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그릿, 자녀그릿,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전향신,박분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rit, child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grit, and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on gender. Amo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guardians across the country, 2,282 mothers, 1,229 boys and 1,053 girl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grit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 grit. Second, the mother grit appeared significant to their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by completely mediating the child grit. Third, the mother grit appeared significant to their children’s academic helplessness by completely mediating the child grit. Fourth,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ing path between variables. From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어머니그릿, 자녀그릿, 학업열의 및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자녀그릿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자료에서 수집된 전국의 중학교 1학년 학생과 보호자 데이터 중 어머니 2282명, 남학생 1229명, 여학생 1053명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그릿은 자녀그릿에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그릿과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자녀그릿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그릿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자녀그릿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결과, 모든 경로에서 두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과 공격성 간의 관계: 자존감과 행복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전향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aggression and examined the serial mediators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reducing adolescent aggression. A total of 2,265 students in the fourth year, whose data was taken from the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2018)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youth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nd did not affect aggression,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nd a negative effect on aggression.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ggress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lf-esteem and happi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agg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happines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agg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 그릿과 진로 적응의순차적 매개 효과

        전향신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3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daptation, by sequentially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areer adaptation, it was intend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academicadap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66 students from three four-year universities in Jeonlanamd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had a direct impact on academic adaptation. Second, grit andcareer adaptation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daptation,respectivel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daptation showed a sequential mediatingeffect of grit and career adaptation. This study found that growth mindset, grit, and career adaptation affect the improvement ofcollege students’ academic adaptation. To this e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counseling intervention measures thathelp college students adapt to their studies were discussed of products and services possibl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그릿,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전향신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그릿,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검증하여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 예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4차년도 자료에서 수집된 전국의 고등학교 남학생 1,217명과 여학생 1,048명으로 총 2, 265명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성별에 따른 집단 차이를 알아보고자 다집단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그릿에서 학업무기력에 이르는 경로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업무기력을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esteem, grit, and academic helplessness and examine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grit,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vercomi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to see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Data from a total of 2,265 students were used, including 1,217 high school boys and 1,048 girls nationwide, collected from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 specific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Third, there was a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steem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Fourth,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in the path from grit to academic helpless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and grit as protective factors that prevent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lessnes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우울, 자존감, 행복감, 창의성 간의 관계

        전향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4 창의력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우울, 자존감, 행복감,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자존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고등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남학생 1,217명과 여학생 1,048명으로 총 2, 265명의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자존감과 행복감 및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고, 자존감 및 행복감은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우울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행복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정신건강과 창의성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본 의미가 있는 연구라 여겨진다. 또한 청소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 그릿, 우울의 구조적 관계 :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전향신(Jeon Hyang Shin),박분희(Park B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 그릿, 우울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에서 수집된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으로 총 5,197명의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 교우관계, 그릿은 우울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그릿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그릿을 매개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은 초등학교 집단이 중학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릿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교 집단이 초등학교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 뿐만 아니라 그릿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grit, and depression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Methods A total of 5197 children and adolescent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2607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2590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across the country,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nalyzed differences in school level in a multi-group analysis. Results First, parenting attitudes, peer relationship, and grit directly affected depression. Second, parenting attitudes,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rit. Third, parenting attitude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grit. Fourth,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school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grit and grit on depression.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grit was higher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p than in the middle school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of grit on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middle school group than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grit as well as parenting attitud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s a protective factor to prevent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기대와 인식 차이 및 우선순위 분석

        전향신(Jeon, Hyang-Shin),이미라(Lee, Mi-Ra),박분희(Park, B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기대와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행복결정 요인들 간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477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기대와 인식의 차이 분석은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최우선 순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함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기대 수준이 현실에서 느끼는 인식수준보다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기대와 인식 차이에서는 12개의 행복결정요인 중 11개의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결정요인 간의 우선순위를 살펴 본 결과 ‘목표추구’, ‘안전’, ‘여가’, ‘자기발견’, ‘개성’ 총 5개의 요인이 청소년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행복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anticipation and perception for happiness determinants of adolescents, and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the decision factors of happiness.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77 high school students from May 1 to May 15 in 2015.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and Borich Requirement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draw the prioritie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levels of anticipation were higher than levels of perception for happiness determinants of adolescents . Second, 11 out of 12 happiness determina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nticipation and perception of happiness of adolescents. Third, in terms of making a decision of priority among happiness determinants, 5 elements, such as pursuit of goal, security, leisure, self-discovery, and personality were ranked top 5 preference considerations.

      • 퍼지 논리 제어를 이용한 다 개체군 유전자 알고리즘의 이주 기법

        전향신(Hyang-shin Chun),권기호(Khi-ho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다 개체군 유전자 알고리즘에서는 여러 개의 개체군을 사용하여 각 개체군을 독립적으로 진화를 시키는데, 이 논문에서는 퍼지 논리 제어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개체군을 진화시켜 집단으로 이주시키는 새로운 코딩방법을 제안한다. 이 퍼지 논리 제어는 최적화과정 동안 교배 비율과 돌연변이 비율을 적합하게 조절하여 수행하는 두 퍼지 논리 제어를 나타낸다. 제안하는 방식을 성능평가해서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 보았다. 제안하는 방식이 수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이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명희,전향신 한국인격교육학회 2025 인격교육 Vol.19 No.1

        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아동 발달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22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열등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수용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들에 대한 지원 방안과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f parenting str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22 mothers utilizing local child development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ata from 215 respondents were analyz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parenting stress and self-acceptanc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was not confirmed.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enhancing self-acceptan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장기 미취업 청년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분희,윤미선,전향신,이미라,박세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silience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for Long-term unemployed young man based on Adler Individual psychology. The goals of the Resilience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raises self-control over one's feelings, thoughts and actions. Second, it strengthens positiveness to reduce inferiority and recognize its own resources. Third. it aims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by facilitating social interest.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have three topics like self-control, positive and interpersonal abilities for ego resilience of Long-term unemployed youth man which are selected a total 9 sub-activities such as empathy control, impulse control, causal analysis, self-optimism, life satisfaction, auditing, communication ability, empathy and self-efficacy.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by applying a class model through 4-steps; relationship formation, psychological exploration, interpretation and reestabl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therapeutic and educational approach of Adler Individual psychology also it emphasized the educational approach by applying the concept learning, discovery, inquiry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developments, we have drawn up plans and proposals to operate the program in various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하여 장기 미취업 청년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회복탄력성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자신의 감정・사고・행동에 대한 자기조절력을 키운다. 둘째, 열등감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자원을 인식할 수 있도록 긍정성을 강화한다. 셋째, 사회적 관심을 조장하여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내용은 장기 미취업 청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해 자기조절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의 3개 주제와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과 같은 총 9개의하위 활동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Adler 개인심리학의 치료적・교육적 접근에 따라 관계형성, 심리적 탐색, 해석, 재정향이라는 4단계를 거치는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구안학습, 발견・탐구학습,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교육적인 접근을 보다 강조했다. 이러한 개발 결과를 토대로 본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방안 및 제안들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