서 개인적 이득을 취하는 모리배들을 비판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미국화는 당시 사회의 선망의 대상이었지만 상대적으로 미국화를 수용한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중적인 태도는 미국인과 어울리는 한국 여성이나 미국산 물건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비난을 하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미국화의 수용에 대해 도덕적인 평가가 결부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미국화를 수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감이 이중적으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기 염상섭 작품의 여성상 및 여성의 역할 변모 양상

        전훈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After Yeom, Sang-sup finished his work Bulyeonsokseon(Line of Discontinuity) in 1936 which is published serially in Maeil-Shinbo, he stopped writing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This empty period as a writer made him avoid argument of pro-Japan problem. However, his works after the liberation showed a strong tendency of trivialism. This made post researchers differentiate literature(work) of Yeom, Sang-sup between post-liberation and pre-liberation in terms of research scope or subject. In Yeom, Sang-sup’s work from colonial period, the woman came to the forefront of the story. He kept this style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published works from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showed changing position of the woman which came from rapid social changes. In Hyo-pung(Dawn wind), the representative long novel after the liberation, the process of changing societal expectation towards woman could be observed. The transition period was formed with mixed view of womanhood between traditional wise mother and good wife and living social life with economic activity equal to the men. Meanwhile, about 10 intensively published short novel in this period illustrated conflicts derive from acquisition of economic power of woman. The life of women instead that of men who lost his role as a head of household was trivial and ordinary. Therefore, the evaluation that ‘sink to the ordinary’ or strong factor of trivialism could not be avoid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ose life of women itself was a most realistic aspect Korea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Yeom Sang-sup’s sense of reality did not lost the spirit of the age, but rather dived deep into the reality. 1936년에 『매일신보』에 연재했던 『불연속선』을 끝으로 염상섭은 해방까지 절필을 한다. 이 공백은 작가로 하여금 친일의 문제에서 빗겨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하지만 해방 이후 염상섭의 작품은 갈수록 트리비얼리즘적인 경향을 강하게 드러내었고, 이는 후대 연구자들의 연구 범위나 대상에 있어 염상섭 문학을 해방 이전과 이후로 구분 짓게 하였다. 일찍이 식민지 시기부터 줄곧 여성을 작품의 전면에 내세워 이야기를 끌고 갔던 염상섭 문학의 스타일은 해방 이후에도 그 방식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해방 이후 한국전쟁이 일어나는 시점까지 발표된 작품들의 면면을 보면 급변하는 사회의 분위기에 따른 여성 인물들의 입지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해방 이후의 대표적인 장편 『효풍』에서는 여성에게 주어지는 임무가 변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현모양처’형 여성관과 남성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사회생활 및 경제 활동을 영위하는 여성의 모습이 교차되면서 과도기적 양상을 띄게 된다. 한편,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표된 10여 편의 단편들을 통해서는 여성들이 경제력을 획득하면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갈등들이 나타난다.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한 남성들을 대신해 돈을 버는 여성들의 모습은 매우 소소하고 일상적이다. 그래서 ‘일상으로의 함몰’ 내지는 트리비얼리즘적 요소가 강하다는 평가를 피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하지만 여성들이 생활을 영위하는 것 자체가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가장 현실적인 측면이었음을 생각해본다면, 염상섭의 냉철한 현실 감각이 시대정신을 상실한 것이 아니라 좀 더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사실의 재현’에서 ‘생활의 발견’으로 -『조선문단』 합평회와 염상섭의 평론을 중심으로

        전훈지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건지인문학 Vol.- No.39

        『조선문단』 합평회는 1925년 3월부터 6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작가이자 비평가인 구성원들은 잘 써진 소설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면서 사실 재현의 유무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 논의는 재현된 사실의 인과 관계가 지닌 합리성에 대한 것으로 이어졌다. 합평회의 논의는 당시의 다른 작가들에게 영향을 끼쳤고, KAPF 작가들과의 논쟁의 시발점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실의 재현과 인과 관계의 합리성은 ‘자연스러움’이라는 말로 표현되기 시작하였고, 자연스럽게 작품을 쓰는 것이 곧, 기교있는 것이라고 평가되었다. 염상섭은 합평회의 토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다. 일찍이 그가 자신의 평론에서 강조했었던 개인의 생활 문제가 소설 방법론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된 것도 이 합평회이다. 본고는 합평회의 주요 논의에서 소설의 핵심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염상섭의 비평을 살펴봄으로써 현실 재현에 대한 염상섭의 창작방법론이 합평회에서 거쳐 어떻게 확장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The forum of "The Joseonmundan" took place over six sessions from March 1925. The members, who were both writers and critics, initiated discussions on well-crafted novels, delving into debates on the reappearance of facts. This discourse subsequently focused on the rationality inherent in the causality of reappearanced facts. The discussions at discussion group influenced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served as a starting point for debates with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writer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appearance of facts and the rationality of causality began to be expressed as "naturalness," leading to the evaluation that writing naturally was considered as an artful thing. Yeom Sang-seop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ebates of the forum. The forum became a catalyst for expanding everyday life issues, previously emphasized in his critiques, into novel methodologies. This paper examines the core elements of novels discussed in "The Joseonmundan" forum and analyzes how Yeom Sang-seop's creative methodology regarding the reappearance of reality evolved through his critiques at the forum.

      • KCI등재

        식민지 근대사회의 속물근성 연구

        전훈지(Hoonjee Ju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2

        1930s colonial society was already in developing phase of the capitalism. The era of 1930s had a social atmosphere of pursuing sexual and worldly desires. Yeom sang-sup’s novel, Morankkotpilttae, is published in the mid 1930s, which show colonial society was driven by such desires. The life in colonial capitalism is shown through Yeom sang-sup’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fe of contemporary people and society. According to ‘Desir triangulaire (Triangle of desire)’ by R. Girard, the subject projects his desire by ‘mediateur (mediator)’ instead of his desire for the object itself. This study argues that Yeom’s works follow composition of triangle of desire, showing snobbism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haracters in Yeom’s novel are both subjects and mediators. They are imitative and competitive each other. The snob is a perfect example in QED. Snobbism is excellent direction to illustrate desires of colonial capitalism, because the desires of the subjects are revealed by contemporary people. Colonial people blindly imitated mediator’s appearance and action who got a stability occupations, studies and marriages. This essay covers the implicit meaning of colonial capitalism, showing desires of the characters of colonial lives.

      • KCI등재

        식민지시기 혼혈인의 자아 정체성 연구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전훈지 ( Hoon Jee Jun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Mixed-blood people in the Yeom, sangsup’s novels are divided into mixed-blood men and mixed-blood women. Mixed-blood men have identity problems. Whereas, mixed-blood women chase private benefits and desire rather than self-realization of national identity. This description is frequently explained by writer’s realization about gender. However, consideration of the age is required when the writer published his work. Many intellectual of the colonial period of chosun dynasty emphasized human right of women in early 1920s. Yeom, sangsup also argued emancipation and realization of women. Judging from the society situation, mixed-blood women in his novels illustrates failure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The writer described failure of women by comparison with men who succeed in self-realization. The intellectuals insisted self-realization of women but it didn’t come to reality. Especially, because the mixed-blood people are more distinguishable about self-realization. Mixed-blood in Yeom, sangsup’s novel are not a symbol of the nation but the object to check success or failure of self-realization and discovery of individual. Representative mixed-blood in Yeom,Sangsup’s novels are Nam,ChungSeo, his sister HyoJa, Mansejeon(Before the Hoorah)’s child at noodle house, Saranggwajoe(Love and guilty)``s Rue,Jin and Moktankkotpilttae(Blooming a peony flower)’s Kim,MunJa. Nam,ChungSeo and Rue,Jin take skeptical attitude about their identity, on the other hand HyoJa, child at noodle house and MunJa are illustrated that they are far from introspection. Existing research have criticized this gender distinction of mixed-blood. Mixed-blood women characteristics are connected negative-(New)Woman’s colonialism, relatively mixed-blood men characteristics are emphasized as the legitimacy of the nation. Primary discussion in existing research insisted such gender conflicts reflects nationalism of novelist Yeom,sangsup``s characteristic as a writer. However, characteristics of the mixed-blood in his novels come from social aspect of that era. As Nam,ChungSeo’s story telling, that the traditions and people should break down their negativity is main theme of Yeom,sungsup’s novels and Rue,Jin’s a nihilistic vision of criticism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Meanwhile, mixed-blood women were seen incomplete self-realization person exclaimed in the early 1920s by many intellectual people.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y exclaimed only on voice renovation and realization have contradiction. Their argument subordinated neither a good mother nor the space for women’s independent action. In other words, through mixed-blood people, Yeom, sangsup embodied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and its result which are required for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society.

      • KCI등재

        한국학의 정의와 방법에 대한 고찰 : 김경일 저,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 비교 역사의 시각』의 서평

        전훈지 ( Jun¸ Hoonj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 비교 역사의 시각』은 한국학(조선학)의 기원과 개념을 정리하며, 미국의 지역연구와 미국학과의 상관성과 차별성을 서술한 책이다. 필자는 미국의 지역연구의 기원과 그 전개과정을 개괄하면서 동시에 ‘미국적인 것’과 ‘미국의 정체성’이 미국학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주요 논쟁들을 분석하면서 설명하였다. 특히, 이 책은 1950∼1960년대의 한국학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 미국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를 한국의 상황과 미국의 상황에서 각각 고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괄하였다. 미국이 미국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해 나간 것과는 다르게 한국은 일제 식민 지배라는 근대와 서구의 근대라는 두 개의 타자에 대항하여 스스로를 규정해야 했다. 그러한 한국의 특수성을 토대로 한국학은 형성되어 왔다. 특히, 1960년대의 논의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유학파 출신의 학자들은 서구라는 근대화의 타자로서 전통을 이야기하고, 국내파 학자들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사관의 대항으로 전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 문·사·철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과 서구의 학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사회과학과의 대립구도도 한국학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다. 즉, 한국학은 식민사관과 서구식 근대화의 대립,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대립, 개성기술과 법칙정립 즉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대립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조선학(조선적인 것)과 한국학(한국적인 것)의 또 다른 특징은 각 시대의 지배 권력에 의해 그 정체성이 적극적으로 소환되었다는 점이다.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있었던 국가 권력에 의한 한국의 정체성 연구도 이 책을 통해 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한국적인 것과 한국학의 정의에 대한 질문과 방법론은 언제나 있어 왔지만, 그 해답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의 주요 내용을 살피면서, 한 사람의 독자로써 한국학의 기원과 그 형성 과정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Modern figuration of Korea and Korean Studies - A Perspective of Comparative History is a book that summarizes the origins and concepts of Korean studies (Chosun Studies), and describes the relevance and differentiation between regional studies and American studies. The author outlines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regional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at the same time explai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merican thing’ and ‘American identity’ as American studies by analyzing major debates. In particular, this book outlines how the United States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1950s and 1960s in a way that can be considered both in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respectively. Unlike the United States, where the United States defined its own identity, Korea had to define itself against two others: the modernity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modernity of the West. Based on such peculiarities of Korea, Korean Studies has been formed. In particular, the discussions in the 1960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Scholars who studied abroad spoke of tradition as the other of modernization in the West, while scholars who studied in Korea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radition as a counter to the colonial view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contrast between the liberal arts, centered on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nd the social sciences, which actively embraced Western studies, is also a characteristic feature of Korean studi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Korean studies was formed through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colonialism and Western modernization, universalism and specialism, and idiographic and nomothetic, that is, the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In addi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Chosun Studies (Chosun-like) and Korean Studies (Korean-style) is that their identities are actively recalled by the ruling powers of each era. Through this book, we can understand the flow of Korea's identity study by the state power, which was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Korea's modernization.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re have always been questions and methodologie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but the answer is not fixed. The answer changes over time and space. In this article, I try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Korean studies and the process of its figuration as a reader,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Modern figuration of Korea and Kore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