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효과 및 관절면의 변화 비교

        전혜미,김경희,옥수민,허준영,정성희,고명연,안용우,Jeon, Hye-Mi,Kim, Kyung-Hee,Ok, Soo-Min,Heo, Jun-Young,Jeong, Sung-Hee,Ko, Myung-Yun,Ahn, Young-W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4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만 12세-19세(평균나이 : $15.75{\pm}2.17$세)의 청소년환자 중 임상검사, 방사선검사 및 전산화 단층촬영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을 통하여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고 하나이상의 과두나 하악와의 관절하골에서 erosive change를 보이는 149명 167개의 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평균 9개월($9.03{\pm}4.64$ 개월) 이후 CBCT를 재촬영하고, 임상검사를 재실시하였다. 구강내과 전문의와 치과 방사선과 전문의가 영상 진단을 하였고, 임상 검사 결과와 CBCT의 영상 결과를 추적 연구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약물치료, 물리치료, 행동조절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은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치료 후 통증, 개구제한 증상에서 유의한 증상 개선을 나타냈다. 2.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급성환자군은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급성환자군보다 치료 후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이 더 많이 개선되었고, 그 중 통증과 개구제한은 유의한 증상 개선을 보였다. 3. 치료 후 침식을 보이는 하악과두의 골변화 양상은 치료방법에 상관없이 개선되는 방향(improved)으로 진행되었으나, 교합안정장치치료를 병행한 환자군에 비해서 교합압정장치치료를 병행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하악과두의 침식성 골 변화가 더 악화(worsen)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반대쪽 하악과두에 새로운 침식이 나타난 경우도 더 많이 관찰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and to assess follow-up study of condylar bony change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n adolescents patients (12-19 years) with TMJ osteoarthritis(OA). 167 eroded condyles in 149 subjects were chosen among the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of Pa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iagnosed as TMJ osteoarthritis by clinical exam, x-ray and CBCT from 2009 to 2012. They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physical therapy, medication, behavioral therapy and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After average 9 months, CBCT was retaken and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were investigated. Condyle bony changes were classified by unchanged, less severe and more seve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1. Pain, Noise, LOM(Limitation of motion) and MCO(Maximum comfortable opening) measurement of TMJ OA patients were markedly improv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2. In the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Pain and LO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d than non-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3. In the acute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Pain and LOM were remarkably improved. 4. In comparison of CBCT1 and CBCT2 images, the transition of bone changes to lesser severe was most commonly in joint with erosive change. 5. In the non-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the transition of condylar bone changes from erosion to more severe was many than occlusal stabilizing splint therapy group.

      • 사용자 기반 헬스케어와 사용자 경험 단계에 관한 연구

        전혜미(Hyemi Jeon),반영환(Younghwan Pan)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질병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 증가와 IC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헬스케어 산업의 경계가 흐려졌다. 의료 전문가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던 과거 헬스케어와는 다르게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데이터 생산의 주체인 사용자가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출시되어 있는 국내외 스마트 헬스케어 사례 조사와 분석을 통해 스마트 헬스케어의 특징을 도출하고 범주화 하여 ‘사용자 기반 헬스케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 사용자 기반 헬스케어의 사용자 경험 3 단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기반 헬스케어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헬스케어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해보았다.

      • KCI등재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 서비스 사용성 평가

        전혜미(Jeon, Hye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현재 IT기술과 대학 강의 콘텐츠를 융합한 MOOC 서비스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많은 학습자들은 MOOC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실용적인 강좌를 학습하거나, 분야별로 단계별 학습 과정을 수강해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MOOC 서비스인 K-MOOC의 인터페이스와 학습 상황 속에서의 인터랙션에 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MOOC와 K-MOOC의 이해를 돕고, 휴리스틱 평가 방법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구성하여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주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목적과 플로우를 고려한 서비스 설계와 직관적이고 간결한 시각적 요소 사용 및 배치를 통해 사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습 상황에서의 인터랙션 측면에서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대화형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명확하고 정확하게 학습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K-MOOC의 주요 기능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비스를 유용하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하나의 사이트에 국한된 평가라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개선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서비스의 시험운영을 실시하고 사용자 대상의 검증 및 평가 통해 가이드라인의 구체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MOOC service, which combines IT technology and contents of university lectures, is rapidly expanding. Many learners use MOOC services to learn practical courses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they can take a step-by-step learning process in each field, and can systematically learn from the basic stage to the deepening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interface and interactions in learning situa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K-MOOC, a Korean MOOC service. Through literature surveys, I helped to understand MOOC and K-MOOC. The evaluation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heuristic evaluation methodology and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service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purpose and flow of service use of main users, and the usability should be increased by using and arranging intuitive and concise visual element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evaluation of the learning situation was that the service for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was necessary. In addition, it should be able to confirm learning progress clearly and accurately, so that service reli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will be useful to use the service effectively by studying the interface and interaction of the main functions of K-MOOC.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valuation that is limited to one site. It will be necessary to carry out the trial operation of the service applying the improvement guidelines in the future and to make efforts to specify the guidelines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users.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HMR 상품 개발에 대한 연구

        전혜미(Hye Mi Jeon),이수범(Soo Bum Lee)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9 호텔경영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imate selection attribute, part-worth, potential market share of Home meal replacement(HMR) product.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from April. 5th 2008 to May. 25th 2008 and the following research design was adopted. The research design was a full profile method by orthogonal design then 10 main profiles, 2 holdout sets were created. Conjoint analysis was used to test which attribute was the most decisive fact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ready to eat, type of menu, purchase place, price were the factors that customer attached the great importance to. One of the most preferred HMR product gained 55% potential market share from the choice simulation.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is research provided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development of HMR product and determined what kind of attribution was considered in the complex state when consumer select the HMR product.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젊은 중국인 소비자의 한식당 선택속성 및 속성가치에 대한 연구

        전혜미(Jeon Hye Mi),임철환(Lim Chul Hwan),한진수(Han Jin S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09 외식경영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selection attribute, part-worth, potential market share of Korean restaurant focused on young Chinese consumer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180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from May 1st 2009 to May 20th 2009 and the following research design was adopted. The research design was a full profile method by orthogonal design then 9 main profiles, 2 holdout sets were created. Conjoint analysis was used to test which attribute was the most decisive fact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type of menu, interior, price, time spending in the restaurant were the factors that customer attached the great importance to Korean restaurant. One of the most preferred Korean restaurant gained 47.4% potential market share from the choice simulation.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is research provided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strategy of Korean restaurant to the international market especially China and determined what kind of attribute was considered in the complex state when Chinese consumer select the Korean restaurant.

      • KCI등재

        식품 기업의 위기관리를 위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전혜미(Hye Mi Jeon),이수범(Soo Bum Lee)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9 호텔경영학연구 Vol.18 No.4

        As media and technology have developed rapidly, people spend less time to get information they want to get. Especially, these days we can see rapid spread of information about crisis without reference with any fact. Namely, when crisis happens, corporation have to use appropriate crisis communication to protect corporate image and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blic.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causes of crisis, it is not inappropriate to apply identical crisis communication on each cris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appropriat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in responding to the food crisis for each type of cris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from Nov. 10th 2008 to Nov. 28th 2008 and the following research design was adopted. The research design was a 4×3 factorial design by the type of crisis; faux pas, accidents, transgressions, terrorism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c; accommodative strategy, defensive strategy, silent strategy. The data was analysed by MANOVA through SPSS Win Ver. 15.0.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mmodative strategy was effective on accident, transgressions and terrorism. Second, defensive strategy was effective on Faux pas. Third, silent strategy was not a great strategy for any cases of crisis.

      • 휴대폰 패키지를 활용한 비즈니스 전략 및 앱세서리 제안

        전혜미(Hyemi Jeon),강동민(Dongmin Kang),김화랑(Hwalang Kim),안영미(Youngmi An),황민정(Minjeong Hwang),진보람(Boram Jin),신창범(Changbeom Shin),전기석(Kisuk Je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디자인 장르에서 감성디자인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는 20세기 전반에 영향을 미친 기능주의 디자인의 이성적, 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그 후 포스트모던 상황 하에서도 도외시되어 온 인간의 감성적 측면까지를 포함하는 종합적 디자인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앱세서리는 보통의 소셜 네트워크의 소통방법과는 다르게 자신을 반영한 피규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고, 기업들에게는 홍보의 기회를 나아가서 관련매출 상승이라는 결과를 얻게 할 것이다. 다양한 컨텐츠들로 구성된 피규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는 사용자들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기업에게는 다양한 이득을 취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컨셉 내용은 특허 출원 중에 있으며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사용자 경험측면에서 가능성을 검증 중이다. Recently emotional design emerged as a important subject. It passed the logical and rational limit of functionalism design. Then under post modernism situation it was required for overall design that included emotional sides of people. Appcessory proposed this experiment is able to communicate with someone through a figure reflected oneself, in contrast with existing social network s ystems. and it w ill give companies chance o f promotion a nd upward in sales. Social network system based on figure combined various contents will give people new experiments and company various benefits. This concept is in the process of a patent application and verifies possibility of user experience side by making a prototype.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밴드 기반의 웰니스 서비스 컨셉 시나리오 개발

        전혜미(Jeon, Hye Mi),신창범(Shin, Chang Beo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고령화 사회에 당면하면서 사람들은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헬스케어 산업이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결합하여 헬스케어 웰니스 산업이 대중화되고 있고, 현재 건강과 노후에 관심이 많고 높은 경제력을 가진 50~60대 액티브 시니어들은 다양한 웰니스 서비스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웰니스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웰니스와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 PCS모형을 기준으로 현존 하는 웰니스 서비스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서비스는 명확한 타겟층을 가지지 않았으며, 서비스의 유형이 건강관리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으로 보여졌다. 액티브 시니어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비스 기회 요소가 발굴되었고, 이를 통해 셀프케어 부분, 리빙케어 부분, 웰니스 엔터테인먼트 부분의 시나리오가 제안되었다. 유용성, 사용성, 쾌락성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사용자들은 건강에 밀접하게 관련된 셀프케어 부분의 시나리오에 대해 유용성이 높다는 평가를 하였고, 리빙케어 부분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사용성에 대해서는 모든 시나리오에 높은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는 웰니스 산업의 새로운 기회 영역을 발굴하였고, 현재 미진했던 연구 분야를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 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스마트 밴드에 국한하여 시나리오를 개발했다는 한계점이 있었고, 프로토타입 제작과 사용자 검증 및 평가를 통해 서비스 시나리오의 구체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In the face of the aging society, people became interested in health. As a result, the health care industry is becoming more prominent.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the healthcare wellness industry is becoming popular. Active seniors who are interested in health and retirement and who have high economic power will be able to manage their health by using various wellness services and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wellness service scenario for active seniors. We examined the wellness and active senior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classified the wellness industry by using the PCS model. As a result, we found that most of the services do not have a clear target group and are concentrated on health care. We were able to conduct a survey with Active Senior to discover service opportunities, which revealed scenarios for self-care, living-care, and wellness entertainmen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cenarios by useful, usability, and pleasurable, users rated the scenarios of the self – care part closely related to health as being highly useful and the living care part was rated low. However, usability was highly evaluated in all scenarios. This study has found a new opportunity area of the wellness industry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will help to revitalize the research fields that are now in need.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developing scenarios for smart bands, Efforts are needed to embody service scenarios through prototyping and user verification and evaluation.

      • KCI등재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에 대한 교합안정장치의 치료효과

        김지현,전혜미,옥수민,허준영,정성희,안용우,고명연,Kim, Ji-Hyun,Jeon, Hye-Mi,Ok, Soo-Min,Heo, Jun-Young,Jeong, Jung-Hee,Ahn, Young-Woo,Ko, Myung-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2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7 No.2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임상검사와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Cone beam Computed tomographic view)촬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으로 진단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진 시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까지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교합안정장치 장착 시부터 최종 내원 시까지 월 1회 장치조정을 시행하여 시기별 치료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초진 시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시와 최종 내원 사이에 모든 증상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게 개선되었다. 2. 교합안정장치 치료 전까지 치료에서는 급성군에서 통증과 관절잡음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만성군에서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모두 개선되었다. 3. 교합안정장치 장착 후에는 급성군에서 통증, 개구제한과 최대편이개구량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만성군에서 통증, 관절잡음과 개구제한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in patients with TMJ osteoarthritis, the 76 subjects were chosen among the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iagnosed as TMJ osteoarthritis by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x-ray and clinical exam, and treated with occlusal stabilizing splint from 2009 to 2011. They were treated with physical therapy and medication before occlusal stabilizing splint delivery and checked monthly after occlusal stabilizing splint delivery.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ubjects' status at the first visit, splint delivery visit and the last vis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in, noise, LOM and MCO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etween the first visit and occlusal stabilizing splint delivery visit, and between occlusal stabilizing splint delivery and the last visit. 2. In the acute group, pain and nois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etween the first visit and occlusal stabilizing splint delivery visit. Pain, LOM and MCO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etween splint delivery visit and the last visit 3. In the chronic group, pain, noise and LO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etween occlusal stabilizing splint delivery visit and the last vis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